본문내용
그림 5 전체 돼지의 질량에 대한 우량체중기준인 65와의 모평균비교결과
[문제3] 돼지의 성별(M, F)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다른지 95% 유의수준에서 두 모평균 비교를 실시하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estat에서 암컷 돼지의 질량에 대한 수컷 돼지의 질량을 모평균 비교하고자 하였다. 차이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므로 D를 0으로 잡고, ‘H1:μ1≠μ2’를 선택한 후, 유의수준을 5%, 신뢰수준을 95%로 각각 설정하여 통계 프로그램으로 모평균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림 6 수컷 돼지와 암컷 돼지의 질량에 대한 모평균 가설검정 결과
결과에 따르면 신뢰할 수 있는 범위는 검정통계량을 기준으로 ±2.201 범위 내에 속해 있으며, 수컷 돼지와 암컷 돼지의 모평균 차이는 검정 통계량 기준 -8.227로 음의 방향으로 구간에서 인정 구간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으므로 암컷 돼지의 질량이 수컷 돼지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문제4] 사료의 종류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95% 유의수준에서 분산분석으로 검정하라.
사료의 종류(A, B, C, D, E)에 따른 돼지의 체중증가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estat의 첫 항에 사료의 종류를, 두 번째 항에 돼지의 질량을 각각 입력하였다. 이후 5% 유의수준, 95% 신뢰수준에서 분산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7 수컷 돼지와 암컷 돼지의 질량에 대한 모평균 가설검정 결과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사료에 따른 돼지의 질량 분석 결과가 유의미할 수 있는 범위는 0.000에서 2.866 사이이나, 본 실험 결과에서 얻은 사료에 따른 돼지의 질량 결과의 경우 그 값이 19.57에 해당해 사료의 종류에 따른 유사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문제5] 다음과 같이 사료 투여량과 체중증가 간에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산점도 작성과 회귀 모형을 구하고 해석하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사료의 양과 체중증가 데이터를 통계 프로그램인 estat에 입력한 후, 산점도를 계산하고, 회귀선을 추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 결과, 총 10개의 주어진 데이터 중, 비교적 사료의 양이 적은 편인 ID 1, 2, 3의 경우 회귀선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경향성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간 정도의 사료량을 공급한 그룹 중 ID 3, 4, 7 및 가장 다량의 사료를 공급한 경우인 ID 10의 경우 회귀선보다 값이 위쪽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균치보다 주어진 사료량에 비해 증가한 체중의 양이 많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중간 정도의 사료량을 공급한 그룹 중 ID 6 및 비교적 다량의 사료를 공급한 그룹인 ID 8, 9의 경우 데이터의 값이 회귀선에 비해 아래쪽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당 그룹의 경우에는 평균치에 비해 증가한 체중이 적은 편임을 알 수 있다.
그림 8 돼지의 질량과 체중에 대한 산점도와 회귀선
[문제3] 돼지의 성별(M, F)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다른지 95% 유의수준에서 두 모평균 비교를 실시하라.
주어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인 estat에서 암컷 돼지의 질량에 대한 수컷 돼지의 질량을 모평균 비교하고자 하였다. 차이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므로 D를 0으로 잡고, ‘H1:μ1≠μ2’를 선택한 후, 유의수준을 5%, 신뢰수준을 95%로 각각 설정하여 통계 프로그램으로 모평균을 분석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림 6 수컷 돼지와 암컷 돼지의 질량에 대한 모평균 가설검정 결과
결과에 따르면 신뢰할 수 있는 범위는 검정통계량을 기준으로 ±2.201 범위 내에 속해 있으며, 수컷 돼지와 암컷 돼지의 모평균 차이는 검정 통계량 기준 -8.227로 음의 방향으로 구간에서 인정 구간에서 상당히 벗어나 있으므로 암컷 돼지의 질량이 수컷 돼지에 비해 훨씬 큰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문제4] 사료의 종류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95% 유의수준에서 분산분석으로 검정하라.
사료의 종류(A, B, C, D, E)에 따른 돼지의 체중증가량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통계 프로그램인 estat의 첫 항에 사료의 종류를, 두 번째 항에 돼지의 질량을 각각 입력하였다. 이후 5% 유의수준, 95% 신뢰수준에서 분산분석을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그림 7 수컷 돼지와 암컷 돼지의 질량에 대한 모평균 가설검정 결과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사료에 따른 돼지의 질량 분석 결과가 유의미할 수 있는 범위는 0.000에서 2.866 사이이나, 본 실험 결과에서 얻은 사료에 따른 돼지의 질량 결과의 경우 그 값이 19.57에 해당해 사료의 종류에 따른 유사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다.
[문제5] 다음과 같이 사료 투여량과 체중증가 간에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산점도 작성과 회귀 모형을 구하고 해석하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어진 사료의 양과 체중증가 데이터를 통계 프로그램인 estat에 입력한 후, 산점도를 계산하고, 회귀선을 추기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그 결과, 총 10개의 주어진 데이터 중, 비교적 사료의 양이 적은 편인 ID 1, 2, 3의 경우 회귀선과 정확히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경향성이 뚜렷하게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중간 정도의 사료량을 공급한 그룹 중 ID 3, 4, 7 및 가장 다량의 사료를 공급한 경우인 ID 10의 경우 회귀선보다 값이 위쪽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평균치보다 주어진 사료량에 비해 증가한 체중의 양이 많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중간 정도의 사료량을 공급한 그룹 중 ID 6 및 비교적 다량의 사료를 공급한 그룹인 ID 8, 9의 경우 데이터의 값이 회귀선에 비해 아래쪽에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해당 그룹의 경우에는 평균치에 비해 증가한 체중이 적은 편임을 알 수 있다.
그림 8 돼지의 질량과 체중에 대한 산점도와 회귀선
키워드
추천자료
체육통게학- 빈도분포의 이해
[통계학][통계]통계학의 의의, 통계학의 기본개념, 통계학의 자료유형, 통계학의 변인, 통계...
[사회과학] 생물통계학 ) 돼지의 성별(M F)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다른지 95% 유의수준에서 두...
[사회과학] 생물통계학 ) 체중증가량 전체 자료의 평균이 우량체중증가 기준인 65와 유의한 ...
생물통계학 ) 돼지의 성별(M F)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다른지 95% 유의수준에서 두 모평균 비...
생물통계학 ) 사료의 종류에 따라 체중증가량이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95% 유의수준에서 분산...
생물통계학 ) 체중증가량 전체 자료의 성별(M F)에 따른 도수분포표와 히스토그램을 작성하라
생물통계학 ) 체중증가량 전체 자료의 평균이 우량체중증가 기준인 65와 유의한 차이가 있는...
생물통계학 ) 다음과 같이 사료 투여량과 체중증가 간에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한 산점도 작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