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통게학- 빈도분포의 이해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빈도분포의 의미

2.분포의 특성

3. 빈도분포의 유형

4. 그래프의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 않고
자료의 속성을 표현할 수 있는 이점(利點)이 있다.
체중한계 (X) 빈도(f) 상대비(R.f) 상대백분율(R.p)
81-83 2 0.04 4
78-80 3 0.06 6
75-77 3 0.06 6
72-74 7 0.14 14
69-71 11 0.22 22
66-68 12 0.24 24
63-65 3 0.06 6
60-62 5 0.10 10
57-59 4 0.08 8
합계 50 1.00 100
) 표3자료에 의한 상대적 빈도분포 표
4) 누가 빈도분포
표4의
자료에서 체중이 65kg인 사람이 자기보다 무거운 사람의 수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쉽게 알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누가 빈도 분포 표를 작성하는 것이 편리하다.
체중한계(X) 빈도(f) 누가빈도(C. f) 누가비(C. R. F) 누가백분율(R. p)
81-83 2 50 1.00 100
78-80 3 48 0.96 96
75-77 3 45 0.90 90
72-74 7 42 0.84 84
69-71 11 35 0.70 70
66-68 12 24 0.48 48
63-65 3 12 0.24 24
60-62 5 9 0.18 18
57-59 4 4 0.08 8
합계 50
누가 빈도분포를 상대적 빈도분포로 나타낼 때, 이를 누가 비 분포 또는 누가 백분율분포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급간의 누가 빈도(C. f)
누가 비(累加比, cum. R. f)= 전체 사례수(N)
급간의 누가 빈도(C. f)
누가 백분율百分率, cum. R. p)= 전체 사례수(N) ×100
누가 빈도는 특정한 급간 이상 또는 미만에 들어가는 측정치의 수나 비율을 신속하게 확인 가능케 할 뿐만 아니라 빈도분포의 해석이나 중앙치(中央
値), 백분율(百分率)등을 계산하는데 도움이 된다.
4. 그래프의 종류
통계학자들은 자료가 지니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제시하기 위하여 변수들의 속성상, 그리고 정보제공의 목적상 다양한 종류의 그래프를 제시하였다. 이는 한 형태의 그래프가 모든 자료를 묘사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없으므로 그래프를 그릴 때는 변수가 어떤 형태의 변수이고, 그래프가 어떤 목적을 위하여 쓰여질 것인지를 고려하여야 한다. 그래프의 종류로는 막대 그래프(bar graph), 선 그래프(line graph), 히스토그램(histogram), 절선 도표(도수분포 다각형도표, polygon), 누가 백분율 도표가 있다.
1) 막대그래프(bar graph)
변수가 질적 변수일 때 사용한다. 질적 변수란 사물을 구별하기 위하여 이름을 부여하는 명명척도에 의하여 측정된 변수로서 서열변수와 비 서열 질적 변수로 구분할 수 있다.
예)통계학을 수강하는 학생들의 전공의 다양성을 알아보기 위한 막대그래프.
전공대학 긋기 수강생 수 백분율(%)
인문대학 正正正正正正 30 15
자연대학 正正正正正正 30 15
체육대학 正正正正...........正正 80 40
사범대학 正正正正 20 10
법정대학 正正 10 5
가정대학 正正正 15 7.5
기타 正正 10 5
무응답 正 5 2.5
200 100
(%)
40
30
20
10
인문 자연 체육 사범 법정 가정 기타 무응답 전공
2)선 그래프(line graph)
변수가 양적 변수이며 비연속 변수일 때 사용한다. 양적 변수란 수량으로 표시되는 변수를 말하며, 비연속 변수란 특정 수치만을 가질 수 있는 변수를 말한다. 비연속 양적 변수로는 사람 수, 휴가일 수 등 특정수로 표현되는 수를 들 수 있다. 지능 점수, 학업 점수 등도 양적 비연속 변수로 분류되며, 때로는 양적 연속변수로 고려될 수 있다. 선 그래프의 형태는 막대 그래프와 유사하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막대 그래프는 명명척도에 의한 변수에 범주 위에 막대가 그려지는데 비하여 선 그래프는 명명척도에 의한 변수의 범주가 아니라 양적 변수의 수치 안에 선이 그려진다는 것이다.
3)히스토그램(histogram)
변수가 양적이고 연속변수일 때 사용한다. 선 그래프가 지니고 있는 취약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히스토그램을 사용할 수 있으며, 기술적으로 히스토그램은 막대 그래프와 선 그래프의 복합체라 볼 수 있다. 선 그래프는 양적 비연속 변수를 히스토그램은 양적 연속변수를 위하여 사용된다.
4)절선도표(polygon)
히스토그램과 마찬가지로 양적 변수일 때 사용하며, 도수분포 다각형도표 또는 빈도 분포다각형 도표라고도 한다.
5)누가 백분율도표
히스토그램과 절선도표는 양적 연속변수의 급간에 떨어져 있는 도수나 %를 나타내는 도표이다. 그러나 때로는 특정한 어떤 점수까지 누적된 도수나 백
분율을 알고자 할 때가 있다. 예를 들어 통계학 수강생들의 학기말 시험점수의 경우 80점 미만까지는 몇%, 혹은 몇 명인가를 알고자 할 때가 있다. 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표를 누가백분율도표 혹은 누가도수표(commulative frequency polygon)라 한다. 누가백분율도표는 세로축이%, 즉 백분율로 나타내며 누가도수표는 백분율 대신에 도수를 나타내는 것이 다른 점이다.
참고문헌
·김종택 저, 체육과 운동과학을 위한 운동통계학, 태근, 1997, p54∼58
·김기형·이현섭·강현보 저, 비전공자를 위한 체육통계학 기초, 대한미디어, 2003, p43∼64
·김기학·김기봉·최민동·허정·이동수·박정화·조국래·김헌경 공저,
수업 연구를 위한 체육측정평가, 형설 출판사, 1997, p295∼309
·고영환 저 체육인을 위한 기초/통계/분석 태근문화사 1995 p54∼64
·조근종·백영수 저, 체육통계학, 대한미디어, 1995, p9∼24
·조근종·백영수 저, PC SAS를 이용한 체육통계학 연습, 대한미디어, 1997,
p9∼ 24
·李車玉 저, 體育統計方法, 泰根文化社, 1997 p16∼ 26
·이차옥 저, 체육통계학, 學文社, 1990, p23∼31
·임병규 저, 體育統計學, 원광사, 1998, p16∼35
·임병규 저, 수업·연구를 위한 체육통계와 PC+/SAS데이타 분석법, 원광사, 1996, p35∼53
·데무라 신이치 저/ 윤형기 역 건강스포츠과학을 위한 통계학 금광 2003 p10∼ 16
·성태제 저 현대기초 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p26∼59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5.11.22
  • 저작시기2005.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225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