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Maslow의 욕구계층이론
1. 생리적 욕구
2. 안전욕구
3. 사회적 욕구
4. 존경욕구
5. 자아실현욕구
II. X-Y이론
III. ERG이론
1. 존재욕구(E)
2. 관계욕구(R)
3. 성장욕구(G)
IV. 성취-동기이론
1. 성취욕구
2. 권력욕구
3. 친교욕구
* 참고문헌
1. 생리적 욕구
2. 안전욕구
3. 사회적 욕구
4. 존경욕구
5. 자아실현욕구
II. X-Y이론
III. ERG이론
1. 존재욕구(E)
2. 관계욕구(R)
3. 성장욕구(G)
IV. 성취-동기이론
1. 성취욕구
2. 권력욕구
3. 친교욕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회적 욕구와 존경욕구에 해당하는 욕구로서 개인 간의 관계성을 포함하는 모든 욕구가 포함된다.
3. 성장욕구(growth needs : G)
Maslow의 자아실현욕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능력개발, 창의성, 성취감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ERG이론에서 아래 페이지의 그림과 같이 욕구충족행동은 만족-진행(satisfaction-progression)과 좌절-퇴행(frustration-regression)행동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즉 만족-진행 행동이란 하위수준의 욕구가 만족되면 상위수준의 욕구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으로 Maslow의 이론과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다.
좌절-퇴행행동이란 상위수준의 욕구를 추구하다가 이것이 좌절되면 하위수준의 욕구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성장욕구차원에서 자기능력에 맞는 보람 있는 일을 하려다가 좌절이 되면 동료와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유지하는 것과 같이 성장욕구 대신 관계욕구를 강화한다는 것이다.
<그림> ERG 이론
IV. 성취-동기이론
McClelland 및 동료들이 제안한 비교적 현대적인 동기부여가론으로 이들은 작업에 관련된 욕구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1.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 : nAch)
탁월성의 추구, 표준 이상의 성취, 성공을 위한 노력과 관계된 욕구
2. 권력욕구(need for power : nPow)
타인으로 하여금 자기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도록 하고 싶은 욕구
3. 친교욕구(need for affiliation : nAff)
우호적이고 친밀한 대인관계를 갖고 싶은 욕구
성취-동기부여가론은 이 가운데 특히 성취욕구에 초점을 둔 이론으로서 조직에서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에 대해 개인적인 책임을 맡을 수 있는 상황을 추구한다.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해 신속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이 되길 원한다. 즉 자신의 업적이 개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는상황을 원한다.
행운에 의해 성공하는 것을 싫어한다. 즉 문제해결을 위한 도전을 선호한다.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며, 결과에 대한 원인을 우연이나 다른 사람의 행동으로 돌리지 않는다.
중간정도의 성취목표를 선호한다. 따라서 조직에서 성취욕구가 강한사람은 이상의 상황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직무상황 하에서 매우 강하게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3. 성장욕구(growth needs : G)
Maslow의 자아실현욕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능력개발, 창의성, 성취감 등을 포함한다.
그런데 ERG이론에서 아래 페이지의 그림과 같이 욕구충족행동은 만족-진행(satisfaction-progression)과 좌절-퇴행(frustration-regression)행동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즉 만족-진행 행동이란 하위수준의 욕구가 만족되면 상위수준의 욕구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으로 Maslow의 이론과 같은 맥락으로 설명할 수 있다.
좌절-퇴행행동이란 상위수준의 욕구를 추구하다가 이것이 좌절되면 하위수준의 욕구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서 성장욕구차원에서 자기능력에 맞는 보람 있는 일을 하려다가 좌절이 되면 동료와의 관계를 더욱 긴밀하게 유지하는 것과 같이 성장욕구 대신 관계욕구를 강화한다는 것이다.
<그림> ERG 이론
IV. 성취-동기이론
McClelland 및 동료들이 제안한 비교적 현대적인 동기부여가론으로 이들은 작업에 관련된 욕구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분류하여 설명하였다.
1. 성취욕구(need for achievement : nAch)
탁월성의 추구, 표준 이상의 성취, 성공을 위한 노력과 관계된 욕구
2. 권력욕구(need for power : nPow)
타인으로 하여금 자기가 원하는 대로 행동하도록 하고 싶은 욕구
3. 친교욕구(need for affiliation : nAff)
우호적이고 친밀한 대인관계를 갖고 싶은 욕구
성취-동기부여가론은 이 가운데 특히 성취욕구에 초점을 둔 이론으로서 조직에서 성취욕구가 높은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다음과 같은 차이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어떤 문제에 대한 해결에 대해 개인적인 책임을 맡을 수 있는 상황을 추구한다.
자신의 행동결과에 대해 신속하고 구체적인 피드백이 되길 원한다. 즉 자신의 업적이 개선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는상황을 원한다.
행운에 의해 성공하는 것을 싫어한다. 즉 문제해결을 위한 도전을 선호한다. 성공이나 실패에 대한 책임을 받아들이며, 결과에 대한 원인을 우연이나 다른 사람의 행동으로 돌리지 않는다.
중간정도의 성취목표를 선호한다. 따라서 조직에서 성취욕구가 강한사람은 이상의 상황이 현저하게 나타나는 직무상황 하에서 매우 강하게 동기부여가 된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