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조직인프라
1. 지식경영전담조직
2. 지식경영 추진대상 선정
3. 지식경영 보상체제의 구축
4. 포럼의 활성화
5. 창의와 자율을 중시하는 조직운영
6. 아웃소싱 및 제휴의 확대
7. 열린 문화의 구축
8. 인력채용 및 개발방식의 개선
9. 성과중심의 교육 및 학습
10. 지적 자산의 측정 및 감사
11. 지식경영의 효과 측정
II. 휴먼인프라
1. CEO의 역할
2. 지식담당 최고경영자 및 지식담당경영자의 임명
III. 정보기술인프라
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2. 지식 원천의 발굴 및 연결
3. 지식창고의 구축
4. 지식지도의 작성
5. 베스트 프랙티스의 발굴 및 공유
* 참고문헌
1. 지식경영전담조직
2. 지식경영 추진대상 선정
3. 지식경영 보상체제의 구축
4. 포럼의 활성화
5. 창의와 자율을 중시하는 조직운영
6. 아웃소싱 및 제휴의 확대
7. 열린 문화의 구축
8. 인력채용 및 개발방식의 개선
9. 성과중심의 교육 및 학습
10. 지적 자산의 측정 및 감사
11. 지식경영의 효과 측정
II. 휴먼인프라
1. CEO의 역할
2. 지식담당 최고경영자 및 지식담당경영자의 임명
III. 정보기술인프라
1.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2. 지식 원천의 발굴 및 연결
3. 지식창고의 구축
4. 지식지도의 작성
5. 베스트 프랙티스의 발굴 및 공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리자, 지식촉진자, 프로젝트 관리자, 지식스폰서, 지식노동자 등의 조직과 역할을 정립하는 것을 말한다.
I) CEO의 역할
CEO는 지식경영의 비전을 제시하고 지식경영의 목표를 선정함으로써 지식경영의 방향과 지침을 종업원들에게 명확히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지식경영을 전파하고 솔선수범하는 지식경영의 전도사 및 지식경영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스폰서의 역할을 한다.
ii) 지식담당 최고경영자(CKO : chief knowledge officer)및 지식담당경영자(knowledge officer)의 임명
CKO는 지식경영의 주체로서 지식의 획득, 분배 및 효과적 활용을 관리하는 최고 책임자를 말한다. CKO는 지식경영을 위한 기반의 구축, 기업 전체에 대한 지식문화의 형성, 지식경영 프로세스의 관리, 지식경영을 통한 경제적 효과의 모니터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식경영의 직접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지식담당경영자를 활용한다.
III. 정보기술 인프라
정보기술 인프라란 지식의 창조, 공유, 학습, 축적을 지원하는 그룹웨어, 전자게시판, 각종 하드웨어 등의 정보기술시스템 등을 말한다.
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조직의 여러 부서 간에 지식의 전파 및 공유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ii) 지식 원천의 발굴 및 연결
정보기술을 활용해 지식의 원천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종업원을 연결한다.
iii) 정보인프라의 개방성 확보
사내 지식뿐만 아니라 외부의 지식창고와 연계될 수 있는 개방형 정보인프라를 구축한다. 특히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정보인프라의 근간으로 활용한다.
iv) 지식창고(knowledge repository)의 구축
종업원이나 조직의 지식을 보관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로서 과거의 구조적인 데이터만을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와는 달리 비구조화된 데이터까지 저장하여 경영활동에 활용하는 개념이다.
v) 지식지도(knowledge map)의 작성
기업이 갖고 있는 지식의 내용과 누가 어떤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을 말한다.
vi)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의 발굴 및 공유
지식경영에 관한 외부 조직의 벤치마킹을 통해 적용 가능한 작업방식을 배운다.
vii) 지식 경영시스템의 토탈시스템화
데이터베이스, 통신네트워크, 전문가 시스템 등의 정보인프라를 축으로 지식의 획득, 공유, 전이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지식 경영시스템을 구성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I) CEO의 역할
CEO는 지식경영의 비전을 제시하고 지식경영의 목표를 선정함으로써 지식경영의 방향과 지침을 종업원들에게 명확히 전달하도록 한다. 또한 지식경영을 전파하고 솔선수범하는 지식경영의 전도사 및 지식경영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스폰서의 역할을 한다.
ii) 지식담당 최고경영자(CKO : chief knowledge officer)및 지식담당경영자(knowledge officer)의 임명
CKO는 지식경영의 주체로서 지식의 획득, 분배 및 효과적 활용을 관리하는 최고 책임자를 말한다. CKO는 지식경영을 위한 기반의 구축, 기업 전체에 대한 지식문화의 형성, 지식경영 프로세스의 관리, 지식경영을 통한 경제적 효과의 모니터 등의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지식경영의 직접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지식담당경영자를 활용한다.
III. 정보기술 인프라
정보기술 인프라란 지식의 창조, 공유, 학습, 축적을 지원하는 그룹웨어, 전자게시판, 각종 하드웨어 등의 정보기술시스템 등을 말한다.
i)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조직의 여러 부서 간에 지식의 전파 및 공유가 가능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표준화가 필수적이다.
ii) 지식 원천의 발굴 및 연결
정보기술을 활용해 지식의 원천과 지식을 필요로 하는 종업원을 연결한다.
iii) 정보인프라의 개방성 확보
사내 지식뿐만 아니라 외부의 지식창고와 연계될 수 있는 개방형 정보인프라를 구축한다. 특히 인터넷과 인트라넷을 정보인프라의 근간으로 활용한다.
iv) 지식창고(knowledge repository)의 구축
종업원이나 조직의 지식을 보관할 수 있는 지식베이스로서 과거의 구조적인 데이터만을 보관하는 데이터베이스와는 달리 비구조화된 데이터까지 저장하여 경영활동에 활용하는 개념이다.
v) 지식지도(knowledge map)의 작성
기업이 갖고 있는 지식의 내용과 누가 어떤 지식을 소유하고 있는지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을 말한다.
vi) 베스트 프랙티스(best practice)의 발굴 및 공유
지식경영에 관한 외부 조직의 벤치마킹을 통해 적용 가능한 작업방식을 배운다.
vii) 지식 경영시스템의 토탈시스템화
데이터베이스, 통신네트워크, 전문가 시스템 등의 정보인프라를 축으로 지식의 획득, 공유, 전이를 위한 소프트웨어로 지식 경영시스템을 구성한다.
* 참고문헌
경영학 - 최수형/추교완 외 1명 저, 피앤씨미디어, 2013
2018 재미있는 경영학 워크북 - 최중락 저, 상경사, 2018
경영학의 이해 - 이규현 저, 학현사, 2018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사례중심의 경영학원론 - 김명호 저, 두남, 2018
내일을 비추는 경영학 - 시어도어 레빗 저/정준희 역, 스마트비즈니스, 2011
경영학의 진리체계 - 윤석철 저, 경문사, 2012
국제경영학 - 김신 저, 박영사, 2012
경영학원론 - Gulati Mayo 외 1명 저, 카오스북,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