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의 내막 스탈린의 극비전문서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전쟁의 내막 스탈린의 극비전문서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전쟁 발발기 ― 암호명 필리포프 (Filippov)

Ⅲ. 유엔군 반격기 ― 중공개입의 내막

Ⅳ. 결론

본문내용

бе .Во-вторых, надорвавшись на этом деле , Америка будет неспособна в ближайшее время на третью мировую войну. Стало быть, третья мировая война будет отложена на неопределенный срок, что обеспечит необходимое время для укрепления социальзма в Европе.Я уже не говорю о том, что борьба Америки с Китаем должна будет революционизировать всю Дальневосточную Азию.Дает ли все это нам плюс с точки зрения баланса мировых сил? Безусловно дает.
Как видите, дело об участии и неучасти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в Совете Безопасности не такой уж простой вопрос, как это может показаться на первый взгляд.
В силу всего этого мы не можем сказать, что \"лагерю демократии нет необходимости уходить из Совета Безопасности\".Уход или неуход зависит от обстоятельств .Мы можем еще раз уйти из Совета Безопасности и еще раз вернуться, в зависимости от международной обстановки.
Могут спросить для чего же мы вернулись теперь в Совет ,безопасности .Для того, чтобы продолжить разоблачение агрессивной политики американского правительства и помешать ему прикрывать свою агрессию флагом Совета Безопасности.Теперь, когда Америка уже втянулась в агрессию в Корее, легче всего будет добиться этой цели, находясь в Совете Безопасности.Я думаю, что это понятно и не нуждается в дальнейших разъяснениях.
ФИЛИППОВ.
27 августа 1950 г.\"
РГАСПИ.Ф N 558, Оп.N 11, Д N 62, Л N 71-72
<번역본>
문서 국가기밀
프라하 주재 소련 대사에게
다음 전언(傳言)을 고트발트 대통령에게 구두(口頭)로 전달하시오. 그의 요청이 있을 시엔 우편으로 그에게 연락을 취하시오. … \"소련은 다음 네 가지 이유 때문에 안보리에 불참했소. 첫 번째, 소련이 새로 탄생한 중국과 연대할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요. 두 번째, 국민당에 소속된 놈을 중국의 안보리 대표로 앉히려는 미국의 정책이 어리석다는 걸 강조하기 위해서요. 세 번째, 두 강대국(譯註: 소련과 중국)의 대표들이 불참함으로써 안보리의 결정을 불법화시키기 위해서요. 네 번째, 美 정부의 자유재량에 맡겨 안보리에서 다수표를 획득하기 위해서일 뿐만 아니라 미국이 더 많은 실수를 저지르게 하여 그들의 진정한 모습을 국제사회에 보여주기 위해서요. 나는 우리가 위에서 언급된 모든 목표들을 실행에 옮기고 있을 거라 믿고 있소.
소련이 안보리에 불참한 이후 미국은 한반도 內 군사적 개입에 말려들고 있소. 더군다나 미국은 현재 그들의 군사적 위신과 도덕적 권위를 떨어트리고 있소. 미국이 한반도에서 침략자 내지는 독재자 역할을 수행한다는 사실을 의심하는 사람은 몇 안 되오. 그리고 군사적으로는 미국이 주장하는 것만치 힘이 강하지 않다는 걸 의심하는 사람도 별로 없소. 그밖에도 미합중국은 현재 극동 문제로 인하여 유럽이 아닌 딴 곳으로 관심을 돌린 것이 확실하오. 이것이 국제적인 세력균형에 있어 소련에 이득이 되지 않겠소? 난 이득이 된다고 보오.
美 정부가 극동 문제에 지속적으로 관여하고 그들이 중공을 조선의 해방과 독립을 위한 전쟁에 끌어들일 것이라 가정해보도록 하오. 이것을 통해 어떤 결론을 내릴 수 있소?
첫째, 다른 국가들도 그렇지만 미국도 매우 거대한 군사력을 갖춘 중국을 막 대할 순 없소. 미국은 이번 전쟁을 통해 치명타를 맞을 것이 분명하오. 둘째, 타격을 맞은 미국은 3차 세계대전에 참전할 수 없을 것이오. 그러므로 3차 세계대전은 불특정 기간 동안 연기될 것이고, 유럽에서 사회주의를 확대시키기에 충분한 시간 또한 제공할 것이오. 뿐만 아니라 미중 간 대립은 극동 전체를 개혁 상태로 이행(移行)시킬 것이오. 이것이 국제적인 세력균형에 있어 소련에 이득이 되지 않겠소? 난 이득이 된다고 보오.
당신도 알겠지만 소련이 안보리의 회원국이 돼야하는지 말아야하는지에 관한 문제는 겉으로 드러나는 것처럼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오. … 우리는 국제정세에 따라 안보리를 또 떠날 지도 모르며, 또 한 번 돌아올 지도 모르는 일 일터.
물론 우리가 왜 안보리로 돌아왔는지 물을 수도 있겠소. 우리는 美 정부의 호전(好戰)적인 정책을 지속적으로 알리고, 그들이 호전적인 성향을 은폐하기 위해 안보리를 이용해먹는 걸 막고자 돌아온 것이오. 안보리에서 다수표를 얻기 위해 美 정부의 자유재량에 맡기는 것은 유엔 안보리를 보이콧하는 목적 中 하나이며, 나는 미국이 더 많은 실수를 저지르고, 그들이 진정한 모습들을 국제사회에 보여주길 원하오. 미국은 한반도 문제에 호전적으로 개입하고 있는 터라, 우리가 안보리의 회원국으로 남아있는 동안엔 본 목표를 추구하기가 한결 쉬워질 것이오. 난 본 목표가 충분히 분명하고, 더 이상의 설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드오.
필리포프(Filippov)
1950년 8월 27일\"
문서번호 fond 558, opis 11, delo 62, listy 71-72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20.01.04
  • 저작시기2014.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