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무용사) 이시대의 컨템포러리댄스 한국무용창작에 관해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무용사) 이시대의 컨템포러리댄스 한국무용창작에 관해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조택원
1) 조택원의 생애
2) 조택원의 작품경향

2. 최승희
1) 최승희의 생애
2) 최승희의 작품경향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김영팔(金永八)·이익상(李益相)·박용대(朴容大)·이적효(李赤曉)·이상화(李相和)·김온(金穩)·김복진(金復鎭)·안석주(安碩柱)·송영(宋影) 등이 있다.
문학그룹에서 남편 안막을 만나게 되고 안막 본명 안필승(安弼承). 필명은 추백(萩白). 1910년 4월 18일 경기도 안성 출생.
은 최승희의 무용 인생 최고의 후원자가 되었다.
최승희는 이시이바꾸의 영향 아래 시대적인 정신과 민족의식을 고양하는 무용 창작활동을 시작하였고 본질적이고 실질적인 민족무용 창작활동에 최선을 다했다. 또한, 창작활동을 계기로 세 차례의 무용발표회를 했으며 이는 일본 무대에서 큰 성공을 거두고 세계적인 무용가로 이름을 알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미국 샌프란시스코 카란에서 첫 무대를 공연하고 미국 여러 나라의 공연을 통해 그녀의 예술에 대한 찬사가 쏟아졌다. 최승희는 미국과 유럽, 중남미의 세계 여러 나라를 순회하며 약 150회의 공연을 치렀다. 이로써 그녀는 동양의 무용가로서 조선 민족무용이 세계 무용사의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는 게 큰 공헌을 하였다. 세계 공연을 마친 최승희는 1941년 중국에서 공연을 시작하면서 전통문화에 대한 고찰을 시작했다.
이처럼 최승희는 세계에서 활동한 무용공연을 통해 심층적이고 전체적인 사유를 얻었으며 한 단계 높은 동양무용의 새로운 창조 활동으로 그녀가 무용가로서 성공하는 데 큰 역할을 해줬다. 무용뿐만 아니라 그녀는 조선의 시대 상황에 맞는 글들을 쓰면서 자신의 견해를 밝혔으며 정치적인 정세에 맞추기 위한 노력도 하였다. 이처럼 최승희는 일본강점기에 시련을 겪으면서도 무용 예술에 대한 열정과 노력으로 자신만의 독자적인 양식을 만들어내고 조선과 한국뿐 아니라 신중국 무용사에까지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였으며 세계 여러 나라의 국민과 예술가들 마음속에 훌륭한 무용예술가로 자리매김하였다.
2) 최승희의 작품 경향
최승희의 작품은 시대적 흐름에 따라 다음과 같은 유형으로 나뉜다.
첫째, 1930~40년대까지 민족 무용 의식이 크게 반영된 작품 백여 가지를 창작하였다. 이 시기 그녀는 이시이바꾸 무용연구소에서 배운 무용을 고국에 돌아와 ‘최승희 무용연구소’를 통해 독립적으로 발전시켰다. 이때의 대표적 작품으로는 ‘영산무’, ‘승무’,‘고구려의 전무’, ‘봉산탈춤’등이 있다.
두 번째는 1941~45년 사이 동양 무용 의식을 자각하게 된다. 이 시기에 최승희는 중국에서 무용 활동을 하면서 중국 문화를 접목하는 동양적 무용을 창조하기 위해 노력한다. 이 시기의 대표작으로는 ‘한궁추월’, ‘노생’ ‘패왕별희’ 등이 있다. 이시기에 그녀는 중국의 형과 일본의 색 그리고 조선의 색을 이용하는 작품을 창작하였다.
세 번째는 1946~60년까지 민족무용이 정립의식을 갖추고 북한에서의 창작활동을 이어갔다. 최승희는 월북 후 사회주의의 이념에 무용극 형식과 군무 형태를 접목하게 된다. 이 시기의 대표작은 ‘반야월성곡’, ‘파계승무’,‘조국의 깃발’ 등이 있다.
Ⅲ. 결론
조택원은 일제 강점하에 조선의 무용문화를 신장시켰으며 예술의 세계를 체계화 하기 위해 힘썼다. 그리고 격변하는 시대에 신무용의 위치를 굳히는데 큰 역할을 담당했다. 또한, 최승희는 한국과 조선, 그리고 중국 일본 등의 동양 문화권뿐 아니라 세계적인 무용 역사에 기록될 큰 영향을 무용인이다. 우리는 이들이 이룩한 무용 예술을 계승시키며 이들의 한계점을 기초로 하여 효율적인 무용 예술을 창조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연구하고 실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김찬정, 춤꾼 최승희, 한국방송출판
2. 이애순, 최승희 무용예술연구, 국학자료원
3. 김인희, 조택원의 예술세계에 관한 연구, 1990
  • 가격2,8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01.07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19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