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사회복지사의 정의와 현황
본론 -사회복지사의 업무 및 실태
결론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갖춰야 할 역량
참고문헌
본론 -사회복지사의 업무 및 실태
결론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갖춰야 할 역량
참고문헌
본문내용
론 시민 개개인에 따라 주관적으로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라 강요가 어려운 측면이 있지만 적어도 정부의 사회복지적인 정책과 관련하여서는 대리자의 입장에서 최대한 관련하여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한 노력에는 그저 정해진 서비스 혹은 내가 받은 교육관련 내용에 있어서의 전달과 실천도 중요하지만, 그러한 것보다 더 중요한 측면이 있다고 생각했다. 바로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다. 내가 마음으로 인정하지 못하고 이해하지 못한 것을 실천해야 한다고 했을 때 그러한 사람으로부터 도움을 받는 입장에서는 불쾌감 내지는 더 나아가 상대적인 박탈감도 느낄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렇게 될시 1차 적인 사람들의 시선에 의한 상처와 더불어 2차적으로 또 상처를 입게되는 것이다. 도움을 받는 사람들이 마음을 닫고 사회를 대상으로 부정적인 마음을 키워갈수록 사회는 더욱 비뚤고 왜곡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하지 말아야겠다고 생각하였다. 이러한 부분은 비단 다문화뿐만 아니라 이 사회 곳곳에서 소외당하고 상처받고 차별받을 수 있는 여러 약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도 해당되는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약자를 돕는 것 혹은 약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을 도울 때의 마음가짐은 내가 강자라서 배푼다는 식이 아니라 그저 인간 대 인간으로서 상대의 상황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유대감에서 시작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자료 조사를 하면서 느낀 것은 사회복지사는 그 어떠한 직업보다도 이론과 실천의 간극이 큰 성격을 띄고 있지만 그러한 간극을 최소화 시켜나가는 것이 평생 숙제인 직업이라는 점이었다. 전문화된 지식을 갖추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하고 그러한 지식을 기반으로 하여 현실에서 그러한 지원이나 도움이나 조력을 받는 사람으로 하여금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효과를 지속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 같다. 그렇게 사회의 안정적이고 포근한 테두리가 마련되어있어야 누구든지 쉽게 도움을 청할 수 있고, 또 복지사 입장에서도 쉽게 도움을 줄 수도 있다고 생각했다. 또한 자신의 업무에 임하는 자세에 있어서도 자부심을 갖고 건전한 사고방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다.
참고문헌
1. 사회복지사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_(임정기 저. 2019)
2. 성폭력 피해자를 돕는 사회복지사들의 분투와 성장: 원스톱 위치개입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_(송지연, 정혜숙 저. 2015.12)
참고문헌
1. 사회복지사는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가? -사회복지사가 말하는 사회복지사의 정체성_(임정기 저. 2019)
2. 성폭력 피해자를 돕는 사회복지사들의 분투와 성장: 원스톱 위치개입 현장 사회복지사들의 경험을 중심으로_(송지연, 정혜숙 저. 2015.12)
추천자료
직업선택과 관심 있는 직업조사 ( 교사, 사회 보기사, 기자, 시민운동가, 판검사 )
실천딜레마(dilemma)와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실천딜레마와 윤리적 의사결정모델
사회복지실천의 다문화관점
[중소기업사업][사업계획서 작성방법]중소기업사업의 사업성분석, 중소기업사업의 공동브랜드...
[복지관 실습] 용인정신병원 사회사업과 사회복지 실습 {기관소개, 기관의 주요사업내용, 실...
역량을 갖춘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예비사회복지사인 당신이 할수 있는 준비는 무엇인가
[가족복지론] 역량을 갖춘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예비사회복지사인 내가 할 수 있는 준비
역량을 갖춘 사회복지사가 되기 위해 예비사회복지사인 당신이 할 수 있는 준비에는 무엇이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