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케이스 분석 과정>
1. back ground information
2. 사정 (assessment)
3. 목표 설정
4. 개입방법
1) 긍정적 과정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
2) 긍정적 과정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
3) 긍정적 과정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
5. 해결중심모델의 방법
1. back ground information
2. 사정 (assessment)
3. 목표 설정
4. 개입방법
1) 긍정적 과정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
2) 긍정적 과정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
3) 긍정적 과정 상담자와 내담자의 대화
5. 해결중심모델의 방법
본문내용
이언트가 동의한 목표와 관련이있기 때문에 차원은 각각의 사람-문제-상황마다 다르다. 캠톤(Compton)과 갈라웨이(Galaway)와 카글레(Kagle)은 목표 달성척도의 사용 절차를 요약하고 있다. 목표달성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여러분은 목표달성 척도와 관련해서 가능한 결과들을 5가지로 예측하며 이러한 예측은 여러분과 클라이언트에게 평가를 위한기초를 제공한다. 평가 결과의 범주는 가장 부정적인 것에서부터가장 긍정적인 것까지 있다. 여기에는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하는방법이 있다.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빈도와 주관적 평가가 있다. 빈도는 여러분, 클라이언트 또는 클라이언트의 주변 인물이 최종목표와 관련이 있는 특정 현상의 횟수를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자존감에 대해 생각해 보자.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한다. 여러분과 클라이언트는 최종 목표를 클라이언트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횟수를 높이는 것으로 정할 것이다. 여러분은 클라이언트가 주어진 기간, 가령 일주일간 매일 동안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횟수를 세어 기록할 수있도록 메모장을 제공할 수 있다.그 다음 그 동안 기록한 자료를 그래프에 옮긴다. 빈도는 개입이 시작되기 전 표적현상의 기초선자료로 사용되며 기초선 자료는 여러분의 접근방법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빈도는 다양한 현상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자료 : 김인수,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 하나의 학식, 1995.
공감적 듣기 전략에 따른 자기노출의 긍정적 과정 연구 -영화 <굿윌헌팅> 분석을 중심으로 임영주, 권순희(이화여대)
목표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방법에는 빈도와 주관적 평가가 있다. 빈도는 여러분, 클라이언트 또는 클라이언트의 주변 인물이 최종목표와 관련이 있는 특정 현상의 횟수를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들어, 자존감에 대해 생각해 보자.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에 대해 비관적인 생각을 한다. 여러분과 클라이언트는 최종 목표를 클라이언트가 자신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횟수를 높이는 것으로 정할 것이다. 여러분은 클라이언트가 주어진 기간, 가령 일주일간 매일 동안 자신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횟수를 세어 기록할 수있도록 메모장을 제공할 수 있다.그 다음 그 동안 기록한 자료를 그래프에 옮긴다. 빈도는 개입이 시작되기 전 표적현상의 기초선자료로 사용되며 기초선 자료는 여러분의 접근방법의 효과성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된다. 빈도는 다양한 현상에 적용될 수 있다.
참고자료 : 김인수, 해결중심적 단기가족치료, 하나의 학식, 1995.
공감적 듣기 전략에 따른 자기노출의 긍정적 과정 연구 -영화 <굿윌헌팅> 분석을 중심으로 임영주, 권순희(이화여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