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하고 37.5 미만일 경우
광선요법을 중단하지 않았다.
* 신생아에게 적용된 안대의 크기가 신생아의 양 눈을 완벽히 가릴만한 크기임을 확인
했고 콧잔등 위까지 오는 것을 관찰했다. (By SN)
* 통 목욕 후 안대를 씌우기 전에 신생아의 눈이 감겨있는지 확인했고, 공막이 다치지
않게 주의를 기울인 후 적용했다. (By SN)
* 신생아 안대 적용 후 눈의 상태를 4시간마다 점검했다. (By SN)
- 눈꺼풀이 제대로 감겨있는지, 공막의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했다.
11/13일 (11:30/15:30)
눈꺼풀 상태
이상 없음
공막 상태
이상 없음
* 안대가 코와 만나는 지점을 관찰하여 벌어진 틈사이가 생기지 않았는지 확인했다.
(By SN)
* 신생아의 손을 손싸개로 싸서 얼굴과 눈 부위를 건드리지 않도록 했다. (By RN, SN)
- 매일 아침 10:00 소독된 손싸개를 가져와 모든 신생아들의 손에 적용했다.
* 신생아 양쪽 관자놀이에 붙어있는 고정 테이프가 양호한지 매 시간 확인했다.
(By SN)
* 3시간 마다 실시되는 수유 동안 광선요법을 중단하고 안대를 제거한 후에 수유를 실
시했다. (By SN)
- 평가
* 신생아는 입원실 실습기간 (11/12-11/14)동안 안대 적용 부분에 벌어진 틈이 생기지
않도록 확인하여 눈에 대한 손상을 입지 않았다.
* 신생아는 광선요법 치료를 중단하고 상태가 양호해져 11/14일 오전에 퇴원했다.
- 11/13 Bilirubin 9.6 mg/dl
2. 광선요법으로 인한 탈수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주관적자료 : 1. (수액 투여의 이유에 관한 물음에) 황달있는 애들은 광선요법 받으면 탈
수 되기가 쉽거든요? 그래서 10% 랑 Nacl 섞어서 Hydration 시키는 거에
요. 그리고 애들 피부 하얗게 일어난거 보이죠? 이것도 피부손상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잘 봐줘야되요.
객관적자료 :
1. 11/11 검사 결과 Bilirubin 수치 16.1mg/dl 이며, 11/12일과 13일 연속된
Phototherapy 중 임을 관찰.
2. 광선요법을 적용 중인 신생아의 몸통에 하얗게 일어난 피부낙설 관찰.
3. 신생아의 몸통은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띄었으나 양 볼이나 코 끝같은 돌출된 부위를
눌렀다 떼었을 시 황달이 관찰되며 전체적으로 건조해 보임.
4. 신생아의 대변양상
11/12
11/13
Day
1회
(색은 녹색이었으며 약간 묽은 대변 양상)
1회
(색은 녹색이었으며 약간 묽은 대변 양상)
- 광선요법이 장을 통해서 간접 빌리루빈의 배설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묽은 배변을
볼 수 있다고 함. 탈수 및 피부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
- 단기목표 : 신생아는 실습이 끝나는 11/16일까지 탈수와 피부손상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
지 않는다.
- 장기목표 : 신생아는 광선요법에 의한 황달의 치료를 끝내고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적으
로 돌아간다.
신생아는 탈수와 관련된 피부손상이 없이 정상적으로 퇴원을 한다.
- 계획
* 신생아의 탈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 체온 상승, 피부 낙설 및 발진, 소변 및 대변량 감소 등
* 고체온 상태가 되면 탈수가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를 감시한다.
* 신생아에게 피부손상의 징후가 있는지 파악하고 2시간에 한번씩 체위변경을 한다.
- 모든 피부가 빛에 노출되도록 자세를 바꿔주는 동시에 피부손상의 흔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도록 확인한다.
*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 램프와 신생아와의 거리를 유지해 피부손상의 가능성을 줄인다.
* 신생아에게 수액을 투여해 전해질 장애와 체액 불균형의 가능성을 줄인다.
* 신생아의 불감성 손실과 장관의 수분 손실을 고려하여 Intake & Output을 주의깊게
체크한다.
* 빌리루빈 상승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6-12시간마다 혈청 빌리루빈 수치를 측
정한다.
- 수행
* 시진과 촉진을 통해 신생아의 피부를 관찰하여 탈수 증상 및 징후를 체크했다.
(By SN)
- 몸통과 다리 부위에 하얗게 일어난 피부 낙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촉진으로 눌러본 결과 피부가 얇고 건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간에 맞춰 V/S을 재어 신생아의 온도 변화를 감시했다. (By RN, SN)
- 37.5 이하 일 경우 광선요법을 중단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경우 37도 이상이었
으므로 탈수의 위험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1/12
11/13
0:00
37.1
37.3
09:00
37.4
36.9
16:00
37.5
37.3
* 신생아에게 피부손상의 징후가 있는지 파악하고 2시간에 한번 씩 체위변경을 실시했
다. (By RN, SN)
- 신생아의 피부는 붉었으며 buttock 부위에 2cm 크기의 점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피부손상이 아님을 확인) 건조한 것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었다.
*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도록 확인했다. (By SN)
- 약하고 얇은 피부에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면 피부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짐.
* 램프와 신생아와의 거리를 유지해 피부손상의 가능성을 줄였다. (By RN)
- 최소 46cm 이상으로 위치시킨다.
* 신생아에게 수액을 투여해 전해질 장애와 체액 불균형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관찰
했다. (By SN)
- 10% D/W 500ml/BT (q24hrs) 투여
- Nacl40meq/20ml (q24hrs) 투여
* 매 Duty마다 기저귀를 갈 때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파악하여 인큐베이터 옆에 달려있
는 종이에 기록했다. (By RN, SN)
* 빌리루빈 상승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6-12시간마다 혈청 빌리루빈 수치를 측
정했다. (By RN, 담당 의사)
검사
11/11
11/13
단위
Bilirubin
16.1
9.6
mg/dl
- 평가
* 신생아는 입원실 실습기간 (11/12-11/14)동안 피부손상의 증상과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 신생아는 광선요법 치료를 중단하고 상태가 양호해져 11/14일 오전에 퇴원했다.
- 11/13 Bilirubin 9.6 mg/dl
광선요법을 중단하지 않았다.
* 신생아에게 적용된 안대의 크기가 신생아의 양 눈을 완벽히 가릴만한 크기임을 확인
했고 콧잔등 위까지 오는 것을 관찰했다. (By SN)
* 통 목욕 후 안대를 씌우기 전에 신생아의 눈이 감겨있는지 확인했고, 공막이 다치지
않게 주의를 기울인 후 적용했다. (By SN)
* 신생아 안대 적용 후 눈의 상태를 4시간마다 점검했다. (By SN)
- 눈꺼풀이 제대로 감겨있는지, 공막의 상태가 양호한지 확인했다.
11/13일 (11:30/15:30)
눈꺼풀 상태
이상 없음
공막 상태
이상 없음
* 안대가 코와 만나는 지점을 관찰하여 벌어진 틈사이가 생기지 않았는지 확인했다.
(By SN)
* 신생아의 손을 손싸개로 싸서 얼굴과 눈 부위를 건드리지 않도록 했다. (By RN, SN)
- 매일 아침 10:00 소독된 손싸개를 가져와 모든 신생아들의 손에 적용했다.
* 신생아 양쪽 관자놀이에 붙어있는 고정 테이프가 양호한지 매 시간 확인했다.
(By SN)
* 3시간 마다 실시되는 수유 동안 광선요법을 중단하고 안대를 제거한 후에 수유를 실
시했다. (By SN)
- 평가
* 신생아는 입원실 실습기간 (11/12-11/14)동안 안대 적용 부분에 벌어진 틈이 생기지
않도록 확인하여 눈에 대한 손상을 입지 않았다.
* 신생아는 광선요법 치료를 중단하고 상태가 양호해져 11/14일 오전에 퇴원했다.
- 11/13 Bilirubin 9.6 mg/dl
2. 광선요법으로 인한 탈수와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주관적자료 : 1. (수액 투여의 이유에 관한 물음에) 황달있는 애들은 광선요법 받으면 탈
수 되기가 쉽거든요? 그래서 10% 랑 Nacl 섞어서 Hydration 시키는 거에
요. 그리고 애들 피부 하얗게 일어난거 보이죠? 이것도 피부손상으로 갈 수
있기 때문에 잘 봐줘야되요.
객관적자료 :
1. 11/11 검사 결과 Bilirubin 수치 16.1mg/dl 이며, 11/12일과 13일 연속된
Phototherapy 중 임을 관찰.
2. 광선요법을 적용 중인 신생아의 몸통에 하얗게 일어난 피부낙설 관찰.
3. 신생아의 몸통은 전체적으로 붉은 색을 띄었으나 양 볼이나 코 끝같은 돌출된 부위를
눌렀다 떼었을 시 황달이 관찰되며 전체적으로 건조해 보임.
4. 신생아의 대변양상
11/12
11/13
Day
1회
(색은 녹색이었으며 약간 묽은 대변 양상)
1회
(색은 녹색이었으며 약간 묽은 대변 양상)
- 광선요법이 장을 통해서 간접 빌리루빈의 배설을 증진시키기 때문에 묽은 배변을
볼 수 있다고 함. 탈수 및 피부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확인.
- 단기목표 : 신생아는 실습이 끝나는 11/16일까지 탈수와 피부손상의 증상과 징후를 보이
지 않는다.
- 장기목표 : 신생아는 광선요법에 의한 황달의 치료를 끝내고 빌리루빈 수치가 정상적으
로 돌아간다.
신생아는 탈수와 관련된 피부손상이 없이 정상적으로 퇴원을 한다.
- 계획
* 신생아의 탈수 증상과 징후가 나타나는지 파악한다.
- 체온 상승, 피부 낙설 및 발진, 소변 및 대변량 감소 등
* 고체온 상태가 되면 탈수가 쉽게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온도 변화를 감시한다.
* 신생아에게 피부손상의 징후가 있는지 파악하고 2시간에 한번씩 체위변경을 한다.
- 모든 피부가 빛에 노출되도록 자세를 바꿔주는 동시에 피부손상의 흔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도록 확인한다.
* 피부를 건조하고 깨끗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 램프와 신생아와의 거리를 유지해 피부손상의 가능성을 줄인다.
* 신생아에게 수액을 투여해 전해질 장애와 체액 불균형의 가능성을 줄인다.
* 신생아의 불감성 손실과 장관의 수분 손실을 고려하여 Intake & Output을 주의깊게
체크한다.
* 빌리루빈 상승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6-12시간마다 혈청 빌리루빈 수치를 측
정한다.
- 수행
* 시진과 촉진을 통해 신생아의 피부를 관찰하여 탈수 증상 및 징후를 체크했다.
(By SN)
- 몸통과 다리 부위에 하얗게 일어난 피부 낙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촉진으로 눌러본 결과 피부가 얇고 건조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간에 맞춰 V/S을 재어 신생아의 온도 변화를 감시했다. (By RN, SN)
- 37.5 이하 일 경우 광선요법을 중단하지 않았으나, 대부분의 경우 37도 이상이었
으므로 탈수의 위험성이 있다고 볼 수 있다.
11/12
11/13
0:00
37.1
37.3
09:00
37.4
36.9
16:00
37.5
37.3
* 신생아에게 피부손상의 징후가 있는지 파악하고 2시간에 한번 씩 체위변경을 실시했
다. (By RN, SN)
- 신생아의 피부는 붉었으며 buttock 부위에 2cm 크기의 점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피부손상이 아님을 확인) 건조한 것 외에는 특이사항이 없었다.
* 피부 손상을 막기 위해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지 않도록 확인했다. (By SN)
- 약하고 얇은 피부에 오일이나 로션을 바르면 피부 손상의 가능성이 높아짐.
* 램프와 신생아와의 거리를 유지해 피부손상의 가능성을 줄였다. (By RN)
- 최소 46cm 이상으로 위치시킨다.
* 신생아에게 수액을 투여해 전해질 장애와 체액 불균형의 가능성을 줄이는 것을 관찰
했다. (By SN)
- 10% D/W 500ml/BT (q24hrs) 투여
- Nacl40meq/20ml (q24hrs) 투여
* 매 Duty마다 기저귀를 갈 때 소변과 대변의 횟수를 파악하여 인큐베이터 옆에 달려있
는 종이에 기록했다. (By RN, SN)
* 빌리루빈 상승과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6-12시간마다 혈청 빌리루빈 수치를 측
정했다. (By RN, 담당 의사)
검사
11/11
11/13
단위
Bilirubin
16.1
9.6
mg/dl
- 평가
* 신생아는 입원실 실습기간 (11/12-11/14)동안 피부손상의 증상과 징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 신생아는 광선요법 치료를 중단하고 상태가 양호해져 11/14일 오전에 퇴원했다.
- 11/13 Bilirubin 9.6 mg/d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