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는 ‘내가 무엇을 하면 다른 사람이 기뻐할까?’라는 시점에서 생각할 것을 권한다.
- ‘나는 무슨일이 일어나도 겁먹지 않아’라고 자기이미지를 높여라.
- 모든 감정을 오락으로 생각하고 즐겨라.
-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감정만을 자신에게 허락하라.
3. 삶에 비추어 볼 점
1) 미래가 과거를 결정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과거가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가 과거를 결정한다는 논리에 동감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자신은 과거의 나의 행적, 나의 졸업장 등에 의해서 나의 미래가 결정된다는 고정관념에 갖혀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나의 착각이었다.
2) 불만족스러운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건 오직 나의 ‘실행’뿐이다. 잔뜩 쌓인 스트레스를 풀고 머릿속을 비우기 위해 여행을 가거나 친구들과 술을 마시더라도 결국 달라지는 것은 없다.
3) 우월감과 행복감은 다르다 우월감은 혼자만의 쾌감이다. 즉 자신만의 행복이다.
인간의 행복에는 반드시 자신이외의 사람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신만의 행복’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모두가 행복하니 나도 행복해라고 느끼는 것이 인간의 행복이다.
2020.1.5. bk.kim
- ‘나는 무슨일이 일어나도 겁먹지 않아’라고 자기이미지를 높여라.
- 모든 감정을 오락으로 생각하고 즐겨라.
-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감정만을 자신에게 허락하라.
3. 삶에 비추어 볼 점
1) 미래가 과거를 결정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과거가 미래를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가 과거를 결정한다는 논리에 동감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이제까지 자신은 과거의 나의 행적, 나의 졸업장 등에 의해서 나의 미래가 결정된다는 고정관념에 갖혀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나의 착각이었다.
2) 불만족스러운 현실을 바꿀 수 있는 건 오직 나의 ‘실행’뿐이다. 잔뜩 쌓인 스트레스를 풀고 머릿속을 비우기 위해 여행을 가거나 친구들과 술을 마시더라도 결국 달라지는 것은 없다.
3) 우월감과 행복감은 다르다 우월감은 혼자만의 쾌감이다. 즉 자신만의 행복이다.
인간의 행복에는 반드시 자신이외의 사람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므로 ‘자신만의 행복’ 있을 수 없는 것이다. 모두가 행복하니 나도 행복해라고 느끼는 것이 인간의 행복이다.
2020.1.5. bk.kim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