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 응급실 사례 부정맥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 응급실 사례 부정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줄어들어 빈 호흡과 빈맥, 저혈압이 나타난다.
2. 비정상적인 심장박동에 비해 심박출량이 줄어들어 머리나 몸 전체로의 혈액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여 심계항진이나 어지럼증을 느끼거나 실신, 반복될 경우 피로감을 느낀다.
3. 심장의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않아 가슴에 통증이 생기거나 뻐근한 느낌이 든다.
4. 혈액 순환 감소 시 피부가 차고 축축해지며 혈압이 떨어진다.
5.부정맥과 관상동맥질환의 진단에 가장 많이 이용되며, 부정맥으로 사망을 초래 할수 있어 지속적으로 모니터 한다.
6. 조직에 산소를 공급하기 위한 보상기전으로 적절한 산소의 공급으로 심장의 부담을 줄인다.
7. 전해질 검사에서 칼륨의 상승과 감소, 칼슘의 감소는 심장의 불안정의 원인이 된다.
8. 항부정맥제제는 심장의 최적의 리듬으로 회복시켜 기능을 최대화 한다.
Implementation & Evaluation
1. 1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2. 저농도의 산소를 공급한다.
3. EKG를 확인한다.
4. 안위를 사정한다.
5. NRS점수로 흉통을 사정한다.
-활력징후가 정상범위로 유지되며, 산소투여 없이 산소포화도도 정상범위로 유지되었으며, 흉통도 완화 되었다
◎ 간호진단
Nursing Assessment
※ 주관적 자료
“괜찮다가도 갑자기 이러는 이유가 뭐에요?”
“갑자기 왜 이런 증상이 나타나는 거에요?”
“검사를 왜 이렇게 많이 해요?”
※ 객관적 자료
-EKG 검사상 ST abnormality
-불안척도(HAS:Hamilton Anxiety Scale)에서 18점 측정됨
Nursing diagnosis
#2. 질병 및 검사와 관련된 지식부족
Nursing
goal
-단기: 대상자는 24시간 이내 검사에 대해 이해하고 치료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장기: 대상자는 자신의 상태를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Planning
1. 질병에 대한 지식정도를 사정한다.
2. 질병의 원인, 진행과정을 설명한다.
3. 질병을 유발하는 요인(카페인, 흡연)과 유발 위험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4. 발생 시 알려야 할 증상, 징후에 대해 교육한다.
5. 검사의 목적, 진행과정, 주의사항을 설명한다.
6. 검사 전 금식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시행한다.
7. 환자교육에 보호자를 참여시킨다.
1. 대상자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중재할 내용을 정하기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2. 질병에 대해 정확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치료를 증진시킬 수 있다.
3. 카페인, 흡연은 심장을 자극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4. 호흡곤란은 심근에 적절한 관류를 방해하고, 심계항진은 부정맥으로 흔히 나타나는 증상이고, 부정맥으로 인해 심박출량이 감소하면 뇌혈류가 감소하여 현기증이 일어날 수 있고, 부정맥으로 인해 맥박수가 변할수 있기 때문에 이를 보고하여 빠른 대처를 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5. 검사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치료를 증진시킬 수 있다.
6. 식사를 할 경우 심장에 부담이 갈 수 있으므로 금식한다.
7. 보호자도 교육에 참여시키고 정확하고 올바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다.
Implementation & Evaluation
1. 질병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였다.
2. 카페인이나 흡연을 제한하는 이유를 설명했고, 심장에 미치는 영향을 교육하였다.
3. 호흡곤란, 심계항진의 증상, 지속적인 현기증, 맥박수가 50회 이하이거나 100회 이상일 때 보고할 수 있도록 교육하였다.
4 고주파전극도자 절제술은 심장의 잘못된 회귀회로를 고주파로 절제하는 시술인 것을 설명한다.
5. 검사 8시간 전부터 금식해야함을 설명하였고, 금식안내판을 침상에 붙여 주의하도록 하고 금식하도록 설명하였다.
6. 보호자가 방문해있을 때 교육을 함께 진행하였다.
Nursing Assessment
※주관적 자료
“언제 또 갑자기 그럴지 모르니까 불안하네요..”
“이러다가 갑자기 죽을 것 같아서 무서워..”
“근데 그 시술 위험한건 아니죠..?”
\"심장이 계속 두근거리는 증상이 언제 나타날지 몰라서 불안하다\"
※객관적 자료
-진단명: PSVT(상심실성 빈맥)
-불안 호소함, 긴장된 표정 보임.
-V/S: B.P 140/80mmHg PR 110회/min RR 24회/min
Nursing diagnosis
#3. 지식부족과 관련된 불안
Nursing
goal
단기: 대상자는 24시간 이내에 불안의 증상이 감소되었음을 말로 표현할 것이다.
장기: 대상자는 30일 이내에 항불안제 복용을 더 이상 하지 않을 것이다.
Planning
1. 불안 상태를 사정한다.
2. 치료적 관계를 형성한다.
3. 불안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표현하도록 격려한다.
4. 치료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준다.
5. 대상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격려한다.
6. 처방에 따라 항불안제를 투여한다.
1. 불안한 마음의 표현으로 불안한 감정이 감소한다.
2.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시행되는 시술과 처치에 대한 불안이 감소한다.
3. 심리적 안정을 증진시킨다.
4. 불안 증세를 완화시킨다.
Implementation & Evaluation
1. 불안 상태를 사정하였다. -Mild Anxiety
2. 치료적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 환자 옆에 있어주면서 신뢰와 존경에 기초를 두고 침착하고 조용한 태도로 경청하고, 공감을 표현하고, 무조건적인 긍정적 주의와 관심을 제공하였다.
3. 불안을 증가시키는 원인을 표현하도록 격려하였다.
4. 시행되는 시술(고주파 전도자극절제술)과 처치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해주었다.
5. 대상자 자신의 상황에 대한 지식을 사정하고 격려하였다.
6. 대상자의 신체적 요구를 철저하게 충족하도록 하였다. 편안한 방법으로 영양 식이를 제공하고, 조용한 환경을 조성해 수면을 증진시켰다.
7. 처방에 따라 etizolam 0.5mg/T] 0.5T/ 인데놀40mg 1T를 PO로 투여하였다.
Ⅳ. 참고문헌
- 네이버 지식백과- 서울대학교
- 네이버 지식백과. 국가건강 정보포털 의학정보
- 조경숙 외(2014). 성인간호학 상. 현문사.
- 김강미자 외(2006),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2.03
  • 저작시기201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8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