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의 개념
2. 미세먼지의 원인
3.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4.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예방방법
5. 미세먼지 줄이기위한 방안
6.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향후전망
2. 미세먼지의 원인
3. 미세먼지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4.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예방방법
5. 미세먼지 줄이기위한 방안
6.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향후전망
본문내용
린이, 노인, 임산부는 가급적 외부 활동 자제
- 외출을 할 때에는 황사용 마스크 꼭 착용
- 외출 후 코와 손 깨끗이 씻기
미세먼지는 호흡기로 들어가기도 하지만 온 몸에도 붙어있다.
- 미세먼지가 내부로 투입되지 않도록 창문 닫기
에어필터 또는 공기청정기 사용
- 물 많이 섭취하기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시면 아픈 목과 염증이 물로 인해 먼지를 걸러지고, 호흡기에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5. 미세먼지 줄이기위한 방안
(1) 자동차 배기가스 줄이기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차 등을 말하는데 질소산화물(NOx) 등 대기오염물질을 기존 휘발유차ㆍ경유차에 비해 적게 배출하므로 친환경적이다.
(2) 사업장 미세먼지 줄이기
과거에는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농도를 규제하는 방 식이 주를 이뤘으나, 2008년도부터는 수도권 지역에 대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배출총량제도란 지역별로 대기환경이 수용할 수 있는 배출허용총량을 정한 뒤, 해당 지역 사업장에 연도별로 배출허용총량을 나누어 주어 지켜나가게 하는 방 식이다. 향후 2018년부터 2022년까지는 현재의 배출허용총량보다 50% 더 적 게 할당할 예정이다. 또한 배출총량제 대상 이외의 사업자에 대해서도 배출허용 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2015년부터 신규 배출시설은 2010년 배출허용기준 대비 약 30∼60%를 강화했 고, 기존 배출시설의 경우 질소산화물(NOX)은 20%, 먼지와 황산화물(SOX)은 25%를 강화했다.
6.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향후전망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발표된 유엔 기후변화정부간위원회(IPCC) 5차 보고서를 토대로 중국의 미래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모를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당장 대기오염 감축에 들어가는 ‘최선의 시나리오’일 경우 PM2.5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다 2022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상황이 계속 유
지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선 PM2.5 배출량이 2050년까지 증가하고 2055년쯤부터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됐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발 초미세먼지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고강도 대기오염 방지책을 발표하며 개선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경제발전 속도로 볼 때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피해는 갈수록 심해질 전망이다.
- 외출을 할 때에는 황사용 마스크 꼭 착용
- 외출 후 코와 손 깨끗이 씻기
미세먼지는 호흡기로 들어가기도 하지만 온 몸에도 붙어있다.
- 미세먼지가 내부로 투입되지 않도록 창문 닫기
에어필터 또는 공기청정기 사용
- 물 많이 섭취하기
하루 8잔 이상의 물을 마시면 아픈 목과 염증이 물로 인해 먼지를 걸러지고, 호흡기에 수분을 보충할 수 있다.
5. 미세먼지 줄이기위한 방안
(1) 자동차 배기가스 줄이기
친환경차는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기차, 수소차 등을 말하는데 질소산화물(NOx) 등 대기오염물질을 기존 휘발유차ㆍ경유차에 비해 적게 배출하므로 친환경적이다.
(2) 사업장 미세먼지 줄이기
과거에는 사업장 굴뚝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농도를 규제하는 방 식이 주를 이뤘으나, 2008년도부터는 수도권 지역에 대하여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제도를 적용하고 있다. 배출총량제도란 지역별로 대기환경이 수용할 수 있는 배출허용총량을 정한 뒤, 해당 지역 사업장에 연도별로 배출허용총량을 나누어 주어 지켜나가게 하는 방 식이다. 향후 2018년부터 2022년까지는 현재의 배출허용총량보다 50% 더 적 게 할당할 예정이다. 또한 배출총량제 대상 이외의 사업자에 대해서도 배출허용 기준을 단계적으로 강화할 예정이다. 2015년부터 신규 배출시설은 2010년 배출허용기준 대비 약 30∼60%를 강화했 고, 기존 배출시설의 경우 질소산화물(NOX)은 20%, 먼지와 황산화물(SOX)은 25%를 강화했다.
6. 우리나라 미세먼지의 향후전망
국립환경과학원은 최근 발표된 유엔 기후변화정부간위원회(IPCC) 5차 보고서를 토대로 중국의 미래 대기오염물질 배출 규모를 전망했다. 중국 정부가 당장 대기오염 감축에 들어가는 ‘최선의 시나리오’일 경우 PM2.5 배출량은 계속 증가하다 2022년을 정점으로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상황이 계속 유
지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선 PM2.5 배출량이 2050년까지 증가하고 2055년쯤부터 줄어드는 것으로 예측됐다. 환경과학원 관계자는 중국발 초미세먼지는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고강도 대기오염 방지책을 발표하며 개선에 나섰지만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의 경제발전 속도로 볼 때 우리나라의 미세먼지 피해는 갈수록 심해질 전망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