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군인과 미국군인의 차이 설명후 우리가 나가야 할 미래 대안 비전 등을 제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군인과 미국군인의 차이 설명후 우리가 나가야 할 미래 대안 비전 등을 제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국군과 미군의 차이점
1) 한국군의 합동군사교육체계
2) 미군의 합동군사교육체계
2. 군국이 나아갈 미래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았다. 한국군과 미군에 체계를 비교하여 국군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과 개선사항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동성을 총괄하고 합동군사교육에 대한 지도와 책임이 있는 합참에서 합동군사교육기관별로 교육수준을 고려하여 합동군사교육에 대한 합참의 교육목표를 하당하여 합동군사교육기관별로 요구되는 합동군사교육 수준과 구비해야 할 합동성 수준을 명확하게 하고 미국군의 제도와 갑이 각 단계를 구분하여 교육기관을 지정한 후 교육기관별로 합참의 교육목표를 하달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또한 장교양성과정에서 각 군 사관학교 뿐 아니라 모든 군사과정에서 합동군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하며 위관장교 교육과정에서 나타나는 상이한 합동군사교육을 조정하여 전 위관장교가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교육과정은 미군과 같이 장교들의 계급을 고려한 수준별로 분류하여 교육목표와 범위를 정하고 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해 보인다. 이와 더불어 합동군사교육과 관련된 사항은 법과 정책을 통해 정립하고 개정이 필요한 법령은 개정을 통해 미비점을 보환해야 할 것이다.
Ⅲ. 결론
지금까지 한국군과 미군의 합동군사교육체계를 비교하고 국군의 발전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한국군은 합동군사대학교의 창설과 사관학교 통합교육 등 합동군사교육체계 개선을 통해서 합동성을 강화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러나 정밀한 분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설계 위에 교육체계가 변경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에 합동군사교육기관 교육목표에 합동성 관현 내용이 포함되지 않고 내적 일관성을 가지지 못하였으며 군별 교육기관별로 교육과정이 상이하다는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합동성 강화에 대한 총괄을 맡고 있는 합참이 합동군사교육을 실시하는 교육기관별로 교육목표를 하달함으로서 그 목표와 범위를 확실히 하고 교육과정을 통합하려는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또한 법제적으로 미비한 부분에 대한 개정을 통해서 합동성교육의 지도와 감독의 내용을 분명하게 구분하고 체계를 정립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되짚어 보았다. 한국군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결정과 북괴의 지속적인 도발로부터 국민과 국민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방안 모색과 변화를 통해 효율적인 국방강화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참고문헌
한국군의 합동성 강화를 위한 합동군사교육체계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김영래, 목원대학교 대학원,[2019] [국내박사]
  • 가격2,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2.06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3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