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도 부합되는 설명이라 본다.
결론
하나님의 인류 대 몰살인 홍수 사건 이후 노아는 어느 정도 안심했었던 것 같다. 그 안심이 평안과 화평으로 이어지지 않고 나태로 추락해버렸다. 의인인 노아는 죄의 지배를 받는 인간으로 타락한 것이다. 그러나 노아의 죄가 드러났을 때 하나님은 그 죄를 덮으신다. 왜냐하면 노아의 후손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이룰 메시야를 보낼 계획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만약 하나님이 노아의 죄를 용서하지 않았더라면 노아로부터 원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이루게 하지 않았을 것이다.
노아의 아들 함은 아비인 노아의 죄를 드러내고 그의 죄를 고발함으로 저주를 받게 된다. 이것은 뱀의 유혹에 빠져 죄를 짓게 된 아담과 하와가 결국 벌거벗은 모습에 대한 수치심을 가지게 된 일과 유사하다. 따라서 함의 저주는 곧 뱀이 저주를 받는 것과 유사하고, 이후에 오신 그리스도가 그 뱀의 머리를 깨부수고 승리하는 것처럼 함의 자손들은 이스라엘 민족에 의해서 멸망당하게 된다. 노아의 두 아들 셈과 야벳은 노아의 수치를 가려줌으로 그들의 후손들은 구원의 역사에 참여하는 축복을 받게 된다. 이것은 또한 아담과 하와가 벌거벗고 숨어있었을 때 하나님이 가죽옷을 입히신 것과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은 식물의 잎이나 다른 것으로 그들의 수치를 가린 게 아니라 동물의 가죽을 사용하셨다. 가죽으로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동물을 죽여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오셔서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과 동일한 모습이다. 그리고 그가 흘린 보혈로 인간은 죄사함을 받고 새 생명을 얻는 구원의 역사가 이뤄지게 되었다.
*참고도서
해석1) 창세기 강해(Notes on the book of Genesis) - C. H. Mackintosh; 권혁봉 역. 1882 서울 출판
해석2) 주해설교 창세기 : 조두만 저. 1998 출판
해석3) 하나님 나라의 서막(Kingdom Prologue) - 메리데스 클라인(Meredith G. Kline).
김구원 역. 2007년 서울 출판
해석4) 대홍수, 그리고 무지개 언약 - 김서택 저. 2004년 출판
해석5) 창세기 강해, v.1 - James M. Boice 저 ; 문 동학 역 1993년 출판
해석6) ESV 스터디 바이블(studr bible)
해석7) 역사적 구약 개요 - Eugene H. Merril; 김인환 역. 1997년 출판
결론
하나님의 인류 대 몰살인 홍수 사건 이후 노아는 어느 정도 안심했었던 것 같다. 그 안심이 평안과 화평으로 이어지지 않고 나태로 추락해버렸다. 의인인 노아는 죄의 지배를 받는 인간으로 타락한 것이다. 그러나 노아의 죄가 드러났을 때 하나님은 그 죄를 덮으신다. 왜냐하면 노아의 후손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이룰 메시야를 보낼 계획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다. 만약 하나님이 노아의 죄를 용서하지 않았더라면 노아로부터 원대한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이루게 하지 않았을 것이다.
노아의 아들 함은 아비인 노아의 죄를 드러내고 그의 죄를 고발함으로 저주를 받게 된다. 이것은 뱀의 유혹에 빠져 죄를 짓게 된 아담과 하와가 결국 벌거벗은 모습에 대한 수치심을 가지게 된 일과 유사하다. 따라서 함의 저주는 곧 뱀이 저주를 받는 것과 유사하고, 이후에 오신 그리스도가 그 뱀의 머리를 깨부수고 승리하는 것처럼 함의 자손들은 이스라엘 민족에 의해서 멸망당하게 된다. 노아의 두 아들 셈과 야벳은 노아의 수치를 가려줌으로 그들의 후손들은 구원의 역사에 참여하는 축복을 받게 된다. 이것은 또한 아담과 하와가 벌거벗고 숨어있었을 때 하나님이 가죽옷을 입히신 것과 동일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나님은 식물의 잎이나 다른 것으로 그들의 수치를 가린 게 아니라 동물의 가죽을 사용하셨다. 가죽으로 옷을 만들기 위해서는 동물을 죽여야 한다.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가 이 땅에 오셔서 우리의 죄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것과 동일한 모습이다. 그리고 그가 흘린 보혈로 인간은 죄사함을 받고 새 생명을 얻는 구원의 역사가 이뤄지게 되었다.
*참고도서
해석1) 창세기 강해(Notes on the book of Genesis) - C. H. Mackintosh; 권혁봉 역. 1882 서울 출판
해석2) 주해설교 창세기 : 조두만 저. 1998 출판
해석3) 하나님 나라의 서막(Kingdom Prologue) - 메리데스 클라인(Meredith G. Kline).
김구원 역. 2007년 서울 출판
해석4) 대홍수, 그리고 무지개 언약 - 김서택 저. 2004년 출판
해석5) 창세기 강해, v.1 - James M. Boice 저 ; 문 동학 역 1993년 출판
해석6) ESV 스터디 바이블(studr bible)
해석7) 역사적 구약 개요 - Eugene H. Merril; 김인환 역. 1997년 출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