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낙인이론
II. 사회긴장이론
III. 아노미현상이론
IV. 사회적 문화이탈이론
* 참고문헌
II. 사회긴장이론
III. 아노미현상이론
IV. 사회적 문화이탈이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적 요인에서 발생하는 가벼운 일탈행위를 말한다.
이 단계에서 행위자는 자신의 행위를 합리화시키려고 하며 자신을 범죄자로 인식하지 않으려고 한다.
2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은 1차적 일탈에서 발생한 가벼운 일탈행위에 대한 사법기관 등 타인의 반작용에 의해 생기는 비행 또는 범죄자이다. 이때 사법기관은 범죄자로서의 낙인을 찍음으로써 일탈자 자신이 자신을 범죄자로 인식(personality change)하고 전문 범죄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이러한 범죄행위는 개인적 유발성보다 사회적 규범이나 윤리적 관점에서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범죄가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이 단계에서 행위자는 자신의 행위를 합리화시키려고 하며 자신을 범죄자로 인식하지 않으려고 한다.
2차적 일탈(secondary deviance)은 1차적 일탈에서 발생한 가벼운 일탈행위에 대한 사법기관 등 타인의 반작용에 의해 생기는 비행 또는 범죄자이다. 이때 사법기관은 범죄자로서의 낙인을 찍음으로써 일탈자 자신이 자신을 범죄자로 인식(personality change)하고 전문 범죄자로서의 길을 걷게 된다.
이러한 범죄행위는 개인적 유발성보다 사회적 규범이나 윤리적 관점에서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범죄가 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학습하는 조직 : 피터 센게 저 / 강혜정 역 / 에이지21 / 201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