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컬러링의 실제와 적용에 대하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헤어컬러링의 실제와 적용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Ⅱ. 헤어컬러링의 기초

1. 명도와 염색 공식
1) 명도의 정의
2) 명도의 구분
3) 염색의 공식
4) 염모제 표기 및 읽는 방법

2. 산화제
1) 산화제의 종류
2) 볼륨과 발색의 힘
3) 산화제와 손상

3. 조제
1) 손상의 단계
2) 전처리와 후처리
3) 조제 방법

4. 색상선정
1) 염모제 표현 색상의 영향
2) 염모제 표현 색상의 이미지
3) 계절과 색상선정
4) 피부색(얼굴색)과 색상선정

5. 보색과 피그먼테이션
1) 보색과 보색중화
2) 피그먼테이션(Pre-pigmention)과 휠러색상(Filler color)
3) 보색중화와 피그먼테이션 방법
4) 보색중화와 피그먼테이션 차이점

6. 헤나(Henna)

본문내용

에서 보색을 이용하여 개성과 아름다움을 표현하고 있다. 빛의 삼원색으로는 빨강, 녹색, 파랑이 있으며 색광의 혼합으로 물감과는 다르게 더할수록 밝아지게 된다. 하지만 앞서 서술하였듯이 염색은 물감이 아니다 라는 공식처럼 염색에서의 보색은 조금 다른 개념을 가진다.
염색에서의 보색이란 색의 삼원색과 빛이 삼원색과 같이 상대되는 색을 의미하는 것은 같지만 혼합 시 나타내는 색이 다르다. 염색의 보색은 혼합 시 중명도의 갈색 영역 색상을 나타내는데 이런 과정을 보색중화라고 한다. 보색중화는 바탕색을 만드는 테크닉의 하나로 컬러체인지를 위한 사전작업이다.
보색중화의 목적은 기염부 방해색상의 제어와 언더 톤(Under tone)의 제어를 목적으로 한다. 첫 번째로 기염부 방해색상의 제어는 컬러체인지를 방해하는 색상을 중화시켜 컬러체인지가 용의한 상태를 만들거나 방해하는 색상을 자연스럽게 제어하면서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두 번째로 언더 톤의 제어는 개개인의 멜라닌의 성분과 함유량의 차이에 따라 나타나는 언더 톤을 제어하여 색상을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헤어 샵에서는 주로 컬러체인지 방해색상으로 레드 색을 말하게 되는데 레드색은 염색에 의해서 나타날 수도 있고 언더 톤에 의해서도 나타날 수 있다. 언더 톤에 의한 경우는 모발의 블리치 레벨을 의미하며 흑색, 레드, 레드오렌지, 오렌지, 황색, 베이지 색의 순서에 의해서 저명도 또는 중명도에서 가장 먼저 나타나는 색이다.
빨강
녹색
파랑
오렌지
노랑
보라
2) 피그먼테이션(Pre-pigmention)과 휠러색상(Filler color)
피그먼테이션(Pre-pigmention)이란 염색의 수정 방법 중 하나인 사전염색 기법으로 기염부의 얼룩을 제거하여 염색이 편리한 바탕을 만들거나, 색상 또는 명도가 달라 생긴 띠를 해결하거나, 원 톤(One tone)의 바탕을 만들거나 하여 염색의 결과 색상의 유지력을 높이고자 하는 방법이다. 피그먼테이션의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상대적 저명도 색상 또는 면적대비 우의를 갖는 색상을 사용하는데 이 색상을 「휠러 색상」이라 한다.
3) 보색중화와 피그먼테이션 방법
보색중화와 프그먼테이션은 사전연색의 방법으로 완벽한 컬러의 체인지를 만들기보다는 2차 염색의 용이한 조건을 생성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방법은 크게 다르지 않다. 보색중화와 프그먼테이션은 바탕을 맞추거나 색상을 맞추는 것이므로 산화제의 강도가 높을 필요가 없다. 염모제,1.5% 또는 3% 산화제, 미온수 등의 조합을 통하여 모발에 적용하는데 조합의 변경은 모발에 따라서 달라진다. 건강모일경우는 염모제+3%산화제, 손상모는 염모제+미온수의 조합을 사용한다. 다만 톤 다운의 경우 염모제+3%~1.5%산화제+미온수의 조합을 사용하기도 한다. 일반적으로 비율은 1:1 또는 1:1:1로 하며 유사명도의 염모제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빨강 2g/ 초록 1g
빨강 2g/ 초록 2g
빨강 2g/ 초록 3g
빨강 2g/ 초록 3g
초록 2g/빨강 1g
초록 2g/빨강 2g
초록 2g/빨강 3g
초록 2g/빨강 4g
4) 보색중화와 피그먼테이션 차이점
보색중화는 방해 색상의 변화를 통하여 바탕의 색을 조정하는 것이 초점이고 피그먼테이션은 보색중화보다는 큰 의미로 색상의 조절과 바탕색의 조절을 통하여 컬러체인지의 용의성을 확보 또는 색의 진함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초점이다.
헤나(Henna)
천연염색이란 자연에서 나오는 식물성, 동물성, 광물성 염료를 사용하여 염색하는 것으로 대게 식물성 염료를 일컫는다. 식물성 염료는 식물의 줄기, 잎, 꽃, 열매, 껍질, 뿌리 등을 말려 가루를 사용하거나 즙을 내어 사용하였다.
천연염색의 대표적인 예로 헤나를 말하고 헤나가 새로운 염모제의 무엇이라 여기지만 헤나(Henna)는 로마시대부터 사용해온 염모제이다. 화학염모제 즉 합성염모제가 발달함에 따라 사용이 멀어졌다가 모발손상 등에 이유로 헤나가 주목받고 있기 때문에 새로운 염모제처럼 여기고 있을 뿐이다.
헤나는 로소니아(Lawsonia) 식물이 1.5∼3m 정도까지 성장하면 잎을 채취하여 말려 갈아 사용하는 염색제로 주수입은 인도지역이다. 헤나는 ph5.5의 탄닌산이 주된 염색의 성분으로 봉숭아물 들이는 원리와 유사하다. 피부로는 표피층까지 침투가 되고 모발은 모표피의 가장 안쪽 층까지 침투한다. 산성의 성질을 갖기 때문에 색을 발색시키기 위해서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염색이후 곧바로는 뻣뻣한 상태를 갖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머릿결에 탄력과 윤기를 주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상대적으로 비용이 고가임에도 고객의 선택을 받고 있다. 천연헤나의 색상은 레드, 흑갈색, 오렌지 정도로 색상범위가 좁다. 천연헤나의 단점은 염색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과 색상의 범위가 좁다는 것인데 이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천연헤나 성분에 화학적 원료를 더한 제품을 만들어 유통되고 있으며 일명 화학적 헤나이다. 화학적 헤나는 천연헤나가 걸리는 시간이 1시간 이상이었다면 화학적 헤나가 걸리는 시간은 40분정도로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을 개선하였고 레드, 흑갈색, 오렌지 색상뿐만 아니라 이들 색상의 조합으로 10여개의 색상을 표현할 수 있게 됨으로서 색상의 범위가 좁다는 단점도 개선하였다.
천연 헤나
- 시술시간 : 1시간 이상
- 색상범위 : 레드, 흑갈색, 오렌지
- 원리 : 탄닌산 + 미온수
화학적 헤나
- 시술시간 : 40분
- 색상범위 : 레드 + 흑갈색 + 오렌지 = 10가지 이상의 색상
- 원리 : 탄닌산 + 화학적 성분
우리나라에는 헤나와 버금가는 식물성 염료로 한련초(eclipta)가 있다. 한련초에 대한 모발과의 염색성은 의방유치, 동의학사전, 본초도감, 방약합편 등에 기술되어 있는데 한련초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 약 40cm 성장하고 즙 형태의 진액을 염색에 사용하는데 웨델로락톤(wedelolactone) 성분이 모발을 염색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한련초는 헤나와 같은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지 못하였고 헤나보다 사용이 불편한 점들이 있어 상품으로 만들어지지 못하고 약리작용에 대한 연구에 의하여 주로 건강식품의 성분으로 활용되어 지고 있다.
  • 가격15,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20.02.28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2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