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어컬러링의 실제와 적용 (염색과정)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헤어컬러링의 실제와 적용 (염색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염색의 과정

1) 카운슬링
2) 샴푸(After shampoo)
3) 조제
4) 도포
5) 방치타임
6) 컬러 테스트
7) 샴푸
8) 스타일링과 홈 케어

본문내용

80%이상 희망색상이 나온 경우에는 열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안정적이며 염색모, 손상모 또는 얇은 모발의 경우는 감하여 사용한다. 열을 사용한다는 것은 화학적인 활성을 인위적으로 높이는 방법임으로 항상 살피는 주의가 필요하다.
6) 컬러 테스트
컬러테스트 과정은 희망하는 색상의 완성정도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 과정을 지나가면 샴푸의 과정으로 희망하는 색상이 나오지 않았을 경우 재시술의 방법밖에 없다. 따라서 다른 과정도 신중하여야 하지만 더욱더 신중함을 필요로 한다.
컬러테스트를 위해서는 주변의 조도가 중요하다. 특히 붉은 빛이 도는 형광등 또는 백열등 아래서의 컬러테스트는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하고 판단오류가 있을 수 있음으로 주의하거나 피하는 것이 옳다. 컬러테스트를 위한 가장 좋은 조도는 자연광아래이다.
희망하는 컬러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저명도인 경우와 고명도인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저명도의 경우는 새치와 백모 염색을 예로들 수 있고 이 경우는 판넬 컬러테스트(Panel color test) 방법을 사용한다. 고명도의 경우는 멋내기 염색 또는 탈색을 예로 들 수 있고 이 경우는 가닥 컬러테스트(Ply color test) 방법을 사용한다. 판넬 컬러테스트는 섹션을 떠서 꼬리 빗이나 염색 빗으로 혼합염모제를 걷어내어 면을 보아 희망색상을 판단하는 것으로 저명도 염색은 분자량이 크기 때문에 색상의 판단이 용의하다. 가닥 컬러테스트는 분자량이 작은 염모제를 사용함으로 희망색상을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에 대응이다. 가닥컬러테스트의 방법은 3~5가닥을 혼합염모제를 걷어내고 자연광에 비쳐보아 희망하는 색상의 정도를 판단하는 것이다.
새치커버 또는 백모염색은 눈으로 확인되는 희망색상이 샴푸 후 건조시키면 눈으로 확인한 색상보다는 약간 어두워진다는 판단이 고려되어야 하고 멋내기 염색은 눈으로 확인되는 희망색상이 샴푸 후 건조시키면 눈으로 확인한 색상보다는 약간 밝아진다는 판단이 고려되어야 한다.
컬러테스트는 모발의 굵기와 두피열의 영향 등의 차가 있음으로 3~5군데 정도의 테스트가 필요하며 특히 희망색이 잘 나오는 곳과 잘 나오지 않는 곳의 모발은 반드시 확인하는 주의가 필요하다.
컬러테스트에서 70% 미만의 희망색상을 보이는 경우 덧바르는 재도포를 결정하여야 하고 모발의 색상변화가 보이지 않고 도포된 혼합 염색제가 잘 보이지 않으며 수분기가 보이지 않는 듯한 현상을 보이는 경우에는 기존 혼합염모제를 제거하고새로운 혼합 염모제의 재도포를 결정하여야 한다.
7) 샴푸
컬러테스트 과정 뒤에 실시하는 샴푸과정은 컬러테스트가 정확하고, 도포가 충분이 이뤄지고, 방치시간이 충분하다고 가정할 때 희망하는 색상의 표현이 완료되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의 샴푸에서는 에멀젼(emulsion)이라는 과정과 샴푸의 과정 즉 하드 샴푸(hard shampoo)의 과정, 린싱(rinse)의 과정을 포함한다.
에멀젼(emulsion)이란 혼합 염모제가 물 등과 섞여 묽어지며 에멀젼화 되면서 희망 색상의 색감과 명도를 조절하고 혹여 혼합염모제 도포량이 부족한 부분에 혼합염모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을 말한다. 에멀젼을 실시하면 얼룩을 최소화할 세척이 용의할 수 있다. 에멀젼은 미용시술의자에서 실시하는 경우와 샴푸대로 이동하여 실시하는 경우가 있는데 미용시술의자에서 실시하는 경우는 컬러테스트에서 에멀젼을 실시할 근거를 찾았기 때문에 실시 후 샴푸대로 이동하는 시간까지 활용하기 위해서이고 샴푸대로 이동하여 실시하는 경우는 컬러테스트에서 에멀젼을 실시하여야 할 근거를 찾지는 못하였지만 만약에 대비하고 샴푸의 용의를 위해서 실시한다.
에멀젼 후에 샴푸를 실시하는데 이 단계의 샴푸는 카운셀링 다음 순서와는 다르게 하드 샴푸를 실시한다. 왜냐하면 두피에 혼합염모제가 남아있을 경우 두피 또는 모공 염증이 유발될 수 있고 두피의 상태가 민감하게 변하여 소양감을 유발할 수 있음으로 깨끗하게 세척하여 남아있지 않도록 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하드샴푸라 하여 두피를 너무 세게 자극하게 되면 혼합 염모제로 인하여 예민해져 있는 두피를 자극하여 남아있을 때와 같이 소양감 또는 두피 염증 등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적당한 자극을 사용하여 샴푸한다.
샴푸를 실시한 후에는 린스를 도포하여 마무리하는데 이는 모표피가 강알칼리에 노출되어 열려있는 상태를 건강한 상태의 모표피 상태로 변화하는 시간을 확보하고 화학성분에 모출되어 있는 모발에 영양과 윤기를 주어 손상의 증가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용한다.
8) 스타일링과 홈 케어
샴푸(hard shampoo) 과정 뒤에 실시하는 단계인 스타일링은 부족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고 재방문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회이기도 하다. 이를 통해서 자연스럽게 매출과 연계될 수 있는 중요한 단계이다. 고객의 눈높이에 맞춰 스타일링이 중요하다. 스타일링을 위한 스타일링을 실시하게 되면 고객객의 부담스러움이 나타날 수 있고 헤어샵을 벋어난 이후 또는 샴푸를 실시한 이후의 스타일링의 편차가 클 경우 고객의 주변 사람들의 다양한 반응으로 고객의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음으로 고객이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헤어 스타일링을 하여야 한다. 이때 스타일링에 필요한 제품과 모발케어에 필요한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무조건 제품을 판매하려는 목적이 아닌 고객의 헤어 스타일링과 케어 방법을 제시하고 전문적인 지식에 의해 설명을 덧붙인다면 고객신뢰까지 획득할 수 있을 것이다. 염색은 손상을 줄이는 방법은 있어도 손상이 없도록 하는 방법은 없다. 또한 인위적인 색상의 표현이 목적이기 때문에 손상의 많고 적음이 있을 뿐이지 손상이 없을 수는 없다. 이미 과정에서 손상에 대한 대비는 하였겠지만 모발 케어(hair care)는 짧은 시간 머무는 헤어샵에서보다 생활 속에서 이뤄지는 것이 확실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홈 케어(home care)는 단순히 고객의 신뢰와 만족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손상이 진행되는 것을 막고 색상의 유지력을 높이는 단계이면서 헤어샵에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홈에서 이뤄지는 단계로 홈 케어라는 명칭으로 불린다.
  • 가격15,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20.02.28
  • 저작시기202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2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