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지도방법론 >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개념을 설명하고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학자와 이론에 대해 2가지 이상 조사하여 설명하시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지도방법론 > 청소년기 자아정체감의 개념을 설명하고 자아정체감과 관련된 학자와 이론에 대해 2가지 이상 조사하여 설명하시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청소년기의 자아정체감
(2)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부모의 방임이 미치는 영향
(3) 청소년의 자아정체감에 부모의 과보호가 미치는 영향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립성을 기르는데에 방해가 된다. 부모의 과잉보호로 자라나는 청소년은 또래 친구들보다 비교적 스스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능력이 떨어진다. 스스로 고민하고 극복해 나가야 하는 과정에서 항상 부모의 간섭이 있기에 조금이라도 어려움이 있으면 스스로 쉽게 포기하고 의지하는 것이 익숙한 경향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뿐만 아니라 과잉보호 속에서 자라온 청소년은 항상 모든 의사결정 및 책임을 부모에게 맡기고 기대는 것이 익숙하기 때문에 조금이라도 부모와 떨어지거나 이유로 의사결정을 하고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불안감을 느끼는 부작용이 번번이 발생한다. 부모의 과잉보호는 튼튼하고 강한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 확립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3. 결론
질풍노도의 시기의 청소년은 자아를 찾아가는 과정으로써 불안정한 심리를 가지고 있어 특히나 주변의 환경 및 인물로 인해 쉽게 흔들려 작은 것에도 큰 영향을 받는다. 그중에서도 자신을 낳아주시고 길러주시는, 그리고 청소년이 함께 살아가며 가장 믿고 의지하며 따를 수 있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이다. 특히나 청소년기에는 자아를 찾기 위해 나아가는 과정의 전에 따뜻하게 사랑받고 무슨 일이 생기든 곁에서 의지할 수 있는 든든한 존재가 있다는 사실 자체로 자아 정체감의 기반을 튼튼하게 한다. 이로써 부모의 관심은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의 기초적인 확립에 있어 기반되는 무조건적인 요소인 것이다.
하지만 본론에서 살펴본 이론들과 같이 부모의 관심이 없는 방임 혹은 과다한 관심의 과잉보호 모두 오히려 청소년 자아 정체감에는 해가 된다. 민감하고 예민한 시기의 청소년들에게는 방임 또는 과잉보호가 아닌 언제나 기댈 수 있도록 무슨 일이 생기든 지켜 줄 수 있다는 부모의 따뜻한 존재의 인식을 시켜주는 것, 그리고 가끔은 부모의 품에서 벗어나 다양한 새로운 경험을 하며 혼자서 일어서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적절한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이 청소년의 올바른 자아 정체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닐까 싶다.
4. 출처 및 참고문헌
김연지, 오인수, 송지연. \"부모의 과보호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자아정체감과 불안의 순차적 매개효과.\" 이화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교육과학연구 제 50집 제 1호, 2019.03
이희선, 선우현정. \"청소년의 진로정체감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 자아정체감, 부모의 방임.\" 한국청소년학회, 청소년학연구 제 22권 제 6호, 2015.06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3.03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5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