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극성장애의 특성 및 핵심 증상인 조증의 증상을 구체적인 사례를 2가지 이상 제시 치료방법 소개 ]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 양극성장애의 특성 및 핵심 증상인 조증의 증상을 구체적인 사례를 2가지 이상 제시 치료방법 소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1.1. 양극성 장애 정의 및 특성
1.2. 양극성 장애의 분류

2. 본론
2.1. 양극성 장애의 핵심증상
2.2. 양극성 장애의 구체적인 사례
2.2.1. 사례1 - 사도세자
2.2.2. 사례2 - 유진박

3. 결론
3.1. 양극성 장애 치료방법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벼운 우울증, 경조증 상태는 이 방법이 특히나 효과적이다. 주로 기분조절제와 비정형 항정신병 약물이며 대표적인 기분조절제는 리튬, 발프로에이트, 카바마제핀, 라모 트리진 등이 있다.
리튬(Lithium), 발프로에이트(Valproate), 카바마제핀(Carbamazine)
라모트리진(Lamotrigine), 올란자핀(Olanzapine), 쿼티아핀(Quetiapine)
아리피프라졸(Aripiprazole), 지프라지돈(Ziprasidone), 리스페리돈(Risperidone)
비약물적 치료
전기 경련요법은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치료법이다. 지난 10여년 동안 뇌의 특정부위인 미주신경자극(VNS)과 경두개자기자극(TMS)과 같은 새로운 치료가 양극성 장애에 적용되었다. ‘수면박탈’과 ‘광 치료’와 같은 치료도 일부 환자들에게 적용되고 있다.
심리 치료
정신분석적 정신치료, 집단치료, 인지행동치료, 가족치료
주변인들의 협조
가족, 지인 등 주변인들은 우선 양극성 장애에 대해 이해하고 공부해야 한다. 하지만 일부 사람들은 정신과 치료에 막연한 거부감을 가지고 있어 치료 시도에 대한 거부감이 크다. 하지만 이러한 막연한 거부감은 병을 키운다. 따라서 주변인들은 관심을 갖고 환자 상태를 관찰하여야 한다. 또한 상태변동이 심한 경우는 담당 의사에게 그 사실을 미리 알려주는 것이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 특히 양극성 장애 환자의 가족들은 필요한 도움이나 지지를 받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조울병을 가진 사람과 함께 살면서 돌본다는 것은 삶을 힘들게 하고 스트레스에 빠지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가족, 지인들도 힘들어 환자를 비난하기 쉽다. 특히 환자의 중상이 재발하거나, 환자가 치료를 거부하거나, 조증이 있는 경우는 이러한 어려움이 훨씬 더 클 것이다. 그러나 환자가 문제 행동을 하는 것은 환자의 잘못이 아니라 병에 의한 증상이라는 점을 이해해주어야 한다. 비난하거나 잘잘못을 따지는 것은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할 뿐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정하은.사도세자에 대한 정신의학적 고찰 : 사도세자, 양극성 장애환자인가 당쟁의 희생양인가.2014.pp299-309
MSD매뉴얼-일반인용-양극성장애
https://namu.wiki/w/유진 박
박원명, 전덕인(2014) 양극성장애 제2판 조울병의 이해와 치료, (주)시그마프레스
박원명, 한국형 양극성장애 약물치료 알고리즘 및 지침서(KMAP-BP)
  • 가격3,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20.03.04
  • 저작시기202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5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