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 메논 서평 메논 독후감 메논 줄거리 메논 분석 이해 서평 요약정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플라톤 메논 서평 메논 독후감 메논 줄거리 메논 분석 이해 서평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탁월함’을 위한 논의의 소재로만 이해를 했다.
그리고 다시 결론 구절을 읽었다.
「탁월함은 본성적으로 있는 것도, 가르쳐질 수 있는 것도 아닐 테고, 신적인 섭리에 의해 누구든 그것이 생기는 사람에게 지성 없이 생길 것이네」
지금껏 논의한 ‘탁월함’은 지금 이 시대의 ‘재능’과는 조금 다른 의미로 해석이 되었는데 반복한 이 대화를 지나도 ‘탁월함’을 설명하는 데 무리가 있지만 궁극적으로 ‘탁월함’을 지닌 사람을 생각하니 플라톤이‘국가론’에서 말하는 철학자라는 생각이 들었다.
‘철학자’는 어려서부터 바른 기질을 가진 자가 되어야 하며 그 기질을 충분히 살릴 수 있는 교육이 되어야만이 진정 선의 실재에 가까워져 올바른 정치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리고 다시 ‘탁월함’을 생각했다. 민주주의 시대에 정치권력은 시민으로부터 나온다. 그렇다면 그 권력의 근원인 시민 또한 ‘탁월함’이 있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 시대에 ‘탁월함’에 대한 하나의 정의를 성립시킬 철학적 담론이 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사회 구성원들은 너무나도 다양한 삶의 양식과 방식을 갖고 있기에 우리 사회를 복잡하게 만들었고 그 가운데 하나의 철학적 담론을 담는 것은 어려워졌다.
그렇다 하더라도 국가론의 ‘철학자’와 가튼 훌륭한 지도자가 나타난다면 이런 점을 보완하고 훌륭한 국가로 나아갈 기틀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 시대의 오늘은‘철학자’보다 자신이 뛰어나다고 스스로 공표하는 소피스트들만 남았고 그 가운데에는 담론보다는 논쟁만 남아 있다는 생각이 든다.
국가론의 ‘철학자’와 메논의‘참된 확신을 가진자’그리고 소크라테스가 지향한 ‘담론’이야말로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정말 필요한 것이라 생각이 들었다.
이 시대의 ‘탁월함’은 어디에 있을까?
메논의 저술시기
플라톤의 대화편들의 저술 시기는 흔히 초기와 중기와 후기로 구분된다. 초기 대화편들은 청년 플라톤이 스승인 소크라테스에게 사상적으로 의존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크라테스적’대화편으로 불린다. 반면 중기 대화편들은 대화상대자가 제기한 확신에 대한 비판에 집중된 소크라테스적 단계를 벗어나 장년의 플라톤이 본격적으로 자신의 형이상항학의 토대 위에 인식과 도덕의 가능성을 이론적으로 정초한다는 점에서 ‘독단적’대화편으로, 그리고 후기 대화편들은 노년의 플라톤이 이데아론에 대한 자신의 중기적 이해를 수정해 간다는 점에서‘비판적’대화편으로 일컬어진다.
만약 이 구분을 받아들인다면, 메논은 이 세 시기 중에 어느 하나에 속하는 대화편으로 보기는 힘들다. 메논으 ‘무엇’에 대한 탐구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초기 대화편의 탐구방법에 의존하고 있고 ‘무엇’에 대한 확고한 결론 없이 종결된다는 점에서 초기 대화편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중기 대화편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가령 상기론이나 가설의 방법과 같은 ‘독단적’이론들의 단초가 나타난다는 점에서 중기 대화편의 특성도 함께 가지고 있다. 따라서 메논은 여러 대화편들과 달리 초기와 중기를 잇는 일종의 과도기적 대화편으로 분류된다. <메논, 정암학당(2007)> 작품해설 31p
  • 가격2,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3.08
  • 저작시기202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259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