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타인에 대한 관심과 도우려는 열망
2. 공감·감정이입 또는 이해
3. 존경심 또는 보살핌
4. 구체성
5. 진실성 또는 순수성
6. 대응 또는 직면
7. 직접성
8. 자아노출
9. 따뜻함
10. 자아실현
11. 권위 및 권력
12. 헌신과 의무
* 참고문헌
2. 공감·감정이입 또는 이해
3. 존경심 또는 보살핌
4. 구체성
5. 진실성 또는 순수성
6. 대응 또는 직면
7. 직접성
8. 자아노출
9. 따뜻함
10. 자아실현
11. 권위 및 권력
12. 헌신과 의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술면에서 권위를 가진 사람을 찾게 된다. 사회복지사가 클라이언트에게 그러한 권위를 가진 사람으로 받아들여짐으로써 성립된 관계는 클라이언트에게 안전과 보호의 느낌을 주게 된다.
돕는 관계에 있어서 사회복지사는 우리들 자신에 대한 정직한 태도, 즉 나는 누구이며 진실로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야 하고, 사회사업기관의 과정과 정책과 전문가의 역할에 대해 분명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수용의 태도와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생각해야 하고 사회복지사의 위치와 역할 내에 존재하는 권위적인 면을 받아들여야 한다.
12) 헌신과 의무(commitment and obligation)
헌신과 의무는 돕는 과정에서 책임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관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문적인 관계에서 관계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역시 헌신과 의무로 맺어져야 한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관계의 목적과 조건을 위해, 상호의존적인 교류관계를 위해 헌신을 다할 때 클라이언트는 안전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전문적 관계에서 헌신적인 자세는 일정한 의무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클라이언트에게 기대되는 일반적인 의무는 그들이 지닌 문제의 상황, 문제에 대처하는 그들의 태도에 대해 정직하고도 개방적으로 제시할 것과 전문적 관계에서 최소한의 절차상 조건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인터뷰를 위해 특정 시간에 특정 장소 내 정확하게 오는 것도 기본적인 헌신의 자세로 볼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의무는 관계를 맺을 때 필수적인 절차상의 조건을 최대한 지키는 것이다. 사회복지사에게는 미리 예약된 시간과 장소를 지키는 것,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해 초점을 유지하는 것, 성장과 변화를 가져오는 관계를 제공할 것 등이 요구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돕는 관계에 있어서 사회복지사는 우리들 자신에 대한 정직한 태도, 즉 나는 누구이며 진실로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야 하고, 사회사업기관의 과정과 정책과 전문가의 역할에 대해 분명한 지식이 있어야 한다.
또한 다른 사람에 대한 관심과 수용의 태도와 클라이언트의 복지를 생각해야 하고 사회복지사의 위치와 역할 내에 존재하는 권위적인 면을 받아들여야 한다.
12) 헌신과 의무(commitment and obligation)
헌신과 의무는 돕는 과정에서 책임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관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전문적인 관계에서 관계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사뿐만 아니라 클라이언트도 역시 헌신과 의무로 맺어져야 한다.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가 함께 관계의 목적과 조건을 위해, 상호의존적인 교류관계를 위해 헌신을 다할 때 클라이언트는 안전하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전문적 관계에서 헌신적인 자세는 일정한 의무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
클라이언트에게 기대되는 일반적인 의무는 그들이 지닌 문제의 상황, 문제에 대처하는 그들의 태도에 대해 정직하고도 개방적으로 제시할 것과 전문적 관계에서 최소한의 절차상 조건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인터뷰를 위해 특정 시간에 특정 장소 내 정확하게 오는 것도 기본적인 헌신의 자세로 볼 수 있다.
사회복지사의 의무는 관계를 맺을 때 필수적인 절차상의 조건을 최대한 지키는 것이다. 사회복지사에게는 미리 예약된 시간과 장소를 지키는 것, 클라이언트의 문제에 대해 초점을 유지하는 것, 성장과 변화를 가져오는 관계를 제공할 것 등이 요구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