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기의 정의
2.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1) 신체적 발달
2) 인지적 발달
3) 사회적 발달
4) 정서적 발달
3. 청소년기의 발달이론과 심리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청소년기
4. 나의 자아정체성 확립과정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Ⅱ. 본론
1. 청소년기의 정의
2. 청소년기의 발달 특성
1) 신체적 발달
2) 인지적 발달
3) 사회적 발달
4) 정서적 발달
3. 청소년기의 발달이론과 심리
1)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2)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청소년기
4. 나의 자아정체성 확립과정
Ⅲ. 결론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혼란스러움에 대해서 주변에 이야기하는 사람들은 없었고, 나도 역시 그냥 이러한 혼란스러움을 누군가와 나누지 못하고 혼자서만 느끼고 있을 뿐이었다. 그러다 고등학생이 되면서부터 영화와 소설에 흥미를 느끼게 되었고, 동아리 활동을 통해 많은 영화와 문학작품을 접하면서 영화와 소설에 대한 깊은 흥미를 느끼게 되었다.
어른이 되고 나서 이것을 돌이켜보면, 청소년기의 내가 영화와 소설에 탐닉하게 된 것은 청소년기에 느꼈던 여러 혼란과 답을 찾기 힘든 어지러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그 안에서 찾고자 했던 것 같다. 많은 영화나 소설에서는 인물들이 어떤 감당하기 힘든 시련을 겪고 그 시련을 해결해냄으로써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나는 이런 과정 속의 인물들에 자신을 동일시하게 되었다. 또한, 그 이야기 속에서 인물들이 경험하는 어려운 감정이나 해결의 과정을 통해 주변의 어른들이나 선배들에게 물을 수 없었던 질문의 대답을 스스로 찾아 나갈 수 있었다. 나는 영화와 소설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을 찾고자 했다.
나는 이렇게 영화와 소설의 도움으로 청소년기를 무사히 보낼 수 있었고,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이며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을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평생에 걸쳐서 가장 혼란스러웠을 수도 있는 청소년기를 순조롭게 지낼 수 있었던 것 역시 그 덕뿐이라고 생각한다. 지금도 나는 어떤 어려운 결정이나 중요한 문제를 맞닥뜨리면 정답을 바로 찾아내고자 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살핀다. 이것은 예전처럼 영화나 소설이기도 하고,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존경하는 인물이나 가까운 사람들이 그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다른 삶의 모습을 관찰하는 것을 통해 나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내가 문제를 극복해나갈 방법을 더 잘 알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청소년기는 인생에서 가장 어렵고 복잡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아직 아니라고 하기에는 너무 많이 성숙했지만, 성인이라고 하기에는 아직 자신을 다 알지 못하고 너무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는 성인기 이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과업인 자아 정체감을 확립할 수 있고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는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강경미 지음, 양서원, 2013)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유진이 지음, 양서원, 2013)
어른이 되고 나서 이것을 돌이켜보면, 청소년기의 내가 영화와 소설에 탐닉하게 된 것은 청소년기에 느꼈던 여러 혼란과 답을 찾기 힘든 어지러운 질문들에 대한 대답을 그 안에서 찾고자 했던 것 같다. 많은 영화나 소설에서는 인물들이 어떤 감당하기 힘든 시련을 겪고 그 시련을 해결해냄으로써 성장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나는 이런 과정 속의 인물들에 자신을 동일시하게 되었다. 또한, 그 이야기 속에서 인물들이 경험하는 어려운 감정이나 해결의 과정을 통해 주변의 어른들이나 선배들에게 물을 수 없었던 질문의 대답을 스스로 찾아 나갈 수 있었다. 나는 영화와 소설을 통해 다른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을 찾고자 했다.
나는 이렇게 영화와 소설의 도움으로 청소년기를 무사히 보낼 수 있었고, 나 자신이 어떤 사람이며 어떻게 살아가는 것이 좋을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 또한, 평생에 걸쳐서 가장 혼란스러웠을 수도 있는 청소년기를 순조롭게 지낼 수 있었던 것 역시 그 덕뿐이라고 생각한다. 지금도 나는 어떤 어려운 결정이나 중요한 문제를 맞닥뜨리면 정답을 바로 찾아내고자 하기 보다는 다른 사람들의 삶의 모습을 살핀다. 이것은 예전처럼 영화나 소설이기도 하고, 이상적이라고 생각하는 존경하는 인물이나 가까운 사람들이 그 대상이 되기도 한다. 이렇게 다른 삶의 모습을 관찰하는 것을 통해 나에 대해 더 잘 이해하고 내가 문제를 극복해나갈 방법을 더 잘 알 수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Ⅲ. 결론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청소년기는 인생에서 가장 어렵고 복잡한 시기이다. 이 시기는 아직 아니라고 하기에는 너무 많이 성숙했지만, 성인이라고 하기에는 아직 자신을 다 알지 못하고 너무 혼란스럽기 때문이다. 또한, 이 시기는 성인기 이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과업인 자아 정체감을 확립할 수 있고 이 시기를 어떻게 보내는가는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Ⅳ. 출처 및 참고문헌
발달심리학 (강경미 지음, 양서원, 2013)
청소년 심리 및 상담 (유진이 지음, 양서원, 201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