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및 이론적 배경
4. 실험방법
5. 실험기구 및 시약
6. 실험결과 처리
7. 고찰
2. 실험목적
3. 실험원리 및 이론적 배경
4. 실험방법
5. 실험기구 및 시약
6. 실험결과 처리
7. 고찰
본문내용
, NaOH 두 세트의 실험에서 각각 25mL의 증류수와 지시약을 섞어 바탕적정을 실시하여 주고, 1mL당 방울 수도 측정한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 조가 얻은 HCl의 평균 몰농도는 0.09691M이다. 그리고 NaOH의 평균 몰농도는 0.09535M이다. HCI의 몰농도는 우리가 이론적으로 만들어야 했던 0.00309M 적게 나왔다.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HCI 약 25mL가 빠져나가야 했지만, 실험 결과 약 26mL가 빠져나갔다. ( 물론 보정된 피펫의 부피 값도 영향을 주었다. )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보면 종말점 측정에 민감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Na2CO3가 담긴 삼각플라스크가 청색에서 노랑으로 바뀔 때가 종말점인데, 페놀프탈레인보다 상대적으로 색 변화가 뚜렷하지 않아 몇 방울을 더 넣어서야 실험을 종료하였다. 그리고 Na2CO3가 삼각플라스크를 흔드는 과정에서 벽면에 소량 묻었는데, 이렇게 되면 일차표준물질의 M×V값이 줄어든다. 거기에 우리 조가 정확한 종말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어 HCI을 좀 더 적정하여 HCI의 몰농도가 작게 나온 것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염산의 보관 기간이다. 염산의 보관 기간이 길었다면 휘발성으로 인해 농도가 옅어졌을 수도 있다. 이런 성질 때문에 뷰렛의 윗부분을 호일로 막아줘야 했는데, 실험 초반에 정신이 없어 제때 막아주지 못한 것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이 외에도 HCI의 용액을 제조하는데 정확하지 못했던 점, 소수 넷째 자리까지 표기되는 전자저울을 여러 조원이 사용하다 보니 작은 프탈산 수소 칼륨과 Na2CO3 알갱이들이 흘러있어 오염이 예상되는 점 등이 실험값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한편, NaOH는 0.09535M로 0.1M보다 0.00465M 적게 나왔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NaOH의 조해성을 들 수 있다. 우리 조는 1L PE병에 있는 NaOH를 100mL 비커에 따라서 이를 이용해 50mL 뷰렛을 채웠다. 또 뷰렛의 공기방울 제거를 확인하는데도 이 비커를 썼고, 비커의 입구를 막아놓지 않고 다음 회차 실험 때도 썼는데 이는 NaOH가 공기중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농도가 옅어지게 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농도가 옅어지면 이론값보다 많은 NaOH를 적정할 수밖에 없다. 이 외에도 바탕적정을 할 때의 용액 색깔의 진하기 정도와 적정을 했을 때 용액의 진하기 정도가 다르다는 것도 오차에 영향을 주었을 것 같다.
우리는 바탕 적정을 통해 한 방울을 넣으면 용액의 성질이 급변함을 알았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HCI, NaOH 적정 실험에서 종말점을 찾았다면, 거기서 한 방울에 해당하는 부피만 빼준다면 더 정확한 종말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바탕 적정을 통해 정확한 종말점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이 외에도 삼각플라스크 안의 용액을 섞는 과정에서 시료가 벽면에 묻지 않게 주의하고, 매 실험을 반복할 때마다 잊지 않고 HCI과 NaOH 용액이 든 뷰렛의 윗부분을 호일로 싸주는 등 매 실험과정에 신경을 써준다면 보다 정확한 강염기와 강산의 농도 값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우리 조가 얻은 HCl의 평균 몰농도는 0.09691M이다. 그리고 NaOH의 평균 몰농도는 0.09535M이다. HCI의 몰농도는 우리가 이론적으로 만들어야 했던 0.00309M 적게 나왔다. 이론적으로 계산하면 HCI 약 25mL가 빠져나가야 했지만, 실험 결과 약 26mL가 빠져나갔다. ( 물론 보정된 피펫의 부피 값도 영향을 주었다. ) 오차의 원인을 생각해보면 종말점 측정에 민감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Na2CO3가 담긴 삼각플라스크가 청색에서 노랑으로 바뀔 때가 종말점인데, 페놀프탈레인보다 상대적으로 색 변화가 뚜렷하지 않아 몇 방울을 더 넣어서야 실험을 종료하였다. 그리고 Na2CO3가 삼각플라스크를 흔드는 과정에서 벽면에 소량 묻었는데, 이렇게 되면 일차표준물질의 M×V값이 줄어든다. 거기에 우리 조가 정확한 종말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어 HCI을 좀 더 적정하여 HCI의 몰농도가 작게 나온 것일 수도 있다. 두 번째로 염산의 보관 기간이다. 염산의 보관 기간이 길었다면 휘발성으로 인해 농도가 옅어졌을 수도 있다. 이런 성질 때문에 뷰렛의 윗부분을 호일로 막아줘야 했는데, 실험 초반에 정신이 없어 제때 막아주지 못한 것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다. 이 외에도 HCI의 용액을 제조하는데 정확하지 못했던 점, 소수 넷째 자리까지 표기되는 전자저울을 여러 조원이 사용하다 보니 작은 프탈산 수소 칼륨과 Na2CO3 알갱이들이 흘러있어 오염이 예상되는 점 등이 실험값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한편, NaOH는 0.09535M로 0.1M보다 0.00465M 적게 나왔다. 가장 큰 원인으로는 NaOH의 조해성을 들 수 있다. 우리 조는 1L PE병에 있는 NaOH를 100mL 비커에 따라서 이를 이용해 50mL 뷰렛을 채웠다. 또 뷰렛의 공기방울 제거를 확인하는데도 이 비커를 썼고, 비커의 입구를 막아놓지 않고 다음 회차 실험 때도 썼는데 이는 NaOH가 공기중의 수증기를 흡수하여 농도가 옅어지게 하는 데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농도가 옅어지면 이론값보다 많은 NaOH를 적정할 수밖에 없다. 이 외에도 바탕적정을 할 때의 용액 색깔의 진하기 정도와 적정을 했을 때 용액의 진하기 정도가 다르다는 것도 오차에 영향을 주었을 것 같다.
우리는 바탕 적정을 통해 한 방울을 넣으면 용액의 성질이 급변함을 알았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HCI, NaOH 적정 실험에서 종말점을 찾았다면, 거기서 한 방울에 해당하는 부피만 빼준다면 더 정확한 종말점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바탕 적정을 통해 정확한 종말점을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이 외에도 삼각플라스크 안의 용액을 섞는 과정에서 시료가 벽면에 묻지 않게 주의하고, 매 실험을 반복할 때마다 잊지 않고 HCI과 NaOH 용액이 든 뷰렛의 윗부분을 호일로 싸주는 등 매 실험과정에 신경을 써준다면 보다 정확한 강염기와 강산의 농도 값을 구할 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화학실험 사례(에멀젼합성, 산소요구량), 화학실험 사례(평형상수결정), 화학실험 사례(밀크,...
[분석화학] 산염기의 표준용액 제조와 표정[Preparing Standard Acid and Base]
[분석화학실험] Preparing standard Acid and Base[표준산과 염기의 제조]
[분석화학실험] Analysis of acid and base Titration Curve
[일반화학실험] 산염기 적정곡선의 분석 (Analysis of Gran plot acid and base).pptx
[분석화학] 산염기의 표준용액 제조와 표정(Preparing Standard Acid and Base) : HCl과 NaOH...
Preparing Standard Acid and Base (결과 보고서) HCl과 NaOH는 실험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
[분석화학실험] Preparing standard solution & Acid-Base Titration(식초 중의 아세트산...
분석화학실험_표준산염기 제조 (Preparing Standard Acid and Base)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