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실험 목적
* 실험 원리
* 실험 방법
* 시약조사
* 실험 결과
* 실험 원리
* 실험 방법
* 시약조사
* 실험 결과
본문내용
5mL 옮김 피펫의 평균오차를 적용하면 +0.0198mL 이므로 실제로 옮긴 증류수의 부피는 25.0198mL가 된다.
1회
2회
3회
탄산나트륨의 몰농도(M)
●종말점에서의 HCl의 부피
적정시 넣어준 HCl의 부피는 뷰렛의 구간별 오차를 적용시켜야 한다.
우선 각 회수 별로 넣어준 HCl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선 HCl용액을 뷰렛을 이용해 한방을 내렸을 때 부피를 구해야하는데 이는 1mL를 내리는 동안 떨어지는 방울수를 구해 나누어 주면 된다. 3번의 1mL 내렸을 때 떨어진 방울수는 17,17,17방울이며 평균 17방울로 이를 1mL로 나누어주면 1mL1=0.05882mL가 된다. 이번 실험에서 측정을 할 때 종말점 근처에서는 넣어준 부피+방울수 로 최대한 정밀하게 측정했고 따라서 들어간 부피는 다음과 같다.
1회:24.70mL+5방울(0.05882mL5)=24.99mL
2회:26.33mL+3방울(0.05882mL3)=26.50mL
3회:24.86mL+2방울(0.05882mL2)=24.97mL이다.
여기서 우리가 실험한 뷰렛의 구간은 0~30mL이다 따라서 0~10mL의 평균오차인 +0.0330mL 와
10~20mL의 평균오차인 +0.0189mL를 사용하고 20~30mL의 평균오차는 +0.021mL 인데 이것은 10mL의 부피를 취했을때의 오차 이므로 각 회수 별 20~30mL의 평균오차를 구하면
1회 :
2회 :
3회 :
따라서 각 회수 별 누적오차를 구하면
1회 : (+0.0330mL)+(+0.0189mL)+(+0.0098mL) = +0.0617mL
2회 : (+0.0330mL)+(+0.0189mL)+(+0.013mL) = +0.065mL
3회 : (+0.0330mL)+(+0.0189mL)+(+0.010mL) = +0.062mL 이다.
따라서 각 회수별로 실제 종말점에서의 NaOH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1회
2회
3회
넣어준 HCl부피
(mL)
24.99mL+0.0617mL
=25.05mL
26.50mL +0.065mL
=26.57mL
24.97mL+0.062mL
=25.04mL
●당량점에서의 HCl의 부피
우리가 이론적으로 구하고자 하는 반응의 점을 당량점이라 하고 이는 앞서 실험원리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바탕적정을 통해 적정오차를 구하고 종말점에서 바탕적정을 통해 구한 값을 빼주면 정확한 당량점에서의 HCl부피를 구할 수 있다. 바탕적정에서 구한 HCl의 부피는 1방울 즉 0.05882mL이며 이를 위에서 구한 종말점에서의 HCl부피에서 빼주면 다음과 같은 값이 나온다.
1회
2회
3회
당량점에서의 NaOH부피
(mL)
25.05mL-0.05882mL
=24.99mL
26.57mL-0.05882mL
=26.51mL
25.04mL-0.05882mL
=24.98mL
●HCl의 몰농도
HCl과 프탈산수소칼륨은 2:1몰수비로 반응 하므로 결국
MV=2M`V`(MV는 HCl의 몰농도,부피 M`V`는 탄산나트륨의 몰농도,부피)를 해주게 되면 같은 몰수가 나와야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HCl의 몰농도를 구하면
1회 :
2회 :
3회 :
이를통해 평균 몰농도를 구하면
이를 유효숫자 처리해주면 0.09942mol/L가 된다.
몰농도의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0.00013 이다 이를 유효숫자 처리해 주면 0.00013 이다.
몰농도의 상대표준편차는 0.000130.09942 = 0.0013이며
상대표준편차의 백분율은 0.0013100 = 0.13%이다
몰농도의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μ= (N은 측정횟수 는 평균 σ 는 표준편차 t=4.303)
μ = 이다. 이를 유효숫자 처리 해주게 되면 μ= 이다.
1회
2회
3회
탄산나트륨의 몰농도(M)
●종말점에서의 HCl의 부피
적정시 넣어준 HCl의 부피는 뷰렛의 구간별 오차를 적용시켜야 한다.
우선 각 회수 별로 넣어준 HCl의 부피를 구하기 위해선 HCl용액을 뷰렛을 이용해 한방을 내렸을 때 부피를 구해야하는데 이는 1mL를 내리는 동안 떨어지는 방울수를 구해 나누어 주면 된다. 3번의 1mL 내렸을 때 떨어진 방울수는 17,17,17방울이며 평균 17방울로 이를 1mL로 나누어주면 1mL1=0.05882mL가 된다. 이번 실험에서 측정을 할 때 종말점 근처에서는 넣어준 부피+방울수 로 최대한 정밀하게 측정했고 따라서 들어간 부피는 다음과 같다.
1회:24.70mL+5방울(0.05882mL5)=24.99mL
2회:26.33mL+3방울(0.05882mL3)=26.50mL
3회:24.86mL+2방울(0.05882mL2)=24.97mL이다.
여기서 우리가 실험한 뷰렛의 구간은 0~30mL이다 따라서 0~10mL의 평균오차인 +0.0330mL 와
10~20mL의 평균오차인 +0.0189mL를 사용하고 20~30mL의 평균오차는 +0.021mL 인데 이것은 10mL의 부피를 취했을때의 오차 이므로 각 회수 별 20~30mL의 평균오차를 구하면
1회 :
2회 :
3회 :
따라서 각 회수 별 누적오차를 구하면
1회 : (+0.0330mL)+(+0.0189mL)+(+0.0098mL) = +0.0617mL
2회 : (+0.0330mL)+(+0.0189mL)+(+0.013mL) = +0.065mL
3회 : (+0.0330mL)+(+0.0189mL)+(+0.010mL) = +0.062mL 이다.
따라서 각 회수별로 실제 종말점에서의 NaOH의 부피는 다음과 같다.
1회
2회
3회
넣어준 HCl부피
(mL)
24.99mL+0.0617mL
=25.05mL
26.50mL +0.065mL
=26.57mL
24.97mL+0.062mL
=25.04mL
●당량점에서의 HCl의 부피
우리가 이론적으로 구하고자 하는 반응의 점을 당량점이라 하고 이는 앞서 실험원리에서 설명한바와 같이 바탕적정을 통해 적정오차를 구하고 종말점에서 바탕적정을 통해 구한 값을 빼주면 정확한 당량점에서의 HCl부피를 구할 수 있다. 바탕적정에서 구한 HCl의 부피는 1방울 즉 0.05882mL이며 이를 위에서 구한 종말점에서의 HCl부피에서 빼주면 다음과 같은 값이 나온다.
1회
2회
3회
당량점에서의 NaOH부피
(mL)
25.05mL-0.05882mL
=24.99mL
26.57mL-0.05882mL
=26.51mL
25.04mL-0.05882mL
=24.98mL
●HCl의 몰농도
HCl과 프탈산수소칼륨은 2:1몰수비로 반응 하므로 결국
MV=2M`V`(MV는 HCl의 몰농도,부피 M`V`는 탄산나트륨의 몰농도,부피)를 해주게 되면 같은 몰수가 나와야 한다 따라서 이를 통해 HCl의 몰농도를 구하면
1회 :
2회 :
3회 :
이를통해 평균 몰농도를 구하면
이를 유효숫자 처리해주면 0.09942mol/L가 된다.
몰농도의 표준편차는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0.00013 이다 이를 유효숫자 처리해 주면 0.00013 이다.
몰농도의 상대표준편차는 0.000130.09942 = 0.0013이며
상대표준편차의 백분율은 0.0013100 = 0.13%이다
몰농도의 95% 신뢰구간은 다음과 같이 구할 수 있다.
μ= (N은 측정횟수 는 평균 σ 는 표준편차 t=4.303)
μ = 이다. 이를 유효숫자 처리 해주게 되면 μ= 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