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 정신장애의 개념과 증상 및 유형
본론 -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사회복지서비스
결론 – 시사점
참고문헌
본론 - 정신건강 관련 기관 및 사회복지서비스
결론 –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는 것은 아니지만, 보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으로 누려야 할 권리와 자유를 최대한 누리면서 치료가 병행될 수 있는 쪽으로 지원 서비스에 대한 개편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한다. 연일 뉴스나 매스컴에서 전달되는 정신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의 범죄나 사건 사고와 같은 것들이 보도됨에 따라 사람들 즉 일반 시민들의 이러한 장애에 대한 시선은 날이 갈수록 점점 더 부정적으로 변해가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심각한 상황으로 치닫는 원인은 그러한 장애를 앓고 있는 사람들을 제대로 치료할 수 있고 건강한 동기를 심어주는 바람직한 성격을 가진 프로그램이나 지원 서비스가 전무했기 때문이다. 무조건 통제되거나 격리되어 약물을 장기적으로 수시로 복용해야지만 일상생활이 영위되는 대상으로 대하고 취급하다 보니 점점 이러한 사람들은 사회 속에서 고립되어 외부로 겉돌게 된다. 정신장애라는 이력이 사회 경제생활을 하기 위한 취업에 있어서는 또다시 직무 부적합 통지라는 장애물 즉 걸림돌이 된다. 사회에 속하지 못하고 죽지 못해 사는 생활이 이어지게 되면, 사회에 대한 반감은 자연히 상승하게 될 것이다. 처음엔 자신을 자책하지만 결국 그러한 부정적인 마음과 소외되었다는 차별감에 기인한 반항심은 사회를 향할 수밖에 없다. 그러한 사회를 향한 반감에 기초한 행위의 칼날은 대부분 우리와 같은 시민들이 첫 번째 대상이 되기 마련이다. 지역사회에 녹아들어 더 이상 고립되지 않도록 정신장애가 특별하지 않아서 차별당할 필요가 없는 질병이라는 것이 널리 보편적으로 인식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기 위해서는 의료 및 복지서비스의 지원 체계가 보다 구체적이고 지속적이며 자연적인 치유의 모티브를 통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통제와 구속과 격리의 대상으로 생각하면 모든 치료 프로그램의 도입 취지와 실행 방식은 수동적이고 일방성의 한계성을 극복하지 못할 것이다.
참고문헌
정신장애인 공공후견제도 : 성과와 한계 및 발전방향_(강상경, 하경희 저.2019)
방법론 및 이론 : 정신장애인 복지정책의 문제점 인식과 정책대안 유형에 관한 연구_(곽명순, 김웅락, 박인숙 저.2003.12)
정신장애인 회복프로그램 개발 연구_(하경희 저.2019.09)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시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의료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_(정현주 저.2019.09)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_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참고문헌
정신장애인 공공후견제도 : 성과와 한계 및 발전방향_(강상경, 하경희 저.2019)
방법론 및 이론 : 정신장애인 복지정책의 문제점 인식과 정책대안 유형에 관한 연구_(곽명순, 김웅락, 박인숙 저.2003.12)
정신장애인 회복프로그램 개발 연구_(하경희 저.2019.09)
정신장애인의 정신건강증진시설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정신의료기관, 정신건강복지센터, 정신재활시설을 중심으로_(정현주 저.2019.09)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_장애인 건강 및 재활 정보포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