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1) 자기(self) 형성에 SNS가 미치는 영향
2) SNS를 긍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략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2. 본론
1) 자기(self) 형성에 SNS가 미치는 영향
2) SNS를 긍정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전략
3. 결론
4. 출처 및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로가 어떤 사람인지를 알아가게 된다. 내가 올리는 게시물에 직접적인 나의 정보가 언급되지 않더라도 내가 쓴 글의 형태나 찍어 올린 사진, 촬영한 영상 등에서 내가 어떤 사람인지 묻어나게 되어 있다. 이러한 SNS의 특성을 잘 활용한다면, 나 자신의 매력을 건강하게 인식하고 어필하는 방법을 습득하는 좋은 수단이 될 수 있다. 사회에서는 ‘나’라는 사람을 어떻게 나타내고 또 내가 가진 매력이나 능력을 어떻게 전달하느냐에 따라 관계가 달라지기도 한다. 나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고, 단점도 매끄럽게 보완해나갈 수 있는 방법을 안다면 다른 사람과의 관계도 원활하게 유지해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수단으로 SNS를 활용하는 것이 자기를 형성하고 유지함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결론
브루스 윌리스 주연의 영화 <써로게이트>를 보면, ‘나’를 대신하여 나의 삶을 살아주는 로봇이 나온다. 나는 집에서 누워있지만 나의 의식과 연결된 이 로봇은 바깥을 돌아다니며 직장 생활을 하거나 사람들을 만나 자유롭게 접촉한다. 하지만 로봇은 진정한 나 자신이 아니다. 나의 의식과 연결되어 있긴 하지만 결국 로봇에 불과하다. 우리가 SNS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나의 모습을 드러내고,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그것이 온전한 나 자신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현실과 가상을 혼동하지 않고 SNS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면, 자기를 형성하고 실현함에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하지수 「SNS에서의 사회비교에 따른 자기인식, 방어기제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결론
브루스 윌리스 주연의 영화 <써로게이트>를 보면, ‘나’를 대신하여 나의 삶을 살아주는 로봇이 나온다. 나는 집에서 누워있지만 나의 의식과 연결된 이 로봇은 바깥을 돌아다니며 직장 생활을 하거나 사람들을 만나 자유롭게 접촉한다. 하지만 로봇은 진정한 나 자신이 아니다. 나의 의식과 연결되어 있긴 하지만 결국 로봇에 불과하다. 우리가 SNS를 통해서도 얼마든지 나의 모습을 드러내고, 사람들과 관계를 맺을 수 있지만, 그것이 온전한 나 자신을 의미하는 건 아니다. 현실과 가상을 혼동하지 않고 SNS를 필요에 따라 조절하면서 사용할 수 있다면, 자기를 형성하고 실현함에 좋은 도구가 될 것이다.
출처 및 참고문헌
하지수 「SNS에서의 사회비교에 따른 자기인식, 방어기제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효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9.
추천자료
알코올 중독의 원인, 과정, 치료에 대한 동기적 이해
서비스설계와 표준의 설정
인지행동모델
브랜드자산(상표자산)의 개념, 중요성, 브랜드자산(상표자산)의 구성요인, 브랜드자산(상표자...
[행동주의 학습이론] 파블로프의 고전적 조건화, 스키너의 조작적 조건화, 반두라의 사회학습...
반두라(Bandura)의 사회학습이론
청소년 자살이 급증하고 있는데 청소년 자살의 원인이 무엇이고 이를 어떻게 예방하고 해결할...
대인관계심리학 > SNS가 자기(Self)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자기(S...
대인관계심리학 ) SNS가 자기(self)를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어떠한 영향력을 미치는지 자기(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