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클라이언트의 불신
II. 전이
III. 사회복지사의 역전이
IV. 저항
V. 직면
* 참고문헌
II. 전이
III. 사회복지사의 역전이
IV. 저항
V. 직면
* 참고문헌
본문내용
포하고 있는 기술이다. 실제로 이러한 직면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일수록 이전에 스스로에 대한 인식을 거의 가져 보지 못함으로써 사회복지사의 직면에 대해 강한 반감을 표하거나 혹은 왜곡할 소지가 크다. 따라서 직면을 효과적인 치료기술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감정이 입을 동반해야 하며 적절한 타이밍 기술 또한 요구된다.
사회복지사가 직면을 너무 자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과도한 직면의 사용은 원조관계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자기인식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촉진적 분위기를 이루어 내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스스로의 탐색을 통해 자신과 문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넓혀 나가는 것이 사회복지사가 주도적인 직면보다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이와 함께 직면을 사용함으로써 면접이 매우 활성화되고 뭔가 이야깃거리가 생겨나며 전통적 접근방법이 줄 수 있는 지루함은 배제되면서 보이지 않는 참신한 역동이 펼쳐지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사회복지사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회복지사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므로 지양되어야 하며,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직면을 사용하는 신중한 태도가 필요하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행동, 생각, 감정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지 못할 때 효과적이지만 클라이언트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때는 역효과가 나타나기 쉽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모순된 양상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생각해 보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사회복지사가 직면을 너무 자주 사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 왜냐하면 과도한 직면의 사용은 원조관계 내에서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자기인식을 증대시키도록 하는 촉진적 분위기를 이루어 내는 데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즉, 클라이언트가 스스로의 탐색을 통해 자신과 문제에 대한 인식의 정도를 넓혀 나가는 것이 사회복지사가 주도적인 직면보다는 일반적으로 바람직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한다. 이와 함께 직면을 사용함으로써 면접이 매우 활성화되고 뭔가 이야깃거리가 생겨나며 전통적 접근방법이 줄 수 있는 지루함은 배제되면서 보이지 않는 참신한 역동이 펼쳐지는 느낌을 가질 수 있는데, 이는 사회복지사에게 만족감을 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사회복지사 개인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이므로 지양되어야 하며, 클라이언트에게 가장 적절하다는 판단에 근거하여 직면을 사용하는 신중한 태도가 필요하다.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행동, 생각, 감정 사이의 모순을 발견하지 못할 때 효과적이지만 클라이언트가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을 때는 역효과가 나타나기 쉽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모순된 양상에 대해 클라이언트가 스스로 생각해 보도록 돕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현대상담 심리치료의 이론과 실제 / 윤순임 저 / 중앙적성출판사 / 2011
상담 및 치료의 이론과 실제 / Richard Nelson Jones 저 / 김성봉 외 1명 역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상담이론과 실제 / 양명숙, 김동일, 김명권 외 2명 저 / 학지사 / 2013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추천자료
사회복지 실천 이론(문제해결)
[사회복지실천] 소사구노인복지회관 재가복지사업의 사회복지실천의 계획수립과 사례관리 실...
노인종합복지회관의 계획 및 개입수립
사회복지실천과 과제중심모델
사회복지실천 접근방법 중 가족수준의 실천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인간본성에 대한 관점과 정신분석 치료 모델 - 정신분석치료 모델의 역...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면담의 기초기술 (면담, 의사소통 기술, 질문기술, 관계형성 기술, 경...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와의 관계에서 변화를 방해하는 관계에는 어떤 것이 있으며, 어떻게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