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5가지
1) 산만한 행동
2) 공격 행동
3) 규칙위반 행동
4) 의존적인 행동
5) 위험한 행동
2. A-B-C 분석을 실시하고 치료전략
1) 산만한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2) 공격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3) 규칙위반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4) 의존적인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5) 위험한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5가지
1) 산만한 행동
2) 공격 행동
3) 규칙위반 행동
4) 의존적인 행동
5) 위험한 행동
2. A-B-C 분석을 실시하고 치료전략
1) 산만한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2) 공격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3) 규칙위반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4) 의존적인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5) 위험한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2) 사건
(3) 사건후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애착이 형성되어 교사와 한시도 떨어지지 못하였다.
(2) 사건
놀이를 하다가 교사가 눈앞에 보이지 않으면 유치원 여기저기를 왔다 갔다 하고 울면서 교사를 찾아다녔다.
(3) 사건후
민우는 태어나면서부터 엄마가 직장을 다니셨기 때문에 할머니와 함께 지냈다. 엄마와 함께 생활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으며 여동생이 있어서 엄마와 충분하게 상호작용을 못하는 유아였다.
(4) 치료전략 - 감정에 호소하기
감정에 호소하기는 유아의 문제행동이 나타날 때 멈추기를 부탁하거나 교사와 유아의 감정을 표현하여 문제행동을 멈추도록 요구하는 방법이다. 유아들은 화나고 슬플 때 왜 그런 감정이 드는지 정확히 표현하지 못할 때가 많다. 따라서 유아의 감정을 표현해 주는 것은 문제행동의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교사 자신의 생각, 의도, 감정 등을 전달하는 나-전달법은 유아를 비난하지 않으면서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결과와 그로 인한 교사의 감정을 전달함으로써 좌절이나 분노, 수치심 없이 교사의 입장을 생각해 보게 한다.
5) 위험한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타박상과 멍이 자주 발견되었다.
(2) 사건
위험한 행동으로 높은 곳에 올라가기, 뛰어내리기, 장난감을 입에 넣기, 뾰족한 시침핀 만지기, 콘센트 만지기 등의 행동이 관찰되었다.
(3) 사건후
친구들을 밀어 넘어지게 했다.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는 교사가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보았을 때 자신의화가 난 감정을 격하게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하여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것이다. 격렬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교사가 처음부터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몇 번을 반복하여 말하거나 요구했는데 유아가 교사의 말을 듣지 않을 경우에 나타나는 반응이다. 또한 격렬한 감정을 표현한 후에는 교사가 마음을 진정시키며 목소리를 낮추고 친절하게 말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5가지를 선정하여 A-B-C 분석을 실시하고 치료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이후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비행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유아기의 부적응은 아동기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관련이 있다. 아동기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들에서도 주의집중을 하지 못하는 과잉행동이나 위축행동과 같은 행동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즉 문제행동으로 인해 아동은 학교생활에 대해 흥미를 상실하거나 불안감, 거부감을 느끼게 되며, 이는 곧 학교생활에 제대로 적응할 수 없는 결과를 낳게 된다.
참고문헌
고인숙(2008). 아동 문제행동 및 관찰. 교육아카데미.
고미경(2000). 유치원 교사의 유아 행동통제에 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경숙(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송이(2008).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 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사건
놀이를 하다가 교사가 눈앞에 보이지 않으면 유치원 여기저기를 왔다 갔다 하고 울면서 교사를 찾아다녔다.
(3) 사건후
민우는 태어나면서부터 엄마가 직장을 다니셨기 때문에 할머니와 함께 지냈다. 엄마와 함께 생활한지는 얼마 되지 않았으며 여동생이 있어서 엄마와 충분하게 상호작용을 못하는 유아였다.
(4) 치료전략 - 감정에 호소하기
감정에 호소하기는 유아의 문제행동이 나타날 때 멈추기를 부탁하거나 교사와 유아의 감정을 표현하여 문제행동을 멈추도록 요구하는 방법이다. 유아들은 화나고 슬플 때 왜 그런 감정이 드는지 정확히 표현하지 못할 때가 많다. 따라서 유아의 감정을 표현해 주는 것은 문제행동의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교사 자신의 생각, 의도, 감정 등을 전달하는 나-전달법은 유아를 비난하지 않으면서도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결과와 그로 인한 교사의 감정을 전달함으로써 좌절이나 분노, 수치심 없이 교사의 입장을 생각해 보게 한다.
5) 위험한 행동에 대한 A-B-C 분석 실시 후 치료전략
(1) 사건전
타박상과 멍이 자주 발견되었다.
(2) 사건
위험한 행동으로 높은 곳에 올라가기, 뛰어내리기, 장난감을 입에 넣기, 뾰족한 시침핀 만지기, 콘센트 만지기 등의 행동이 관찰되었다.
(3) 사건후
친구들을 밀어 넘어지게 했다.
(4) 치료전략 -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
격렬한 감정 표현하기는 교사가 유아들의 문제행동을 보았을 때 자신의화가 난 감정을 격하게 말이나 행동으로 표현하여 문제행동을 지도하는 것이다. 격렬한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교사가 처음부터 사용하는 방법이 아니라 몇 번을 반복하여 말하거나 요구했는데 유아가 교사의 말을 듣지 않을 경우에 나타나는 반응이다. 또한 격렬한 감정을 표현한 후에는 교사가 마음을 진정시키며 목소리를 낮추고 친절하게 말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아동에게 나타날 수 있는 문제행동 5가지를 선정하여 A-B-C 분석을 실시하고 치료전략을 제시해 보았다. 유아기의 문제행동은 이후 아동기나 청소년기에 비행행동으로 발전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유아기의 부적응은 아동기의 학교생활 부적응과 관련이 있다. 아동기의 문제행동과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들에서도 주의집중을 하지 못하는 과잉행동이나 위축행동과 같은 행동들이 학교생활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히고 있다. 즉 문제행동으로 인해 아동은 학교생활에 대해 흥미를 상실하거나 불안감, 거부감을 느끼게 되며, 이는 곧 학교생활에 제대로 적응할 수 없는 결과를 낳게 된다.
참고문헌
고인숙(2008). 아동 문제행동 및 관찰. 교육아카데미.
고미경(2000). 유치원 교사의 유아 행동통제에 대한 이야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경숙(2008). 유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대처전략.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문송이(2008). 유치원 교실에서 일어나는 유아 행동지도와 교사의 어려움.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