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리 더 쉽
2. 리더쉽 이론의 종류
가. 특성이론 (Traits Theory)
나.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다.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
[참 고 자 료]
2. 리더쉽 이론의 종류
가. 특성이론 (Traits Theory)
나.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다.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
[참 고 자 료]
본문내용
Theory)
(가) 이론
Robert House 교수(1971)에 의해 주창된 이 이론은 리더의 역할을 추종자들이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리더의 스타일 분류 + 조직 구성원의 특성에 따른 상황 요소 + 환경적 상황 요소”를 함께 고려해서 어떤 경우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올라가고 성과가 늘어나는지 밝히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피들러의 상황 리더십 이론이 리더의 특성에 더 주안점을 둔 것과 달리 상황 쪽에 더 무게를 둔다.
경로-목표 이론은 동기부여 이론 중 브룸(Vroom 1964)의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과 관련성을 가진 리더십 이론이다. 기대이론에서는 멤버들은 자신이 투입할 노력이 분명한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믿을 때, 즉 성과가 자신의 목표와 잘 부합될 때 높은 동기가 유발된다. 그러므로 리더가 조직이 처한 상황 변수를 고려해서 노력-성과(\"Expectancy\"), 성과-개인적 목표(\"Valency\") 사이의 관계를 얼마나 명확히 해줄 수 있느냐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직업만족도와 조직의 성과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이론의 이름처럼 조직 구성원들에게 목표(goal)로 가는 경로(path = expectancy, valency) 를 명확히 해줄 수 있는 리더십이 좋은 리더십이고 이는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나) 상황변수
상황 변수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구성원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환경적 상황요소(Environmental contingency factors)와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에서 비롯되는 조직 구성원 상황요소(Subordinate contingency factors)이다. 종합해 보면, 환경적 변수와 직원 성격적인 변수 측면에서 부족한 면을 채워줄 수 있는 리더십이 가장 좋은 성과와 높은 직업만족도를 기록할 것이라는 가정들이다. 후속 연구결과는 위 가설이 상당히 긍정적이라는 쪽으로 결론지어지고 있다. 피들러의 이론과 달리 경로-목표 이론은 리더십 스타일은 얼마든지 유연하게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황변수 분석만 정확하게 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 고 자 료]
홍대식, 2007, 「사회심리학」, (주)박영사
Taylor 외 2009, 「Social Psychology」, 12th edition
(가) 이론
Robert House 교수(1971)에 의해 주창된 이 이론은 리더의 역할을 추종자들이 개인이나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대한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리더의 스타일 분류 + 조직 구성원의 특성에 따른 상황 요소 + 환경적 상황 요소”를 함께 고려해서 어떤 경우에 구성원들의 만족도가 올라가고 성과가 늘어나는지 밝히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피들러의 상황 리더십 이론이 리더의 특성에 더 주안점을 둔 것과 달리 상황 쪽에 더 무게를 둔다.
경로-목표 이론은 동기부여 이론 중 브룸(Vroom 1964)의 기대이론(Expectancy Theory)과 관련성을 가진 리더십 이론이다. 기대이론에서는 멤버들은 자신이 투입할 노력이 분명한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믿을 때, 즉 성과가 자신의 목표와 잘 부합될 때 높은 동기가 유발된다. 그러므로 리더가 조직이 처한 상황 변수를 고려해서 노력-성과(\"Expectancy\"), 성과-개인적 목표(\"Valency\") 사이의 관계를 얼마나 명확히 해줄 수 있느냐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직업만족도와 조직의 성과가 달라진다고 보았다. 이론의 이름처럼 조직 구성원들에게 목표(goal)로 가는 경로(path = expectancy, valency) 를 명확히 해줄 수 있는 리더십이 좋은 리더십이고 이는 상황에 따라 달라져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나) 상황변수
상황 변수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구성원의 영향력이 미치지 않는 환경적 상황요소(Environmental contingency factors)와 조직 구성원 개개인의 성격적인 특성에서 비롯되는 조직 구성원 상황요소(Subordinate contingency factors)이다. 종합해 보면, 환경적 변수와 직원 성격적인 변수 측면에서 부족한 면을 채워줄 수 있는 리더십이 가장 좋은 성과와 높은 직업만족도를 기록할 것이라는 가정들이다. 후속 연구결과는 위 가설이 상당히 긍정적이라는 쪽으로 결론지어지고 있다. 피들러의 이론과 달리 경로-목표 이론은 리더십 스타일은 얼마든지 유연하게 바꿀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상황변수 분석만 정확하게 할 수 있다면 가장 좋은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리더십 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참 고 자 료]
홍대식, 2007, 「사회심리학」, (주)박영사
Taylor 외 2009, 「Social Psychology」, 12th edition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