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소방공무원 교육-훈련체계
1. 소방교육체계의 변천과 현황
2. 소방교육-훈련의 특성과 방향
II. 외국의 소방교육-훈련체계 비교
1. 영국의 교육-훈련체계
1) 소방대학
2) 긴급사태계획대학
2. 독일의 교육-훈련체계
3. 프랑스의 교육-훈련체계
4. 미국의 교육-훈련체계
1) 국립소방아카데미
2) 위기관리연수소
3) 각 주의 소방교육-훈련기관
5. 일본의 교육-훈련체계
1) 교육훈련
2) 기술원조
3) 졸업생현황
6. 중국의 교육-훈련체계
1) 일반대원
2) 간부대원
7. 필리핀의 교육-훈련체계
1) 개요
2) 시설 및 인원
3) 교육코스
III. 소방교육-훈련제도의 개선
1. 중앙소방학교의 대학체제 개편
2. 시, 도별 지방소방학교 확대개편
1. 소방교육체계의 변천과 현황
2. 소방교육-훈련의 특성과 방향
II. 외국의 소방교육-훈련체계 비교
1. 영국의 교육-훈련체계
1) 소방대학
2) 긴급사태계획대학
2. 독일의 교육-훈련체계
3. 프랑스의 교육-훈련체계
4. 미국의 교육-훈련체계
1) 국립소방아카데미
2) 위기관리연수소
3) 각 주의 소방교육-훈련기관
5. 일본의 교육-훈련체계
1) 교육훈련
2) 기술원조
3) 졸업생현황
6. 중국의 교육-훈련체계
1) 일반대원
2) 간부대원
7. 필리핀의 교육-훈련체계
1) 개요
2) 시설 및 인원
3) 교육코스
III. 소방교육-훈련제도의 개선
1. 중앙소방학교의 대학체제 개편
2. 시, 도별 지방소방학교 확대개편
본문내용
Public Safety College: PPSC)산하로 편입 되었다.
1996년 7월에는 국립소방학교(Fire National Training Institute)로 명칭을 개정하였다.
주요임무는 소방청의 요청에 따라 신임 간부교육과 전문과목에 대한 교육훈련
을 통해서 소방인계를 양성하는데 있다. 필리핀은 앞으로 지방소방학교도 설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는 국립소방학교가 유일한 소방인계양성 및 전문교육기
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소방과 달리 필리핀 경찰은 각 지방에 훈련센터
를 가지고 있다.
(2) 시설 및 인원
소방학교의 부지면적은 약 7.5ha이며, 부지 중앙에 대운동장이 있고, 운동장을 중
심으로 각종 건물과 시설이 들어서 있다. 국립소방학교의 조직은 교장, 충무과, 서
무과, 소방 방화교육과, 연구개발과, 실과훈련과가 있다. 직원은 교관 35명을 포함
하여 81명이다.
(3) 교육코스
1/ 초임코스(Public Safety Basic Recruit Course: PSBRC): 이 과정은 소방직원으로
채용된 초임자에 대한 교육과정으로 교육기간은 6재월이다.
2/ 간부교육: 간부교육과정에는 공안간부후보생 코스(Public Safety Officers Candi-
date Course: PSOCC, 교육기간 6개월), 간부기초 코스(Public Safety Officers Ba-
sic Course 교육기간 4개월), 간부상급 코스(Public Safety Officers Advance Cour-
se, 교육기간 4개월) 등이 있다.
3/ 전과코스 전과(專科) 코스는 심화교육과정으로 방화검사 코스(Fire Arson and
Investigation Course: FAIIC, 초임 코스 수료자 수강), 화재예방감독자 코스(Fire
Protecttion Supervisory Course, 교육기간은 2개월로 3차 전문교육과정), 경 리간
부기초 코스(Fire Finance Officers Basic Course, 교육기간 4개월), 경 리 비사관 코
스(Finance Non-Commissioned Fire Officer Course, 교육기간 3재월) 등이 있다.
III. 소방교육-훈련제도의 개선
앞에서 지적한 소방교육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역량 있는 소방공무원을 양성
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상의 개편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중앙소방학교의 대학체제 개편
소방공무원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교육제도가 확립되
어야 한다. 소방공무원의 교육강화를 위한 제도개선으로는 소방간부를 교육대상으
로 하는 중앙소방학교의 체제개편과 비간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방소방학교의
확대개편을 들 수 있다.
중앙소방학교의 대학체제 개편은 우수한 소방인력의 양성은 물론, 소방학술의 발
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소방대학의 설립형태는 크게
두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현행 중앙소방학교를 일본과 같이 명칭을 \'소
방대학\'으로 개편하여 대학수준으로 교육기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또 다른 하나
는 중앙소방학교와는 별개로 4년제 정규대학을 설립하여 소방간부를 양성하고, 간
부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다.
우수한 소방간부를 양성하고 소방조직의 항구적 발전을 위해서는 소방전문인력
을 배출하고 소방공무원에 대한 수준높은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4년제 소방대학의
설립이 가장 바람직하다. 4년제 소방대학은 현재 고급경찰간부를 배출하기 위해 운
영되고 있는 경찰대학과 유사한 모형이다. 다만 설립후 4년이 지나면 매년 졸업생이
배출되어 졸업생 전원을 소방의 초급간부로 임용해야 하므로 소방공무원의 전체적
인 인력수급계획과 관련하여 입학정원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수의 규모는 현
행 간부시험 채용인원 정도인 50-80명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전원 국비장
학생으로 선발하여 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하고, 졸업생에게는 학사학위 수여와 함
께 초급간부로 임용해야 한다. 소방대학이 설립되어 졸업생을 배출하게 되면 현행
소방간부 채용시험은 인력수급상 인원을 대폭 줄이거나 폐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중앙소방학교의 명칭을 \'소방대학\'으로 개편하는 방안으로 현재의 중
앙소방학교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교육내용의 외연을 확대하는 방안이다. 일
반대학과 달리 신입생을 모집하지 않고 현재와 같이 간부후보생 교육, 소방간부 재
교육, 의무소방대원 교육, 의용소방대원 교육 등을 담당하되, 교육의 양과 질적 수
준을 높여 간다. 즉 현재의 중앙소방학교를 대학체제로 개편하고, 현재의 교육시설
과 장비, 그리고 교관요원을 확대 강화함으로써 대학수준의 체제를 갖추는 방안이
다. 이렇게 되면 현행제도보다 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교육내용의 질적
양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소방대학으로의 개편은 소방조직의 위상은 물
론, 소방대학 종사자, 그리고 교육대상자인 소방공무원 및 의무소방대원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시 도별 지방소방학교 확대개편
신임소방공무원과 비간부 전담교육기관으로 전국 5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지방소
방학교를 증설하는 방안이다. 현재 비간부의 교육을 담당하는 5재소의 지방소방학
교는 교육시설과 교관요원이 부족하여 교육내용의 부실은 물론, 신임교육마저 모두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지방자치 실시로 광역단체별로 다양한 소
방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광역단체별로 지방소방학교를 설치하여 지역사
정에 적합한 교육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예컨대, 미국은 50개 주 모두가 각각 소
방학교나 교육훈련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도 47개 도 도 부 현(部
道 府 源) 모두가 자체적인 소방교육훈련을 위한 지방소방학교를 두고 있다. 따
라서 우리의 경우 현재의 서울 경기 충남 대구 광주의 5개 소방학교 외에 부
산 경남 강원 인천 울산 전북 제주 충북 등에도 자체적으로 지방소방학교
를 설치하여 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에 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방수요의 다양
화와 증가추세를 감안할 때 이러한 제도의 개편은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1996년 7월에는 국립소방학교(Fire National Training Institute)로 명칭을 개정하였다.
주요임무는 소방청의 요청에 따라 신임 간부교육과 전문과목에 대한 교육훈련
을 통해서 소방인계를 양성하는데 있다. 필리핀은 앞으로 지방소방학교도 설치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나 현재는 국립소방학교가 유일한 소방인계양성 및 전문교육기
관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소방과 달리 필리핀 경찰은 각 지방에 훈련센터
를 가지고 있다.
(2) 시설 및 인원
소방학교의 부지면적은 약 7.5ha이며, 부지 중앙에 대운동장이 있고, 운동장을 중
심으로 각종 건물과 시설이 들어서 있다. 국립소방학교의 조직은 교장, 충무과, 서
무과, 소방 방화교육과, 연구개발과, 실과훈련과가 있다. 직원은 교관 35명을 포함
하여 81명이다.
(3) 교육코스
1/ 초임코스(Public Safety Basic Recruit Course: PSBRC): 이 과정은 소방직원으로
채용된 초임자에 대한 교육과정으로 교육기간은 6재월이다.
2/ 간부교육: 간부교육과정에는 공안간부후보생 코스(Public Safety Officers Candi-
date Course: PSOCC, 교육기간 6개월), 간부기초 코스(Public Safety Officers Ba-
sic Course 교육기간 4개월), 간부상급 코스(Public Safety Officers Advance Cour-
se, 교육기간 4개월) 등이 있다.
3/ 전과코스 전과(專科) 코스는 심화교육과정으로 방화검사 코스(Fire Arson and
Investigation Course: FAIIC, 초임 코스 수료자 수강), 화재예방감독자 코스(Fire
Protecttion Supervisory Course, 교육기간은 2개월로 3차 전문교육과정), 경 리간
부기초 코스(Fire Finance Officers Basic Course, 교육기간 4개월), 경 리 비사관 코
스(Finance Non-Commissioned Fire Officer Course, 교육기간 3재월) 등이 있다.
III. 소방교육-훈련제도의 개선
앞에서 지적한 소방교육체계의 문제점을 개선하고 역량 있는 소방공무원을 양성
배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제도상의 개편이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1) 중앙소방학교의 대학체제 개편
소방공무원에 대한 교육훈련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1차적으로 교육제도가 확립되
어야 한다. 소방공무원의 교육강화를 위한 제도개선으로는 소방간부를 교육대상으
로 하는 중앙소방학교의 체제개편과 비간부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 지방소방학교의
확대개편을 들 수 있다.
중앙소방학교의 대학체제 개편은 우수한 소방인력의 양성은 물론, 소방학술의 발
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소방대학의 설립형태는 크게
두 가지 대안이 있을 수 있다. 하나는 현행 중앙소방학교를 일본과 같이 명칭을 \'소
방대학\'으로 개편하여 대학수준으로 교육기능을 향상시키는 방안이다. 또 다른 하나
는 중앙소방학교와는 별개로 4년제 정규대학을 설립하여 소방간부를 양성하고, 간
부교육을 실시하는 방안이다.
우수한 소방간부를 양성하고 소방조직의 항구적 발전을 위해서는 소방전문인력
을 배출하고 소방공무원에 대한 수준높은 교육을 담당할 수 있는 4년제 소방대학의
설립이 가장 바람직하다. 4년제 소방대학은 현재 고급경찰간부를 배출하기 위해 운
영되고 있는 경찰대학과 유사한 모형이다. 다만 설립후 4년이 지나면 매년 졸업생이
배출되어 졸업생 전원을 소방의 초급간부로 임용해야 하므로 소방공무원의 전체적
인 인력수급계획과 관련하여 입학정원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수의 규모는 현
행 간부시험 채용인원 정도인 50-80명 정도가 적합할 것으로 보이며, 전원 국비장
학생으로 선발하여 교육과정을 이수하도록 하고, 졸업생에게는 학사학위 수여와 함
께 초급간부로 임용해야 한다. 소방대학이 설립되어 졸업생을 배출하게 되면 현행
소방간부 채용시험은 인력수급상 인원을 대폭 줄이거나 폐지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현재 중앙소방학교의 명칭을 \'소방대학\'으로 개편하는 방안으로 현재의 중
앙소방학교의 기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교육내용의 외연을 확대하는 방안이다. 일
반대학과 달리 신입생을 모집하지 않고 현재와 같이 간부후보생 교육, 소방간부 재
교육, 의무소방대원 교육, 의용소방대원 교육 등을 담당하되, 교육의 양과 질적 수
준을 높여 간다. 즉 현재의 중앙소방학교를 대학체제로 개편하고, 현재의 교육시설
과 장비, 그리고 교관요원을 확대 강화함으로써 대학수준의 체제를 갖추는 방안이
다. 이렇게 되면 현행제도보다 교육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고, 교육내용의 질적
양적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소방대학으로의 개편은 소방조직의 위상은 물
론, 소방대학 종사자, 그리고 교육대상자인 소방공무원 및 의무소방대원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을 것이다.
2) 시 도별 지방소방학교 확대개편
신임소방공무원과 비간부 전담교육기관으로 전국 5개소에 설치되어 있는 지방소
방학교를 증설하는 방안이다. 현재 비간부의 교육을 담당하는 5재소의 지방소방학
교는 교육시설과 교관요원이 부족하여 교육내용의 부실은 물론, 신임교육마저 모두
소화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구나 지방자치 실시로 광역단체별로 다양한 소
방 서비스가 실시되고 있기 때문에 광역단체별로 지방소방학교를 설치하여 지역사
정에 적합한 교육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예컨대, 미국은 50개 주 모두가 각각 소
방학교나 교육훈련시설을 가지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도 47개 도 도 부 현(部
道 府 源) 모두가 자체적인 소방교육훈련을 위한 지방소방학교를 두고 있다. 따
라서 우리의 경우 현재의 서울 경기 충남 대구 광주의 5개 소방학교 외에 부
산 경남 강원 인천 울산 전북 제주 충북 등에도 자체적으로 지방소방학교
를 설치하여 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에 임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소방수요의 다양
화와 증가추세를 감안할 때 이러한 제도의 개편은 타당성을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추천자료
공무원노조설립(노조측 의견)
외국의 중등 실업교육 개편 동향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
노사관계론- 공무원 노조
[공무원노동기본권보장]공무원노동기본권의 개념과 내용, 공무원노동기본권의 제한, 공무원노...
[공무원]공무원의 개념과 근로자성, 공무원노동기본권보장의 필요성, 공무원노동기본권 관련 ...
프랑스의 의료제도, 응급구호, 병원제도 분석 및 다른 나라와의 비교
영국의 교육정책(교육제도), 중국의 교육정책(교육제도), 일본의 교육정책(교육제도), 캐나다...
[경찰행정론]한국의 경찰사(갑오경장 이전부터 1991년 경찰법제정 이후)와 외국의 경찰사(경...
[국가민방위제도 國家民防衛制度] 민방위제도의 의의와 역사적 배경(우리나라 민방위역사),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