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신생아 발달의 중요성
2. 신생아의 반사근원
3. 신생아의 반사능력
1) 생존반사
(1) 찾기 반사(rooting reflex)
(2) 빨기 반사(sucking reflex)
(3) 호흡 반사(breathing reflex)
(4) 동공 반사(pupillary reflex)
(5) 내뱉기 반사(spitting reflex)
(6) 삼키기 반사(swallowing reflex)
(7) 움츠리는 반사(withdrawal reflex)
(8) 울음 반사(crying reflex)
2) 비생존 반사
(1) 파악반사(grasping reflex)
(2) 모로 반사(moro reflex)
(3) 바빈스키 반사(Bavinski reflex)
(4) 수영반사(swimming reflex)
(5) 걷기 반사(walking reflex)
(6) 바브킨 반사(Babkin reflex)
(7) 긴장성 반사(Tonic neck reflex)
3) 전생애 동안 지속되는 반사
(1) 눈깜박거리기 반사(Blinking reflex)
(2) 슬래건 반사(knee-jerk reflex)
(3)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
(4) 하품 반사(yawn reflex)
4.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신생아 발달의 중요성
2. 신생아의 반사근원
3. 신생아의 반사능력
1) 생존반사
(1) 찾기 반사(rooting reflex)
(2) 빨기 반사(sucking reflex)
(3) 호흡 반사(breathing reflex)
(4) 동공 반사(pupillary reflex)
(5) 내뱉기 반사(spitting reflex)
(6) 삼키기 반사(swallowing reflex)
(7) 움츠리는 반사(withdrawal reflex)
(8) 울음 반사(crying reflex)
2) 비생존 반사
(1) 파악반사(grasping reflex)
(2) 모로 반사(moro reflex)
(3) 바빈스키 반사(Bavinski reflex)
(4) 수영반사(swimming reflex)
(5) 걷기 반사(walking reflex)
(6) 바브킨 반사(Babkin reflex)
(7) 긴장성 반사(Tonic neck reflex)
3) 전생애 동안 지속되는 반사
(1) 눈깜박거리기 반사(Blinking reflex)
(2) 슬래건 반사(knee-jerk reflex)
(3)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
(4) 하품 반사(yawn reflex)
4.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여 이동해 오면 신생아는 눈을 깜박거린다.
(2) 슬래건 반사(knee-jerk reflex)
슬래건 반사(knee-jerk reflex)는 무릎뼈 아래를 가볍게 두드리면 신생아는 갑자기 무릎을 뻗는다. 우울한 아기나 근육질환을 가진 아기는 반응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흥분하는 아기는 과장되게 반응한다.
(3)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는 신생아의 코 속을 자극하거나 간질이면, 기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재채기를 한다.
(4) 하품 반사(yawn reflex)
하품 반사(yawn reflex)는 산소가 갑자기 많이 필요한 경우 다량의 산소를 제공해 준다. 생후 5분이 지나면 하품을 한다.
4. 시사점
신체적 부분 인지적 부분이 급속히 발달하는 영아기 시기에 반사 행동은 모든 부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감각기관을 살펴보면 먼저, 영아의 눈신경근육의 기능은 출생시에는 완전하지 못하지만, 출생 후 36시간이 지나면 아기는 동공반응을 잘 할 수 있다. 색채에 대해서 아기들은 조금씩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학자들은 생후 2주까지는 틀림없이 변별할 수 있으며 좀더 일찍 변별할 수 있다고도 한다.
신생아 앞에서 소리를 내고 그 소리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변화시켜 보면 신생아는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즉, 몸의 활동이 증가하고 맥박과 호흡속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반응은 신생아가 소리의 강약에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생아의 미각은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며, 맛의 차이에 대한 반응은 출생 후 2주일이 지난 후에야 나타난다. 몹시 짠것이나 쓴 것을 입에 넣어주면 뱉고, 얼굴을 찡그리며, 호흡이나 혈액순환이 불규칙하게 된다. 그리고 단것을 넣으면 입맛을 다시고 빨아먹는다.
신생아는 불쾌한 냄새를 맡으면 고개를 돌리는 반면, 단 냄새가 나면 냄새가 나는 방향으로 얼굴을 돌리고 맥박과 호흡은 느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신생아 출생 후 수일 이내에 다른 여성의 젖냄새보다 어머니의 젖냄새를 선호하였으며, 출생 후 6일경에 이미 어머니와 다른 여성의 체취를 구별할 수 있다.
출산 직후의 신생아에게는 통각이 발달되지 않으나, 3∼4일 이 지나면 급속하게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신생아의 아픔에 대한 반응은 아픈 곳으로 부터 피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아픔에 대한 감수성은 신생아의 체질적인 차이에도 있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아픔에 대하여 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아픔을 느끼는 감각의 정도는 후에 공포와 불안을 의식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신생아의 반사능력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출생부터 생후 1년까지의 영아기는 신체적 성장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사회적·인지적·정서적 발달이 시작되는 시기로 출생초기 신생아의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그들의 능력이나 상태에 알맞게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여 그 자극을 인지하고 의미를 파악하여 자신의 경험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효과적 돌봄이 필요하다. 인간은 출생 당시부터 감각 기능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데, 이 중 촉각 기관은 자궁 내에서 최초로 발달하는 신경체계이며, 신생아는 접촉에 대한 촉각이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 접촉을 통한 마사지는 신생아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신생아의 정서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Ⅳ. 참고문헌
김나영 외(2010). 놀이지도. 공동체.
권민균(2005). 아동발달의 이해. 창지사.
김희진 외(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김민영(2019).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슬래건 반사(knee-jerk reflex)
슬래건 반사(knee-jerk reflex)는 무릎뼈 아래를 가볍게 두드리면 신생아는 갑자기 무릎을 뻗는다. 우울한 아기나 근육질환을 가진 아기는 반응하지 않으며 지나치게 흥분하는 아기는 과장되게 반응한다.
(3)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
재채기 반사(sneezing reflex)는 신생아의 코 속을 자극하거나 간질이면, 기도를 깨끗하게 하기 위해 재채기를 한다.
(4) 하품 반사(yawn reflex)
하품 반사(yawn reflex)는 산소가 갑자기 많이 필요한 경우 다량의 산소를 제공해 준다. 생후 5분이 지나면 하품을 한다.
4. 시사점
신체적 부분 인지적 부분이 급속히 발달하는 영아기 시기에 반사 행동은 모든 부분의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 감각기관을 살펴보면 먼저, 영아의 눈신경근육의 기능은 출생시에는 완전하지 못하지만, 출생 후 36시간이 지나면 아기는 동공반응을 잘 할 수 있다. 색채에 대해서 아기들은 조금씩 서로 다른 반응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 있으나 학자들은 생후 2주까지는 틀림없이 변별할 수 있으며 좀더 일찍 변별할 수 있다고도 한다.
신생아 앞에서 소리를 내고 그 소리를 강하게 또는 약하게 변화시켜 보면 신생아는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 즉, 몸의 활동이 증가하고 맥박과 호흡속도가 증가된다. 이러한 반응은 신생아가 소리의 강약에 차이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신생아의 미각은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며, 맛의 차이에 대한 반응은 출생 후 2주일이 지난 후에야 나타난다. 몹시 짠것이나 쓴 것을 입에 넣어주면 뱉고, 얼굴을 찡그리며, 호흡이나 혈액순환이 불규칙하게 된다. 그리고 단것을 넣으면 입맛을 다시고 빨아먹는다.
신생아는 불쾌한 냄새를 맡으면 고개를 돌리는 반면, 단 냄새가 나면 냄새가 나는 방향으로 얼굴을 돌리고 맥박과 호흡은 느려지는 경향을 나타낸다. 신생아 출생 후 수일 이내에 다른 여성의 젖냄새보다 어머니의 젖냄새를 선호하였으며, 출생 후 6일경에 이미 어머니와 다른 여성의 체취를 구별할 수 있다.
출산 직후의 신생아에게는 통각이 발달되지 않으나, 3∼4일 이 지나면 급속하게 발달하는 것으로 보인다. 신생아의 아픔에 대한 반응은 아픈 곳으로 부터 피하려는 행동으로 나타난다. 아픔에 대한 감수성은 신생아의 체질적인 차이에도 있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아픔에 대하여 더 민감한 반응을 나타낸다. 아픔을 느끼는 감각의 정도는 후에 공포와 불안을 의식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신생아의 반사능력에 대해 설명해 보았다. 출생부터 생후 1년까지의 영아기는 신체적 성장이 급속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이며, 사회적·인지적·정서적 발달이 시작되는 시기로 출생초기 신생아의 성장발달을 위해서는 그들의 능력이나 상태에 알맞게 적절한 자극을 제공하여 그 자극을 인지하고 의미를 파악하여 자신의 경험을 확장시켜 나갈 수 있는 효과적 돌봄이 필요하다. 인간은 출생 당시부터 감각 기능이 비교적 잘 발달되어 있는데, 이 중 촉각 기관은 자궁 내에서 최초로 발달하는 신경체계이며, 신생아는 접촉에 대한 촉각이 가장 잘 발달되어 있다. 접촉을 통한 마사지는 신생아에게 사랑을 표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이며 신생아의 정서 및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
Ⅳ. 참고문헌
김나영 외(2010). 놀이지도. 공동체.
권민균(2005). 아동발달의 이해. 창지사.
김희진 외(2004). 영아를 위한 프로그램의 이론과 실제. 창지사.
김민영(2019). 신체활동이 영아의 운동능력과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추천자료
NICU컨퍼런스 (LBW)
[고위험모아간호학A형] 1.중환아 간호단위의 특성, 중환아실 간호사 능력 태도 역할 2.입원아...
[언어지도] 영유아기 언어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주변에서 영유아를 관찰한 후 사례를 제...
[아동발달검사] 영유아발달검사 - 베일리(Bayley) 영아발달검사, 게젤(Gesell) 발달검사, 카...
신생아기, 영아기 발달특성(발달단계와 특징)
신생아기 및 영아기 발달 특징에 대해 정리하시고 영아기 보육이 왜 중요하다고 생각 하는지 ...
신생아의 반사능력에 대해 설명하시오
[아동간호학] 신생아의 일과성 빠른호흡(Transient tachypnea of newborn,TTN) 간호과정 A+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