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트루먼쇼) 카메라를 통해 삶에 녹아 있는 모순을 발견하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화 트루먼쇼) 카메라를 통해 삶에 녹아 있는 모순을 발견하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줌인과 클로즈업-사회적 모순
2. 로우앵글샷-개인적 모순
3. 버드아이뷰샷과 핸드핼드 기법-시각적 모순
4. 묵음과 울림-청각적 모순
Ⅲ. 결론
Ⅳ. 참조문헌

본문내용

보고 있는 우리도 다른 이들을 감시하고 신경쓰며 살아가는 ‘모순’적인 사람임을 보여주기도 한다.
The Trueman Show에서는 다른 영화들보다 버드아이뷰샷을 자주 사용했는데 부자연스러운 씨헤븐의 모습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되며 더욱 현실과의 괴리감을 느끼게 해준다. 해와 달이 동시에 떠 있고 달의 모습이 보통 달의 모습보다 비현실적으로 큰 모습은 괴리감을 더욱 극대화시켜준다.
4. 묵음과 울림
-청각적 모순-
트루먼이 30년 동안 갇혀 있던 씨헤븐을 벗어나고자 하는 여행이 시작되고 그 끝을 도달하게 되었을 때 모든 소리는 사라진다. 단지 웅장하고 잔잔한 음악이 흘러나오면서 기쁨인지 슬픔인지 모를 표정으로 울부짖는 트루먼의 모습을 보여줄 뿐이다. 이 장면에서 상황과 소리가 서로 대칭되지 않으며 역설적인 모습을 발견하게 된다.
또한 트루먼이 출구를 찾아 세상 속으로 걸어나가는 장면에서 감독 크리스토퍼의 목소리는 울린다. 하늘에서 울리는 목소리로 들려오는 그의 목소리는 마치 신이 사람에게 말을 거는 느낌을 들게 한다. 현실세계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황들이 펼쳐지는 것이다.
Ⅲ. 결론
모순이란 단어와 단어 사이의 관계에서 설명되어 질 때 사람들의 일반적인 통념과 양립될 수 없는 모순되고 불일치한 말을 서로 짜 맞추는 표현법이라고 말한다. 단어에서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서로 양립할 수 없는 상황이 생길 때 사람들은 ‘모순적이다.’라고 말한다.
영화의 이름 속에서도 ‘모순’을 찾을 수 있다. The Truman Show. 이것을 잘게 조각내어 보았다. True + Man + Show. 직역을 하면 진실 된 사람 이야기라고 볼 수 있다. 이 방송은 시청자들에게 모든 것은 라이브이며 모두 ‘진실’된 것이라는 것을 세뇌시켰다. 그러나 탄생부터 시작해서 그의 인생에 ‘진실’은 없었다. 부모님, 친구, 아내까지 모두 제작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가짜’ 즉 ‘거짓’이었다. 이로써 영화는 직접적으로 ‘모순’에 대해 이야기 할 것을 알려주고 있다.
거짓된 세상을 벗어나기 위해 씨헤븐의 출입구를 연 트루먼은 과연 세상을 나와 진실을 발견할 수 있을까? 영화는 사라져버린 그의 모습과 주인공이 없어도 여전히 맑고 평화로운 씨헤븐의 모습이 대조를 이루며 끝맺음을 짓는다. 어쩌면 감독은 그는 다른 모순의 세계에 들어갔으며 그곳에서 또 다른 모순을 만나 살아가게 될 것이라고 끝이 없는 모순을 말하고자 했을 것이 아닐까? 우리가 살고 있는 지금 이 세상처럼.
Ⅳ. 참조 문헌
생방송, 네이버사전, 2014-12-02,
http://hanja.naver.com/word?q=%E7%94%9F%E6%94%BE%E9%80%81
영화의 이해 ppt 7주차 ‘렌즈’ p.27
An introduction to film Thomas Sobchack and Vivian C. Sobchack, 주찬규 역(1998 Keo-Rum Publishing Co.) p.89
정재형. 『영화 이해의 길잡이』. 개마고원. 2003. p.121
5) 문학비평용어사전, 한국현대문학대사전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20.06.17
  • 저작시기202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6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