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마근(Frontalis muscle)
2. 관주부위(Temporal region) 또는 관자놀이(Temple)
3. 눈확부위(Orbital region)
4. 코부위(Nose region)
5. 입주위 근육(Perioral muscles)
6. 넓은목근
2. 관주부위(Temporal region) 또는 관자놀이(Temple)
3. 눈확부위(Orbital region)
4. 코부위(Nose region)
5. 입주위 근육(Perioral muscles)
6. 넓은목근
본문내용
층 섬유
둘째 층-넓은목근, 작은광대근, 위입술콧방울올림근
셋째 층-위입술올림근, 입둘레근, 아랫입술내림근
깊은 층 : 넷째 층-입꼬리올림근, 턱끝근, 큰광대근의 깊은 층 섬유, 볼근
6. 넓은목근
넓은목근은 아래턱뼈 아래모서리의 아래턱뼈 사이막(mandibular septum)에 부착하며, 아랫입술 주위 얼굴근육들과 합쳐진다. 넓은목근은 두 개의 근육섬유 형으로 구성된다. sq작한 근육섬유는 입꼬리내림근의 가쪽 경계를 향해 위안쪽(superomedially)주행하며, 다른 깊은 근육섬유는 입꼬리내림근 깊이 주행하여 입꼬리내림근 안쪽 모서리에서 다시 나타나다. 목의 얕은 층에서 넓은 목근 양쪽 근육섬유가 교차하지 않는 경우(non-decussation pattern), 나이듦에 따라 목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면서 소위 “gobbler neck deformity\"라는 모양을 볼 수 있다. 한국인에서는 양쪽 넓은목근 섬유가 교차하지 않는 유형이 서양인에 비해 낮기 때문에 ”gobbler neck\"이 나타날 빈도가 적다. 양쪽의 넓은목근 섬유는 단순히 교차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깍지 끼듯이 교차하거나 한쪽의 근육섬유가 반대편 근육섬유 모서리를 덮기도 한다.
둘째 층-넓은목근, 작은광대근, 위입술콧방울올림근
셋째 층-위입술올림근, 입둘레근, 아랫입술내림근
깊은 층 : 넷째 층-입꼬리올림근, 턱끝근, 큰광대근의 깊은 층 섬유, 볼근
6. 넓은목근
넓은목근은 아래턱뼈 아래모서리의 아래턱뼈 사이막(mandibular septum)에 부착하며, 아랫입술 주위 얼굴근육들과 합쳐진다. 넓은목근은 두 개의 근육섬유 형으로 구성된다. sq작한 근육섬유는 입꼬리내림근의 가쪽 경계를 향해 위안쪽(superomedially)주행하며, 다른 깊은 근육섬유는 입꼬리내림근 깊이 주행하여 입꼬리내림근 안쪽 모서리에서 다시 나타나다. 목의 얕은 층에서 넓은 목근 양쪽 근육섬유가 교차하지 않는 경우(non-decussation pattern), 나이듦에 따라 목 피부의 탄력이 줄어들면서 소위 “gobbler neck deformity\"라는 모양을 볼 수 있다. 한국인에서는 양쪽 넓은목근 섬유가 교차하지 않는 유형이 서양인에 비해 낮기 때문에 ”gobbler neck\"이 나타날 빈도가 적다. 양쪽의 넓은목근 섬유는 단순히 교차만 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깍지 끼듯이 교차하거나 한쪽의 근육섬유가 반대편 근육섬유 모서리를 덮기도 한다.
추천자료
아동의 인지발달
정서에 관한 수업자료, 레포트 참고자료
아동발달의 이해 조사
영아기 인지발달 - 인지발달, 피아제(Piaget)의 접근법, 정보처리접근, 언어의 구성요소, 언...
[영아의 신체 운동] 영아기 신체운동 발달 - 아동의 신체성장, 영아의 손의 조작능력, 영아의...
보톡스에 대한 이해 (보톡스,보튤리눔,Clostridium botulinum,보톡스 부작용, Botulinum)
[정서표현] 정서표현의 연구, 정서표현이 정서경험에 미치는 영향
[신생아기 발달특징] 신생아기의 신체적 특징, 신생아의 생리적 기능, 감각기능, 반사운동,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