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 - 영화 밀양 욥기 함께 읽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 - 영화 밀양 욥기 함께 읽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2. 현대판 욥의 고난 이야기 (밀양)
3. 욥의 고난 이야기
a. 욥의 고난의 원인과 근거
b. 고난의 원인에 대한 해석의 근거
c. 고난에 대한 욥의 탄원
4. 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
5. 나가는 말

본문내용

범인은 혹시나 하나님께 존재론적인 죄에 해당되는 부분이 해결되었을지언정 신애에게 먼저 용서를 구했어야 했다. 그리고 용서를 구하러 교도소로 찾아갔던 신애는 결코 하나님에 의해 범인을 용서할 권리가 박탈당한 것은 아니었던 것이다. 신애는 이러한 사실을 잘 몰랐을 것이고 어느 누구에게도 듣지 못했던 것이다.
욥은 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에서 역사하고 계시는 하나님을 볼 수 있었다. 고통은 우리가 느낄 수 있는 것이지만 고난은 하나님이 의지대로 그분의 섭리에 따라 당할 수 있는 것이다. 욥은 그것을 깨달았던 것이다. 자신이 “도덕론적인 죄”로부터 동떨어진 의인중의 의인이며 순결한 사람이라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그의 구원의 문제는 하나님의 전적인 문제일 뿐 의롭게 하시는 이는 오직 하나님이라는 사실이다. 우리는 그러한 하나님의 신성한 영역을 침범할 수 없는 것이다. 신애는 하나님의 신성한 영역과 자신의 용서할 권리를 혼동하였다. 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에 계신 하나님을 발견할 수 없었던 것이다. 신애는 자신이 절대 주권자이신 하나님 앞에서 그저 짓밟힐 수밖에 없는 벌레와 같은 존재로 단정하고 자신의 몸을 망치면서 하나님께 대항했던 것이다.
5. 나가는 말
신앙의 인내와 고난은 결코 필연적 관계성이 없는 것 같다. 서로 풍요롭게 하면서도 교차되고 그래서 마침내 하나님에 관해 말하는 올바른 방법을 찾아내는 곳으로 나아간다. 욥기를 통해 볼 수 있는 “욥이 당한 고난”은 신의 필연성으로 이해해야 하며, 즉 고난은 하나님의 구원섭리의 한 도구로서, 이른바 하나님으로부터 오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타당할 것 이다. 욥의 고백 내가 모태에서 적신으로 나왔은즉 또한 적신이 그리로 돌아갈지라 주신자도 여호와시오. 취하신 자도 여호와시니 여호와의 이름이 찬송을 받으실 찌니이다. (1:21) 우리가 하나님께 복을 받았은즉 재앙도 받지 아니하겠느뇨(2:20b)하고 고백을 했기 때문이다. 고난의 문제를 합리적이나 논리적으로 또는 인과론적 면에서 충분히 이해하기란 어려운 일인 것 같다. 왜냐하면 고난에 대한 문제는 사람이 자기 자신의 경험속의 통찰력을 얻도록 인류학적으로 고찰되는 사상이 아니라 완전히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한편 밀양의 신애는 이러한 하나님의 섭리에 정면으로 도전하고 용납하지 못하는 모습을 살펴 볼 수 있었다. 하나님의 절대 주권(고난)을 자신에 대한 지독한 범죄로 여기며, 아무리 발버둥을 쳐도 빠져나올 수 없는 상황이라 단정하고 포기했기 때문에 삶에 대한 좌절감을 맛볼 수 밖에 없었다. 신애는 고통 앞에서 자신을 벌레처럼 가지고 노는 신을 원망했을 뿐 고난 뒤에 계시는 절대 주권의 하나님을 깨달을 수 없었던 것이다. 당장 눈앞에 보이는 고통은 인식했지만 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에 존재하는 하나님의 현존을 인지하지 못하고, 깨닫지 못하는 우를 범했다.
하지만 고통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을 바라보았던 욥이 겪어야 했던 고난의 의미는 독특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욥기의 메시지를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의인의 고난이란 인간의 지식과 생각으로는 설명될 수 없고 다만 더 크고 넓은 맥락 속에서만 설명될 수 있다고 말한다. 그 맥락이란, 인간으로 알 수 있게 하고 믿을 수 있게 해주는 모든 것을 포용하는 선과 지혜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하나님에 대한 지식은 영혼의 지혜를 가리키는 것이며, 또 그것은 세상에서 말하는 지식과 같은 것이 아니고 그것은 초월적인 그 한 분에 대한 깨달음이요, 보는 것이요, 아는 것이요, 알려지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우리가 고통스러울 때 그것을 넘어 고난의 뒤안길에 존재하는 그 무엇을 바라봐야할 이유가 아닐까 생각해 본다.

키워드

욥기,   밀양,   고통,   용서,   고난,  
  • 가격3,5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20.06.25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29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