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문헌고찰
1. 양극성 정동장애
Ⅱ.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2. 주호소(chief complain)
3. 현병력
4. 과거병력
5. 개인 발달력
6. 가족력
7. 신체상태 검진
8.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9. 정신사회적 사정
10. 정신상태 검진
11. 대상자 강점 및 취약점
12. 문제 목록 및 우선순위
Ⅲ. 간호과정
Ⅳ. 최종 평가(실습에 대한 평가)
참고 문헌
1. 양극성 정동장애
Ⅱ. 간호사정
1. 대상자의 일반적 정보
2. 주호소(chief complain)
3. 현병력
4. 과거병력
5. 개인 발달력
6. 가족력
7. 신체상태 검진
8. 의학적 진단 및 치료계획
9. 정신사회적 사정
10. 정신상태 검진
11. 대상자 강점 및 취약점
12. 문제 목록 및 우선순위
Ⅲ. 간호과정
Ⅳ. 최종 평가(실습에 대한 평가)
참고 문헌
본문내용
cutting을 함.
3) 지각상태
환각 없음
4) 사고의 상태 및 사고 내용
사고의 흐름: 묻는 말에 적절하게 대답을 하고 논리적임.
사고의 내용:
grandious delusion : “전두환 때 무전여행으로 대만, 홍콩, 방콩, 일본을 갔어요.”
“ 제가 기획실, 대기업 비서실, 무역, 63빌딩 서 딜러를 했어요.”
5) 인지 상태.
지남력(시간/장소/사람): (+지금이 무슨 계절입니까? 여름/+여기는 어디입니까? 성안드레아병원/+저는 누구입니까? 학생간호사)
지능(지적기능/주의집중력/계산능력): (+우리나라 수도는? 서울/+ 삼천리 강산 거꾸로 하면? 시간이 좀 지나고 산강리천삼 이라고 말함./- 100-7? 93-7? 머뭇거리며 대답하지 못함)
판단력: (+ 옷을 왜 빨아서 입습니까? 깨끗하게 하려고 빤다.)
추상적 사고: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내가 말을 좋게 해야 남도 좋게 한다. )
기억력: (+ 사과, 배, 복숭아 이세가지를 암기하시오. 5분 후에 물어봤을 때 세가지 모두 답함.)
6) 병식
병식 없음. 공황장애로 인해 입원했다고 함. 조울증 같은 성격이라고 말하지만 자신이 양극성정동장애라는 걸 모르는 듯함.
강점
약점
병동의 규칙을 잘 지킴.
둘째 누나와 사이가 좋음.
일상생활이 가능함.
폭력의 위험성이 있음.
병식이 없음.
직업이 없음. 무직 상태.
사회생활에서 계속 사람들과 트러블이 있었음.
요법 참여율이 저조함.
11. 대상자 강점 및 취약점
우선순위
문제목록
우선순위 선정이유
1
무력감
현재 무기력한 것이 가장 불편하다고 함
2
지식부족
병식 없음.
3
영양불균형: 영양과다
입원 당시보다 체중이 7kg 증가함.
4
폭력위험성
과거 폭력 전과가 있음. 가족 폭행함.
12. 문제 목록 및 우선순위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희망이 생각나지 않아요.”
“보이기엔 괜찮지만 무기력해요.”
“병원생활이 매번 비슷해서 지루해요.”
요법에 거의 참여하지 않음
담배 필 때 말고 산책을 가지 않음.
주로 병실에서 천주교 책을 읽음.
간호진단
무기력한 생활방식과 관련된 무력감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무력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3회 이상 요법에 참여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무력감에 대하여 사정한다.
무력감 사정 시 무력감 정도를 알 수 있어 적절한 중재가 가능하다.
면담에서 현재 감정에 대해 물어보고, 걱정거리나 스트레스가 있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해 무력감 정도를 사정하였다.
라포를 형성하여 대화상대가 되어준다.
대화상대가 되어주면 대화할 때만이라도 무력감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다.
먼저 다가가서 인사를 하며 잦은 접촉을 통해 라포를 형성하고, 병실에 있을 때 찾아가서 대화를 하였다,
신체활동을 격려한다.
신체활동을 하면 무력해진 환자의 생각과 태도를 감소시킨다.
병실에서 누워있을 시 탁구를 치자고 제안하고 탁구를 쳤고, 같이 산책을 나갔다.
요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요법에 참여함으로써 지루하다고 했던 병원생활에 흥미를 가질 수 있고, 자신과 비슷한 질환을 가진 사람들과의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으로 무력감을 감소시킨다.
요법이 있을 때 요법에 대한 설명으로 흥미를 유발시키고, 같이 가자고 이야기하였다.
입원생활에서 하루 일과표, 목표와 계획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하루일과표를 작성하고 계획을 수행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무력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
하루일과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하루에 한번 30분 이상 산책을 하도록 계획을 세우고, 완수 시 칭찬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요법 중 자치회의, 활력체조, 독립생활기술훈련에 참여하였으며 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자발적으로 요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격려가 필요하다.
Ⅲ. 간호과정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운동 따로 안하죠.”
몸무게가 73.2kg에서 80.4kg로 7kg가량 증가함,
BMI 지수 27.82로 비만.
배 나온 모습이 관찰됨.
pt 변OO님과 간식을 나눠먹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간호진단
잘못된 식습관과 관련된 영양과다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이 감소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야식과 간식을 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식이 습관을 사정한다.
식사와 간식의 양을 사정하면 적절한 중재가 가능하다.
환자에게 식사량과 간식의 종류, 양에 대해 물어 사정하였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체중을 측정하면 그에 맞는 중재가 가능하다,
매일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노트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식사 계획을 의논한다.
식사 계획을 의논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함으로써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
식사 계획에 대해 이야기 하였고, 목표로 간식을 자제하고 아침, 점심, 저녁 식사에만 집중하도록 하였다.
간식과 야식을 자제하도록 격려한다.
간식과 야식은 체중을 증가시킨다.
간식과 야식을 절제하도록 말하였고, 간식을 먹는 모습이 관찰될 시 간식을 자제하도록 즉시 이야기 하였다.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적절한 운동은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잔디밭 걷기를 하루에 30분 이상하도록 격려하였다.
평가
평소에 간식을 드시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지만 간호를 수행함으로써 간식 섭취하는 모습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밥 먹고 간식을 드시는 모습이 관찰되어서 간식 제한에 대한 지속적인 격려가 필요하다.
Ⅳ. 최종 평가(실습에 대한 평가)
실습 나오기 전부터 병원에 대한 관심과 정신병원에 대한 관심이 많아 많은 기대를 하고 실습을 했다. 정신병원하면 떠오르는 그런 편견들이 없지 않아 있어서 첫째 날은 환자분들게 다가가지 못하고 서성거렸고 말을 거는 것이 살짝 꺼려졌었다. 하지만 내가 먼저 말을 걸고 다가가고 대화를 하면 다음엔 환자분이 나에게 먼저 다가와 말을 거는 것이 굉장히 뿌듯했고, 병동에 있는 모든 환자분들과 이야기 할 수 있어서 좋았다. 2주라는 시간이 너무 빨리지나가서 아쉬웠고, 그리울 것 같다.
Ⅴ. 참고 문헌
김수진 등(2018),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
3) 지각상태
환각 없음
4) 사고의 상태 및 사고 내용
사고의 흐름: 묻는 말에 적절하게 대답을 하고 논리적임.
사고의 내용:
grandious delusion : “전두환 때 무전여행으로 대만, 홍콩, 방콩, 일본을 갔어요.”
“ 제가 기획실, 대기업 비서실, 무역, 63빌딩 서 딜러를 했어요.”
5) 인지 상태.
지남력(시간/장소/사람): (+지금이 무슨 계절입니까? 여름/+여기는 어디입니까? 성안드레아병원/+저는 누구입니까? 학생간호사)
지능(지적기능/주의집중력/계산능력): (+우리나라 수도는? 서울/+ 삼천리 강산 거꾸로 하면? 시간이 좀 지나고 산강리천삼 이라고 말함./- 100-7? 93-7? 머뭇거리며 대답하지 못함)
판단력: (+ 옷을 왜 빨아서 입습니까? 깨끗하게 하려고 빤다.)
추상적 사고: (+ 가는 말이 고와야 오는 말이 곱다는? 내가 말을 좋게 해야 남도 좋게 한다. )
기억력: (+ 사과, 배, 복숭아 이세가지를 암기하시오. 5분 후에 물어봤을 때 세가지 모두 답함.)
6) 병식
병식 없음. 공황장애로 인해 입원했다고 함. 조울증 같은 성격이라고 말하지만 자신이 양극성정동장애라는 걸 모르는 듯함.
강점
약점
병동의 규칙을 잘 지킴.
둘째 누나와 사이가 좋음.
일상생활이 가능함.
폭력의 위험성이 있음.
병식이 없음.
직업이 없음. 무직 상태.
사회생활에서 계속 사람들과 트러블이 있었음.
요법 참여율이 저조함.
11. 대상자 강점 및 취약점
우선순위
문제목록
우선순위 선정이유
1
무력감
현재 무기력한 것이 가장 불편하다고 함
2
지식부족
병식 없음.
3
영양불균형: 영양과다
입원 당시보다 체중이 7kg 증가함.
4
폭력위험성
과거 폭력 전과가 있음. 가족 폭행함.
12. 문제 목록 및 우선순위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희망이 생각나지 않아요.”
“보이기엔 괜찮지만 무기력해요.”
“병원생활이 매번 비슷해서 지루해요.”
요법에 거의 참여하지 않음
담배 필 때 말고 산책을 가지 않음.
주로 병실에서 천주교 책을 읽음.
간호진단
무기력한 생활방식과 관련된 무력감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무력감을 호소하지 않는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3회 이상 요법에 참여한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무력감에 대하여 사정한다.
무력감 사정 시 무력감 정도를 알 수 있어 적절한 중재가 가능하다.
면담에서 현재 감정에 대해 물어보고, 걱정거리나 스트레스가 있는지 개방형으로 질문해 무력감 정도를 사정하였다.
라포를 형성하여 대화상대가 되어준다.
대화상대가 되어주면 대화할 때만이라도 무력감에서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다.
먼저 다가가서 인사를 하며 잦은 접촉을 통해 라포를 형성하고, 병실에 있을 때 찾아가서 대화를 하였다,
신체활동을 격려한다.
신체활동을 하면 무력해진 환자의 생각과 태도를 감소시킨다.
병실에서 누워있을 시 탁구를 치자고 제안하고 탁구를 쳤고, 같이 산책을 나갔다.
요법에 참여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요법에 참여함으로써 지루하다고 했던 병원생활에 흥미를 가질 수 있고, 자신과 비슷한 질환을 가진 사람들과의 사회적 활동의 상호작용으로 무력감을 감소시킨다.
요법이 있을 때 요법에 대한 설명으로 흥미를 유발시키고, 같이 가자고 이야기하였다.
입원생활에서 하루 일과표, 목표와 계획을 가지고 수행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하루일과표를 작성하고 계획을 수행함으로써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무력감 해소에 도움이 된다.
하루일과표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하루에 한번 30분 이상 산책을 하도록 계획을 세우고, 완수 시 칭찬을 통해 성취감을 느낄 수 있게 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요법 중 자치회의, 활력체조, 독립생활기술훈련에 참여하였으며 요법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며 자발적으로 요법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격려가 필요하다.
Ⅲ. 간호과정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운동 따로 안하죠.”
몸무게가 73.2kg에서 80.4kg로 7kg가량 증가함,
BMI 지수 27.82로 비만.
배 나온 모습이 관찰됨.
pt 변OO님과 간식을 나눠먹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간호진단
잘못된 식습관과 관련된 영양과다
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체중이 감소된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일주일 이내에 야식과 간식을 끊는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식이 습관을 사정한다.
식사와 간식의 양을 사정하면 적절한 중재가 가능하다.
환자에게 식사량과 간식의 종류, 양에 대해 물어 사정하였다.
매일 체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체중을 측정하면 그에 맞는 중재가 가능하다,
매일 환자의 체중을 측정하였고, 노트에 기록하도록 하였다.
식사 계획을 의논한다.
식사 계획을 의논하고, 목표를 설정하고 수행함으로써 동기부여를 할 수 있다.
식사 계획에 대해 이야기 하였고, 목표로 간식을 자제하고 아침, 점심, 저녁 식사에만 집중하도록 하였다.
간식과 야식을 자제하도록 격려한다.
간식과 야식은 체중을 증가시킨다.
간식과 야식을 절제하도록 말하였고, 간식을 먹는 모습이 관찰될 시 간식을 자제하도록 즉시 이야기 하였다.
적절한 운동을 하도록 격려한다.
적절한 운동은 체중을 감량하는 데 도움을 준다.
잔디밭 걷기를 하루에 30분 이상하도록 격려하였다.
평가
평소에 간식을 드시는 모습이 자주 관찰되었지만 간호를 수행함으로써 간식 섭취하는 모습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하지만 밥 먹고 간식을 드시는 모습이 관찰되어서 간식 제한에 대한 지속적인 격려가 필요하다.
Ⅳ. 최종 평가(실습에 대한 평가)
실습 나오기 전부터 병원에 대한 관심과 정신병원에 대한 관심이 많아 많은 기대를 하고 실습을 했다. 정신병원하면 떠오르는 그런 편견들이 없지 않아 있어서 첫째 날은 환자분들게 다가가지 못하고 서성거렸고 말을 거는 것이 살짝 꺼려졌었다. 하지만 내가 먼저 말을 걸고 다가가고 대화를 하면 다음엔 환자분이 나에게 먼저 다가와 말을 거는 것이 굉장히 뿌듯했고, 병동에 있는 모든 환자분들과 이야기 할 수 있어서 좋았다. 2주라는 시간이 너무 빨리지나가서 아쉬웠고, 그리울 것 같다.
Ⅴ. 참고 문헌
김수진 등(2018), 정신건강간호학, 서울: 현문사
추천자료
정신분열병 케이스 (문헌고찰포함)
제 1형 양극성 장애 케이스 스터디
분열 정동형 장애(schizoaffective disorder)
양극성장애, 알콜중독
[정신간호학] 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호사정, 간호과정, 결론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인격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우...
bipolar disorder 조울증 정신간호학 case study 간호진단 간호과정 케이스스터디 수면장애
[A+] 정신간호학 양극성장애 CASE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