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환자사정
1. 일반적 사항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3. 신체사정
4. 노인사정도구: MMSE-K
5. 노인재활
6.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7. 약물치료
8. 타과협진의뢰(consult)
Ⅱ.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Pneumonia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3. 증상(Symptom)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Treatment)
6. 간호(Nursing)
Ⅲ. 간호과정
1. 간호문제 우선순위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1. 일반적 사항
2. NANDA의 분류체계에 의한 간호 사정 도구
3. 신체사정
4. 노인사정도구: MMSE-K
5. 노인재활
6. 진단적, 임상병리 검사 및 기타 자료
7. 약물치료
8. 타과협진의뢰(consult)
Ⅱ.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Pneumonia
1. 정의(Definition)
2. 원인(Etiology)
3. 증상(Symptom)
4. 진단적 검사(Diagnostic measure)
5. 치료(Treatment)
6. 간호(Nursing)
Ⅲ. 간호과정
1. 간호문제 우선순위
2. 간호과정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고 호흡보조근을 사용함
- 스스로 객담배출을 하지 못함
4/4
LLL에 폐렴성 경화 약간 악화됨
RUL과 RLL에 폐렴성 경화와 양쪽 흉수 관찰됨
- Chest X-ray
- ABGA
3/28
PH
▲7.469
PCO₂
36.4
PO₂
80.8
HCO₃
25.8
O₂ saturation
95.9
간호목표
대상자는 정상 호흡수와 형태를 유지한다.
(호흡 수와 SPO₂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대상자는 숨 쉴 때 그렁거리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V/S을 사정한다.
- 8시간마다 V/S check함
- RR 20~35회/분
- 4/9 BP 190/100 측정됨
4/4
4/5
4/6
4/7
4/8
4/9
4/10
98
98
98
98
99
91
95
2. SPO₂ monitering을 한다.
3. 호흡수와 깊이, 비정상 호흡음을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 분비물이 있는 호흡음(그렁거리는 소리)을 확인함
0:42
1:30
6:30
PH
7.308
7.428
7.511
PCO₂
65.7
47.3
39.4
PO₂
77.6
88.6
122.1
HCO₃
32.2
30.5
30.8
Total CO₂
34.2
32.0
32.0
- 4/9 dyspnea, wheezing sound, mental: drowsy됨
4. 처방된 산소를 제공한다.
- 비강캐뉼러로 O₂ 3L/min 제공하다가 4/9 optiflow O₂ 30L/min, FiO₂ 40%로 change 후 유지 중
5. 필요시마다 suction을 실시하며 객담양상을 확인한다.
- 한 시간 간격으로 suction실시함
- sputum은 thick한 양상을 보임
6.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 뮤테란주사 300mg IV qid 실시함
7. 통증을 사정하고 통증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abd pain NRS 5점 측정되어 PRN 트리돌 50mg IV 투여하고 NRS 2점으로 감소됨
8.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 섭자에 헥사메딘을 묻힌 거즈를 말아 oral care 시행함
9.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며 좌위 또는 반좌위를 실시한다.
- 반좌위를 취해주며 2시간마다 체위 변경함
10.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1. 활력징후는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 지표이다.(5)
2. SPO₂는 산소화를 사정하기 위함이다.(4)
3. 환기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평가하기 위함이다.(6)
4. 혈중 저산소증을 치료하기 위함이다.(5)
5.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5) 폐렴환자들은 흔히 연갈색이나 누런색의 분비물을 배출한다.(6)
6. 거담제는 객담을 분해하고 묽게 만들어 배출되기 쉽게 만들어준다.(6)
7. 통증은 호흡을 어렵게 한다.(4)
9. 호흡곤란이 심하면 누워있는 자세에서 불편감을 느끼므로 반좌위나 좌위를 취해준다.(4)
10. 가습과 가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관점막을 손상시키고, 분비물이 진하고 건조해져 기도를 막을 수 있다.(4)
간호평가
⇒ 대상자 호흡 시 그렁거리는 소리 나고 SPO₂ 95% 이상, 호흡수 20~35회/분 측정되어 정상 호흡수와 형태유지 못해 목표 달성하지 못하였고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함
#1 기관지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설사로 인한 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날짜
4/5
간호사정
S-data
“똥 똥 똥...똥”
“똥을 물고 있고 설사 계속해요”(간호조무사)
“설사 때문에 발진이 계속 있네”(간호조무사)
O-data
- 기저귀 착용 중
- Anus 부위 redness
- L-tube 16Fr 70cm으로 경관설사식(메디웰 RTH)300-200-200-
300 feeding
- feeding 후 배 아프다고 호소하고 계속 묽은 변 지림
- 설사 4~7회 300~400g정도 함
간호목표
대상자는 기저귀 발진 부위의 피부통합성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 기저귀발진이 사라진다.)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둔부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 지속적으로 anus 부위 관찰함
2. 기저귀, 옷을 헐렁하게 채우고 발진이 생긴 부위를 공기 중에 노출시켜 피부를 건조시킨다.
- 기저귀, 옷을 헐렁하게 채우고 가능하면 공기 중에 노출시켜 피부를 건조시킴
3. 기저귀를 자주 확인하여 대소변을 봤을 때 즉시 새것으로 교환해준다.
4. 대변을 봤을 때 따뜻한 물과 비누로 깨끗이 씻고 건조시킨다.
5. 처방된 지사제, 정장제를 투여한다.
- 비오플 250산 3PC, 스멕타 현탁액 250ml 4PC 투여함
6. 처방된 연고를 발라준다.
- 비파텐 연고 30g 자주 발라줌
2. 초기 발적 상태일 때 피부를 공기 중에 노출하여 건조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7)
3. 대소변으로 인해 젖은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피부의 투과성이 증가되며 자극과 마찰이 커져 찰과상이 발생하며 세균의 증가를 초래하여 피부를 짓무르게 만들고 상하게 한다.(7)
4. 반복적인 설사로 항문 주위와 엉덩이의 피부가 장 내용물에 의해 자극을 받을 수 있다.(6)
5. 지사제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물이다.(6)
6. 비파텐 연고는 기저귀발진에 효과적이다.(1)
간호평가
4/8 anus 부위 redness없고 기저귀발진 사라짐, 계속 설사함
⇒ 기저귀발진은 사라져서 목표는 달성했지만 피부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찰 필요함
#2 설사로 인한 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Ⅳ. 참고문헌
1. 약학정보원
2. 윤은자 외(2018), 노인간호학, 수문사, p. 151~152, 221~230
3. 김조자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 432~515
4. 조경숙 외(2016),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수문사, p. 481~529, 549~555
5. 송경애 외(2016),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p. 53, 69, 380~383, 404~407
6. 송경애 외(2016), 최신 기본간호학 Ⅱ, 수분사, p. 293~319, 395
7. 박충선 외(20170, 건강회복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 퍼시픽북스, p. 597~599
- 스스로 객담배출을 하지 못함
4/4
LLL에 폐렴성 경화 약간 악화됨
RUL과 RLL에 폐렴성 경화와 양쪽 흉수 관찰됨
- Chest X-ray
- ABGA
3/28
PH
▲7.469
PCO₂
36.4
PO₂
80.8
HCO₃
25.8
O₂ saturation
95.9
간호목표
대상자는 정상 호흡수와 형태를 유지한다.
(호흡 수와 SPO₂ 정상범위를 유지한다.)
(대상자는 숨 쉴 때 그렁거리는 소리가 들리지 않는다.)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1. V/S을 사정한다.
- 8시간마다 V/S check함
- RR 20~35회/분
- 4/9 BP 190/100 측정됨
4/4
4/5
4/6
4/7
4/8
4/9
4/10
98
98
98
98
99
91
95
2. SPO₂ monitering을 한다.
3. 호흡수와 깊이, 비정상 호흡음을 규칙적으로 사정한다.
- 분비물이 있는 호흡음(그렁거리는 소리)을 확인함
0:42
1:30
6:30
PH
7.308
7.428
7.511
PCO₂
65.7
47.3
39.4
PO₂
77.6
88.6
122.1
HCO₃
32.2
30.5
30.8
Total CO₂
34.2
32.0
32.0
- 4/9 dyspnea, wheezing sound, mental: drowsy됨
4. 처방된 산소를 제공한다.
- 비강캐뉼러로 O₂ 3L/min 제공하다가 4/9 optiflow O₂ 30L/min, FiO₂ 40%로 change 후 유지 중
5. 필요시마다 suction을 실시하며 객담양상을 확인한다.
- 한 시간 간격으로 suction실시함
- sputum은 thick한 양상을 보임
6. 처방에 따라 진해거담제를 투여한다.
- 뮤테란주사 300mg IV qid 실시함
7. 통증을 사정하고 통증 시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 abd pain NRS 5점 측정되어 PRN 트리돌 50mg IV 투여하고 NRS 2점으로 감소됨
8. 구강간호를 시행한다.
- 섭자에 헥사메딘을 묻힌 거즈를 말아 oral care 시행함
9.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하며 좌위 또는 반좌위를 실시한다.
- 반좌위를 취해주며 2시간마다 체위 변경함
10.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1. 활력징후는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 지표이다.(5)
2. SPO₂는 산소화를 사정하기 위함이다.(4)
3. 환기가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평가하기 위함이다.(6)
4. 혈중 저산소증을 치료하기 위함이다.(5)
5. 분비물을 제거하여 기도의 개방성을 유지하고 가스교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5) 폐렴환자들은 흔히 연갈색이나 누런색의 분비물을 배출한다.(6)
6. 거담제는 객담을 분해하고 묽게 만들어 배출되기 쉽게 만들어준다.(6)
7. 통증은 호흡을 어렵게 한다.(4)
9. 호흡곤란이 심하면 누워있는 자세에서 불편감을 느끼므로 반좌위나 좌위를 취해준다.(4)
10. 가습과 가온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기관점막을 손상시키고, 분비물이 진하고 건조해져 기도를 막을 수 있다.(4)
간호평가
⇒ 대상자 호흡 시 그렁거리는 소리 나고 SPO₂ 95% 이상, 호흡수 20~35회/분 측정되어 정상 호흡수와 형태유지 못해 목표 달성하지 못하였고 지속적인 간호가 필요함
#1 기관지 내 분비물 증가와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간호진단
설사로 인한 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손상
날짜
4/5
간호사정
S-data
“똥 똥 똥...똥”
“똥을 물고 있고 설사 계속해요”(간호조무사)
“설사 때문에 발진이 계속 있네”(간호조무사)
O-data
- 기저귀 착용 중
- Anus 부위 redness
- L-tube 16Fr 70cm으로 경관설사식(메디웰 RTH)300-200-200-
300 feeding
- feeding 후 배 아프다고 호소하고 계속 묽은 변 지림
- 설사 4~7회 300~400g정도 함
간호목표
대상자는 기저귀 발진 부위의 피부통합성을 유지한다.
(대상자는 5일 이내 기저귀발진이 사라진다.)
간호계획 및 수행
이론적 근거
1. 대상자의 둔부 상태를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 지속적으로 anus 부위 관찰함
2. 기저귀, 옷을 헐렁하게 채우고 발진이 생긴 부위를 공기 중에 노출시켜 피부를 건조시킨다.
- 기저귀, 옷을 헐렁하게 채우고 가능하면 공기 중에 노출시켜 피부를 건조시킴
3. 기저귀를 자주 확인하여 대소변을 봤을 때 즉시 새것으로 교환해준다.
4. 대변을 봤을 때 따뜻한 물과 비누로 깨끗이 씻고 건조시킨다.
5. 처방된 지사제, 정장제를 투여한다.
- 비오플 250산 3PC, 스멕타 현탁액 250ml 4PC 투여함
6. 처방된 연고를 발라준다.
- 비파텐 연고 30g 자주 발라줌
2. 초기 발적 상태일 때 피부를 공기 중에 노출하여 건조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좋다.(7)
3. 대소변으로 인해 젖은 기저귀를 장시간 착용하게 되면 피부의 투과성이 증가되며 자극과 마찰이 커져 찰과상이 발생하며 세균의 증가를 초래하여 피부를 짓무르게 만들고 상하게 한다.(7)
4. 반복적인 설사로 항문 주위와 엉덩이의 피부가 장 내용물에 의해 자극을 받을 수 있다.(6)
5. 지사제는 설사를 멈추게 하는 약물이다.(6)
6. 비파텐 연고는 기저귀발진에 효과적이다.(1)
간호평가
4/8 anus 부위 redness없고 기저귀발진 사라짐, 계속 설사함
⇒ 기저귀발진은 사라져서 목표는 달성했지만 피부통합성을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관찰 필요함
#2 설사로 인한 기저귀발진과 관련된 피부통합성장애
Ⅳ. 참고문헌
1. 약학정보원
2. 윤은자 외(2018), 노인간호학, 수문사, p. 151~152, 221~230
3. 김조자 외(2017), 비판적 사고를 적용한 간호과정, 수문사, p. 432~515
4. 조경숙 외(2016), 제 6판 성인간호학 상권, 수문사, p. 481~529, 549~555
5. 송경애 외(2016), 기본간호중재와 술기, 수문사, p. 53, 69, 380~383, 404~407
6. 송경애 외(2016), 최신 기본간호학 Ⅱ, 수분사, p. 293~319, 395
7. 박충선 외(20170, 건강회복을 위한 아동건강간호학, 퍼시픽북스, p. 597~599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간호학 뇌내출혈 case study
파킨슨 케이스 스터디 (Parkinson`s disease, CAP(Community acquired pneumonia))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노인간호학 - case study ///간호과정 (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중재 평가 등) 노인간호
당뇨 케이스 스터디, 당뇨병 케이스 스터디, 당뇨 case study, 당뇨 case, 당뇨 참고문헌, 당...
폐렴 Aspiration pneumonia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Case study-pnuemonia (폐렴, 케이스, 간호과정, 사례연구)
[노인 간호학] 알츠하이머 (Alzheimer's disease) case study
성인간호학 ICU case study, stomach cancer 간호과정2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