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문헌고찰
Ⅱ간호과정
Ⅲ참고문헌
Ⅱ간호과정
Ⅲ참고문헌
본문내용
(퇴원시)
11:00
114/76-71-18-36.8
110/60-82-16-37.3도의 정상범위의 활력징후에 도달하였다.
구분
내용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모유수유가 잘 되고 있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모유수유하길 원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겠어요”
-
객관적 자료
-출산경험 없음, para 0-0-0-0
-제대로 젖을 물리는 방법, 수유 자세, 모유수유 철칙, 수유 중 생길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책 등을 미리 알아둬야 출산 후 제대로 된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간호진단
모유수유에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성공적인 모유수유 증상을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이내에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말 할 수 있다.
간호 계획
수행
합리적 근거
1.모유 수유 방법 및 신체생리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진단적>
1.
1-1)모유 수유 방법 및 신체 생리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모유수유 방법 및 신체 생리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였다.
1.지식정도를 사정하여 대상자에게 교육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2.가능한 빠른 시기에 젖을 빨도록 하고 영아에게 자주 젖을 빨리도록 교육한다.
<교육적>
2.
2-1)가능한 빠른 시기에 젖을 빨도록 하고 영아에게 자주 젖을 빨리도록 교육하였다.
-“아기와 어머니의 빠른 접촉은 애착관계형성에 도움을 주므로 가능한 빠른 시기에 젖으 빨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빨리는 것은 유방울혈을 예방하며, 모유가 잘 생성되도록 돕습니다.”
2.아기와 어머니의 빠른 접촉은 애착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자주 빨리는 것은 유관을 열리게 하고, 유방울혈을 예방하며, 모유가 잘 생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3.젖물리기에 대해 교육한다..
3.
3-1)손을 깨끗이 씻고, 엄지손가락을 위로 하고 네 손가락을 아래로 해서 손 모양이 ‘C’자가 되도록 유방을 잡도록 하였다.
3-2)젖 빨기 반사를 유도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엄마의 젖꼭지 끝으로 아기의 입술에 가볍게 스쳐 아기가 입을 벌리도록 자극하도록 해, 아기가 입을 크게 벌리면 아기를 엄마 쪽으로 당겨 젖을 물립니다”
-“포유반사를 유도하기 위해 혀의 중간 뒷부분을 자극해야 합니다.”
3-3)아기가 입안 가득히 젖을 물고 있도록 자세를 유지시키고, 필요 시 담요, 베개, 쿠션으로 받쳐주도록 설명하였다.
3-4)수유를 마칠 때 영아의 입에 깨끗한 산모의 손가락을 넣어, 영아가 입을 벌릴 때 유두를 빼도록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올바른 젖 물리는 방법과 영아의 수유를 위해 자극하는 등의 기술을 말하고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3.
3-2)영아가 입을 크게 벌리게 유도하여 혀 위에 유두와 유륜을 넣어 유두와 유륜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4)갑작스러운 행동은 영아의 놀람반사를 일으켜 유두를 깨물게 한다.
4.산모에게 수유 후에 유방조직을 만져서 적절히 비워 졌는지 확인하도록 교육한다.
4.
4-1)산모에게 수유한 후에 유방조직을 만져서 적절히 비워졌는지 확인하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수유 후에 유방이 적적히 비워졌는지 확인하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4.충분한 수유로 영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5.영아의 평균 모유요구량을 설명한다.
5.
5-1)영아는 평균 2~3시간 간격으로, 많이 부풀은 쪽의 젖을 먼저 먹이고 10분 정도 지나 다른 쪽의 젖을 먹임을 설명하였다.
5-2)한쪽 유방에 10~15분 정도 요구함을 산모에게 설명하였다.
5-3) 양쪽 젖을 번갈아 물려야 지속적으로 젖이 분비되며 젖의 양도 고르게 유지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신생아에 대한 정보를 이해했다고 말하였다.
5.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정상 신생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와 영아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6.한쪽 유방의 수유가 끝나 다른 쪽 유방으로 바꿀 때 트림을 시키도록 한다.
6.
6-1)한쪽 유방의 수유가 끝나 다른 쪽 유방으로 바꿀 때 트림을 시키도록 설명하였다.
6-2)전형적인 모유수유아는 인공수유아보다 공기를 많이 삼키지 않으므로 트림을 많이 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언제 트림을 시켜야 하는지 알았다고 했고, 인공수유아보다 트림을 적게 할 수 있음을 이해했다고 말하였다.
6.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정상 신생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와 영아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7.효과적인 수유가 되는 증상을 산모에게 교육한다.
7.
7-1)단숨에 10번에서 20번 빨고, 규칙적으로 삼키며, 유즙사출이 잘 되고, 유방이 부드러워지며 영아가 포만감을 느끼는 것이 효과적인 수유가 되는 증상임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성공적인 수유의 증상을 이해했다고 말하였다.
7.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정상 신생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와 영아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성공적인 모유수유 증상을 말할 수 있다.-달성
-산모는 수유 후 비워진 유방이 만져진다고 말하였다.
-산모는 아기가 단숨에 13번 정도 빨고, 규칙적으로 삼키며, 유즙사출이 잘된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이내에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말 할 수 있다.-달성
-산모는 1일 이내에 모유수유 시작시 젖물리는 방법, 영아의 수유를 위해 자극하는 등의 적절한 기술을 말하고 수행할 수 있었다.
-산모는 교대로 유방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산모는 교육한 수유의 기간과 간격을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3.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Ⅲ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 1,2』 , 수문사
-모성간호학 간호진단의 적용과 실제, 신혜숙외, 현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원종순외,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JUDITH L. MYERS, 현문사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11:00
114/76-71-18-36.8
110/60-82-16-37.3도의 정상범위의 활력징후에 도달하였다.
구분
내용
합리적 근거
주관적 자료
“모유수유가 잘 되고 있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모유수유하길 원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는지 방법을 모르겠어요”
-
객관적 자료
-출산경험 없음, para 0-0-0-0
-제대로 젖을 물리는 방법, 수유 자세, 모유수유 철칙, 수유 중 생길 수 있는 문제점과 해결책 등을 미리 알아둬야 출산 후 제대로 된 모유수유를 할 수 있다.
간호진단
모유수유에 관련된 지식부족
간호목표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성공적인 모유수유 증상을 말할 수 있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이내에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말 할 수 있다.
간호 계획
수행
합리적 근거
1.모유 수유 방법 및 신체생리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한다.
<진단적>
1.
1-1)모유 수유 방법 및 신체 생리에 대한 대상자의 지식 정도를 사정하였다.
-대상자는 모유수유 방법 및 신체 생리에 대한 지식이 전무하였다.
1.지식정도를 사정하여 대상자에게 교육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다.
2.가능한 빠른 시기에 젖을 빨도록 하고 영아에게 자주 젖을 빨리도록 교육한다.
<교육적>
2.
2-1)가능한 빠른 시기에 젖을 빨도록 하고 영아에게 자주 젖을 빨리도록 교육하였다.
-“아기와 어머니의 빠른 접촉은 애착관계형성에 도움을 주므로 가능한 빠른 시기에 젖으 빨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자주 빨리는 것은 유방울혈을 예방하며, 모유가 잘 생성되도록 돕습니다.”
2.아기와 어머니의 빠른 접촉은 애착관계 형성에 도움을 주고.
자주 빨리는 것은 유관을 열리게 하고, 유방울혈을 예방하며, 모유가 잘 생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3.젖물리기에 대해 교육한다..
3.
3-1)손을 깨끗이 씻고, 엄지손가락을 위로 하고 네 손가락을 아래로 해서 손 모양이 ‘C’자가 되도록 유방을 잡도록 하였다.
3-2)젖 빨기 반사를 유도하는 방법을 교육하였다.
-“엄마의 젖꼭지 끝으로 아기의 입술에 가볍게 스쳐 아기가 입을 벌리도록 자극하도록 해, 아기가 입을 크게 벌리면 아기를 엄마 쪽으로 당겨 젖을 물립니다”
-“포유반사를 유도하기 위해 혀의 중간 뒷부분을 자극해야 합니다.”
3-3)아기가 입안 가득히 젖을 물고 있도록 자세를 유지시키고, 필요 시 담요, 베개, 쿠션으로 받쳐주도록 설명하였다.
3-4)수유를 마칠 때 영아의 입에 깨끗한 산모의 손가락을 넣어, 영아가 입을 벌릴 때 유두를 빼도록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올바른 젖 물리는 방법과 영아의 수유를 위해 자극하는 등의 기술을 말하고 수행하는 모습을 보였다.
3.
3-2)영아가 입을 크게 벌리게 유도하여 혀 위에 유두와 유륜을 넣어 유두와 유륜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함이다.
3-4)갑작스러운 행동은 영아의 놀람반사를 일으켜 유두를 깨물게 한다.
4.산모에게 수유 후에 유방조직을 만져서 적절히 비워 졌는지 확인하도록 교육한다.
4.
4-1)산모에게 수유한 후에 유방조직을 만져서 적절히 비워졌는지 확인하도록 교육하였다.
-대상자는 수유 후에 유방이 적적히 비워졌는지 확인하는 모습이 관찰 되었다.
4.충분한 수유로 영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함이다.
5.영아의 평균 모유요구량을 설명한다.
5.
5-1)영아는 평균 2~3시간 간격으로, 많이 부풀은 쪽의 젖을 먼저 먹이고 10분 정도 지나 다른 쪽의 젖을 먹임을 설명하였다.
5-2)한쪽 유방에 10~15분 정도 요구함을 산모에게 설명하였다.
5-3) 양쪽 젖을 번갈아 물려야 지속적으로 젖이 분비되며 젖의 양도 고르게 유지됨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신생아에 대한 정보를 이해했다고 말하였다.
5.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정상 신생아에 대한 정보를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와 영아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6.한쪽 유방의 수유가 끝나 다른 쪽 유방으로 바꿀 때 트림을 시키도록 한다.
6.
6-1)한쪽 유방의 수유가 끝나 다른 쪽 유방으로 바꿀 때 트림을 시키도록 설명하였다.
6-2)전형적인 모유수유아는 인공수유아보다 공기를 많이 삼키지 않으므로 트림을 많이 하지 않음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언제 트림을 시켜야 하는지 알았다고 했고, 인공수유아보다 트림을 적게 할 수 있음을 이해했다고 말하였다.
6.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정상 신생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와 영아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7.효과적인 수유가 되는 증상을 산모에게 교육한다.
7.
7-1)단숨에 10번에서 20번 빨고, 규칙적으로 삼키며, 유즙사출이 잘 되고, 유방이 부드러워지며 영아가 포만감을 느끼는 것이 효과적인 수유가 되는 증상임을 설명하였다.
-대상자는 성공적인 수유의 증상을 이해했다고 말하였다.
7.모유수유 동안 예상되는 정상 신생아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통해 원활한 모유수유와 영아를 간호하는데 자신감을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평가
장기목표: 대상자는 퇴원 시까지 성공적인 모유수유 증상을 말할 수 있다.-달성
-산모는 수유 후 비워진 유방이 만져진다고 말하였다.
-산모는 아기가 단숨에 13번 정도 빨고, 규칙적으로 삼키며, 유즙사출이 잘된다고 말하였다.
단기목표: 대상자는 24시간이내에 모유수유 방법에 대해 이해하고 말 할 수 있다.-달성
-산모는 1일 이내에 모유수유 시작시 젖물리는 방법, 영아의 수유를 위해 자극하는 등의 적절한 기술을 말하고 수행할 수 있었다.
-산모는 교대로 유방을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산모는 교육한 수유의 기간과 간격을 말로 표현할 수 있었다.
3. 모유수유와 관련된 지식부족
Ⅲ 참고문헌
-여성건강간호교과연구회 편 『여성건강간호학 1,2』 , 수문사
-모성간호학 간호진단의 적용과 실제, 신혜숙외, 현문사
-비판적사고와 간호과정, 원종순외, 현문사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MEG GULANICK, JUDITH L. MYERS, 현문사
-간호학대사전, 1996. 3. 1., 대한간호학회
-드러그인포 http://www.druginfo.co.kr/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