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훌륭한 언어 교사의 특징 목록 10가지
가. 모국어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갖춘다.
나. 목표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춘다.
다. 대조언어학적인 지식을 갖춘다.
라. 교수모형과 교수기법에 대해 깊게 이해한다.
마. 목표어를 가르쳐도 될 만큼의 자격을 갖춘다.
바. 학습자에 대해 인내심을 갖는다.
사. 학습자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아. 초심을 잃지 않는다.
자.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다.
차. 기초 체력과 지구력을 갖춘다.
2. 성공적인 언어 교사가 되기 위한 나의 장점과 단점
3. 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
Ⅲ. 결론
Ⅱ. 본론
1. 훌륭한 언어 교사의 특징 목록 10가지
가. 모국어에 대한 체계적 지식을 갖춘다.
나. 목표어에 대한 전문적 지식을 갖춘다.
다. 대조언어학적인 지식을 갖춘다.
라. 교수모형과 교수기법에 대해 깊게 이해한다.
마. 목표어를 가르쳐도 될 만큼의 자격을 갖춘다.
바. 학습자에 대해 인내심을 갖는다.
사. 학습자의 문화적 정체성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아. 초심을 잃지 않는다.
자. 학습자의 전인적 성장을 돕는다.
차. 기초 체력과 지구력을 갖춘다.
2. 성공적인 언어 교사가 되기 위한 나의 장점과 단점
3. 나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법
Ⅲ. 결론
본문내용
라고 해봐야 영어와 일본어 정도가 전부였는데 해당 교과목을 수강하며 구체적으로 대조언어학이 어떤 학문인지 알게 되었다. 사실 대조언어학 분야의 지식을 갖추는 것은 학습자의 모국어를 아는 데서 출발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라 생각한다. 그러나 아직 한국어 교사로 교단에 선 게 아니기 때문에 학습자의 모국어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대조언어학 공부는 물론이고 세계의 언어를 다룬 책을 찾아 읽으며 스스로 탐구하고 대조연구를 해보는 경험을 쌓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실제로 작년에는 ‘세계 언어의 이모저모’라는 책을 통해 부족하나마 대조언어학적 지식을 공부한 적이 있다. 앞으로도 틈틈이 관련 도서나 논문을 찾아보며 부족한 지식을 보완할 계획이다.
마지막 항목은 ‘차. 기초 체력과 지구력을 갖춘다.’이다. 요즘 나는 체력을 기르기 위해 꾸준히 걷거나 요가 등의 운동을 하고 있다. 공부로 바빠도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다고 생각해 일주일에 두세 번씩 진행하고 있다. 또 건강한 식단을 챙기는 식이요법도 병행하고 있다. 앞으로 교단에 설 때까지, 또 교사로 지내는 기간에도 놓지 않을 습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훌륭한 언어 교사의 특징 10가지를 제시하고 이에 관한 나의 장점과 단점,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까지 다루었다. 평소에 교사가 갖추어야 할 덕목에 대해 많이 생각해왔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 글로 정리해보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유익했다. 또 과제에 참고하기 위해 읽은 ‘프레이리의 교사론’ 덕분에 이상적인 교사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철학적인 사유로까지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진짜 교육 현장에 서는 한국어 교사가 될 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고 먼 훗날의 이야기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교사관을 정리하며 다시금 늘 고민하고 발전하며, 학습자 입장을 헤아리는 교사가 되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아직도 나는 훌륭한 언어 교사로서의 자질이 부족한 사람이지만, 이는 곧 그만큼 발전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사람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전문성을 갖추고 성장하려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자긍심을 갖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 설 수 있으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파울로 프레이리(2000),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참고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123&efYd=20190101#0000)
마지막 항목은 ‘차. 기초 체력과 지구력을 갖춘다.’이다. 요즘 나는 체력을 기르기 위해 꾸준히 걷거나 요가 등의 운동을 하고 있다. 공부로 바빠도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다고 생각해 일주일에 두세 번씩 진행하고 있다. 또 건강한 식단을 챙기는 식이요법도 병행하고 있다. 앞으로 교단에 설 때까지, 또 교사로 지내는 기간에도 놓지 않을 습관이 되도록 노력하고 있다.
Ⅲ. 결론
지금까지 훌륭한 언어 교사의 특징 10가지를 제시하고 이에 관한 나의 장점과 단점,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방안까지 다루었다. 평소에 교사가 갖추어야 할 덕목에 대해 많이 생각해왔는데 이번 과제를 통해 글로 정리해보는 기회를 가지게 되어 유익했다. 또 과제에 참고하기 위해 읽은 ‘프레이리의 교사론’ 덕분에 이상적인 교사상이 무엇인지에 대한 철학적인 사유로까지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진짜 교육 현장에 서는 한국어 교사가 될 때까지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알 수 없고 먼 훗날의 이야기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렇게 교사관을 정리하며 다시금 늘 고민하고 발전하며, 학습자 입장을 헤아리는 교사가 되겠다고 다짐하게 되었다. 아직도 나는 훌륭한 언어 교사로서의 자질이 부족한 사람이지만, 이는 곧 그만큼 발전할 가능성이 무궁무진한 사람이라는 뜻이기도 하다. 따라서 부정적으로만 바라보지 않고 전문성을 갖추고 성장하려 노력한다면, 언젠가는 자긍심을 갖고 한국어 교육 현장에 설 수 있으리라 믿는다.
<참고문헌>
파울로 프레이리(2000), 프레이리의 교사론, 아침이슬.
<참고사이트>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lsInfoP.do?lsiSeq=206123&efYd=20190101#0000)
추천자료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 연구
(영어교수법E)학습자의 사회적 요인(Sociocultural factors)의 정의를 내린 후, 자신의 영어 ...
문화교육에 대하여
영어과(영어수업, 영어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영어과(영어수업, 영어교육)의 동향과 내용 체...
[한국어교육론 공통] 1. 한국어의 초분절 음소 종류를 구분하고 각각의 특성에 대해 설명한 ...
외국어 습득론 ) 학습자 자신이 생각하는 ‘훌륭한 언어 교사’의 특징을 나타내는 목록을 10개...
외국어 습득론)자신이 생각하는 ‘훌륭한 언어 교사’의 특징을 나타내는 목록을 10개 정도 만...
읽기 텍스트 유형을 2개 이상 선정하여 그 유형에 해당하는 텍스트 예시 1개씩을 제시하고 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