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실험목적
2.이론
3.실험장치 및 시약
4.실험방법
5.주의사항
6.결과
7.이 실험에 대한 고찰
2.이론
3.실험장치 및 시약
4.실험방법
5.주의사항
6.결과
7.이 실험에 대한 고찰
본문내용
) 킬레이트 생성반응이 중지되거나 또는 역행하게 된다. 안정도가 높은 금속이온은 다소 약한산성에서도 적정할 수 있지만 안정도가 낮은 금속이온은 pH를 10 정도로 유지해 줘야 한다. 또한 금속이온 지시약도 pH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pH를 조정해 줘야한다. 이러한 이유로 완충용액을 사용한다.
따라서 완충용액을 사용하지 않으면 pH가 낮아져 EDTA 킬레이트가 분해되고 금속이온이 EBT와 결합하여 용액이 적색, 적자색을 띤다. EDTA 이온이 금속이온과 1대1로 결합하는 것을 이용해서 Ca표준용액의 농돌를 구하는데 EDTA킬레이트가 분해되면 이를 이용할 수 없어서 용액의 농도를 알지 못한다.
7. 이 실험에 대한 고찰
실험 1 ,2 ,3에서 소모된 EDTA 양이 각각 다른데 이는 정확한 종말점을 찾지 못해서 인 것 같다. EDTA 용액을 Ca 표준용액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Ca표준용액의 색이 청색으로 변하는 지점에서 1-2분 간 흔들면서 색이 유지되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은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한다. 또, 당량점은 이론적인 값이고 이와 달리 종말점은 육안으로 관찰한 값으로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사람의 눈으로 적색에서 청색으로 변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부피 플라스크에서 용액을 만들어야 하는데 비커에서 용액을 녹인 다음 플라스크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CaCO3 가 완전히 녹아 있는지 알 수가 없으며, 또 비커의 표면에 용액이 완전히 부피 플라스크로 옮겨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이유로 실험결과가 세 번 모두
다르게 나온 것 같다.
따라서 완충용액을 사용하지 않으면 pH가 낮아져 EDTA 킬레이트가 분해되고 금속이온이 EBT와 결합하여 용액이 적색, 적자색을 띤다. EDTA 이온이 금속이온과 1대1로 결합하는 것을 이용해서 Ca표준용액의 농돌를 구하는데 EDTA킬레이트가 분해되면 이를 이용할 수 없어서 용액의 농도를 알지 못한다.
7. 이 실험에 대한 고찰
실험 1 ,2 ,3에서 소모된 EDTA 양이 각각 다른데 이는 정확한 종말점을 찾지 못해서 인 것 같다. EDTA 용액을 Ca 표준용액에 서서히 첨가하면서 Ca표준용액의 색이 청색으로 변하는 지점에서 1-2분 간 흔들면서 색이 유지되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그렇게 하지 않은것도 하나의
이유라고 생각한다. 또, 당량점은 이론적인 값이고 이와 달리 종말점은 육안으로 관찰한 값으로 사람마다 다를 수 있으며, 사람의 눈으로 적색에서 청색으로 변하는 시점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없다는 것도 하나의 이유로 들 수 있다.
그리고 부피 플라스크에서 용액을 만들어야 하는데 비커에서 용액을 녹인 다음 플라스크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CaCO3 가 완전히 녹아 있는지 알 수가 없으며, 또 비커의 표면에 용액이 완전히 부피 플라스크로 옮겨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이유로 실험결과가 세 번 모두
다르게 나온 것 같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