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종류
2.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내용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종류
2. 방과후 아동지도 프로그램의 내용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은 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의 기본적인 언어능력들을 구사해낼 수 있다.
6) 요리를 통한 과학활동 프로그램
과학활동은 아동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해 의문을 느끼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과정이다. 요리는 다양한 재료를 열에 가하거나 물리적·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과학활동이다. 아동은 그러한 변화를 즉각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개념을 익히는데 좋은 기회를 접하게 된다.
또한 요리활동은 아동이 보고, 듣고, 느끼고, 맛보고, 냄새를 맡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체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더나가 아동이 직접 자신의 먹거리를 만들어보는 체험을 통해 자신을 위해 매일 요리해주는 부모님의 고마움과 지역사회의 먹거리 생산자와 유통자의 수고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7) 교구를 활용한 수학활동 프로그램
교구를 활용한 수학활동은 수학에 흥미를 갖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하나의 방법이다. 수학 활동의 주요 개념은 아동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교사는 아동 스스로 사고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피아제는 초등학교 아동의 나이가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시기로서 현 상황에서 구체적 대상에 대한 한정된 논리가 가능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특정한 조작활동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기의 교구를 활용한 의미 있고 즐거운 수학활동의 경험은 앞으로 경험하게 될 청소년기의 비교적 어려운 수학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증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
Ⅲ. 결론
방과후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교와 부모의 보호가 미치치 못하는 시간대에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부모들이 선호하고 있는 방과후 에듀케어교실이다. 학생수가 많은 학교뿐만 아니라 적은 학교 또한 일반적으로 1학년, 또는 2학년까지 아이들을 돌봐주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 또한 이용함에 쉽지가 않다. 운영되는 교실과 인력의 한계로 인하면 적정인원 이상일 경우는 추첨을 하는 등 많은 아이들은 학원으로 내몰리는 것이 현실이다.
맞벌이 부모는 늘어나고 있어 위와 같은 보육시설은 필요하지만 막상 이용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나 또한 아이가 1학년일 때 추첨으로 겨우 1년을 보냈지만 2학년을 위한 방과후 에듀케어교실은 운영조차 되지 않아 학원을 다녀야 했고 아무도 없는 집에서 혼자 있어야 했다. 현실적으로 10살까지는 이러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원을 다니면서 늘어나는 교육비도 문제지만 학원으로의 이동으로 아이들은 항상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모의 걱정은 또한 늘어난다. 고학년이 되면 학교수업이 늦게 끝나고 학과학원, 예체능학원등의 사교육은 현실적으로 필요하지만 3학년 이하는 아이들은 학교의 보호에 있을수 있도록 공적인 서비스로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현대사회의 과도한 경쟁적 분위기 속에서 아동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적응하는 힘을 길러주며 아동 스스로 진로와 미래에 대한 사고를 기르는데 방과후 아동지도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방과후 아동지도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보완적 역할을 담당하는 방과후 아동지도가 아동에게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균형을 꾀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두범 외, 방과후 아동지도, 공동체, 2009
서영숙 외, 방과후 아동지도, 양서원, 2014
최순옥 외, 방과후 아동지도, 태영출판사, 2014
이소희, 방과후 아동지도, 대왕사, 2004
이소희, 아동복지, 정민사, 2019
6) 요리를 통한 과학활동 프로그램
과학활동은 아동이 살고 있는 세계에 대해 의문을 느끼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끊임없이 탐구하고 조작해보는 과정이다. 요리는 다양한 재료를 열에 가하거나 물리적·화학적인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 과학활동이다. 아동은 그러한 변화를 즉각적으로 그리고 직접적으로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과학적인 개념을 익히는데 좋은 기회를 접하게 된다.
또한 요리활동은 아동이 보고, 듣고, 느끼고, 맛보고, 냄새를 맡는 구체적이고 감각적인 체험을 통해 이루어지는 활동이다. 더나가 아동이 직접 자신의 먹거리를 만들어보는 체험을 통해 자신을 위해 매일 요리해주는 부모님의 고마움과 지역사회의 먹거리 생산자와 유통자의 수고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다.
7) 교구를 활용한 수학활동 프로그램
교구를 활용한 수학활동은 수학에 흥미를 갖고 자발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하나의 방법이다. 수학 활동의 주요 개념은 아동 스스로 사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교사는 아동 스스로 사고하고 발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조력자의 역할을 한다. 피아제는 초등학교 아동의 나이가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시기로서 현 상황에서 구체적 대상에 대한 한정된 논리가 가능하고 직접적인 경험을 통한 특정한 조작활동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또한 아동기의 교구를 활용한 의미 있고 즐거운 수학활동의 경험은 앞으로 경험하게 될 청소년기의 비교적 어려운 수학 활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증진에 밑거름이 될 수 있다.
Ⅲ. 결론
방과후 프로그램의 목적은 학교와 부모의 보호가 미치치 못하는 시간대에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함이다. 그중에서도 가장 부모들이 선호하고 있는 방과후 에듀케어교실이다. 학생수가 많은 학교뿐만 아니라 적은 학교 또한 일반적으로 1학년, 또는 2학년까지 아이들을 돌봐주는 것이 현실이다. 이것 또한 이용함에 쉽지가 않다. 운영되는 교실과 인력의 한계로 인하면 적정인원 이상일 경우는 추첨을 하는 등 많은 아이들은 학원으로 내몰리는 것이 현실이다.
맞벌이 부모는 늘어나고 있어 위와 같은 보육시설은 필요하지만 막상 이용한다는 것은 쉽지가 않다. 나 또한 아이가 1학년일 때 추첨으로 겨우 1년을 보냈지만 2학년을 위한 방과후 에듀케어교실은 운영조차 되지 않아 학원을 다녀야 했고 아무도 없는 집에서 혼자 있어야 했다. 현실적으로 10살까지는 이러한 방과후 프로그램을 이용할 수 있도록 운영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학원을 다니면서 늘어나는 교육비도 문제지만 학원으로의 이동으로 아이들은 항상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어 있으므로 부모의 걱정은 또한 늘어난다. 고학년이 되면 학교수업이 늦게 끝나고 학과학원, 예체능학원등의 사교육은 현실적으로 필요하지만 3학년 이하는 아이들은 학교의 보호에 있을수 있도록 공적인 서비스로서 제공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오늘날 현대사회의 과도한 경쟁적 분위기 속에서 아동들이 사회구성원으로서 적응하는 힘을 길러주며 아동 스스로 진로와 미래에 대한 사고를 기르는데 방과후 아동지도의 역할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방과후 아동지도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의 보완적 역할을 담당하는 방과후 아동지도가 아동에게 인지적,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발달의 균형을 꾀하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운영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두범 외, 방과후 아동지도, 공동체, 2009
서영숙 외, 방과후 아동지도, 양서원, 2014
최순옥 외, 방과후 아동지도, 태영출판사, 2014
이소희, 방과후 아동지도, 대왕사, 2004
이소희, 아동복지, 정민사, 2019
추천자료
방과후 아동지도와 아동보육의 차이점
방과후프로그램(방과후아동보육, 교육) 정의와 필요성, 방과후프로그램(방과후아동보육, 교육...
방과후아동지도(방과후교육, 교실)의 의미와 중요성, 방과후아동지도(방과후교육, 교실)의 역...
[아동복지 공통] 영유아보육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보육과정과 교사 측면에서 최근 어떤 ...
방과후 아동보육과 초등학교 정규교육과의 연계에 대하여 {방과후 아동보육의 필요성, 방과후...
2017 성사랑사회D형 이주여성] 한국사회에서 이주여성들이 겪는 어려움, 이들의 경험을 통해...
청소년 복지행정의 개념과 주요과정 청소년복지서비스 전달체계의 현황을 분석하고 현행 청소...
방과후 프로그램과 아이돌보미 프로그램을 서술하고, 우리나라 보육서비스 과제를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