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방과 후 프로그램의 종류
2. 아이 돌봄 프로그램의 종류
3. 우리나라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개선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방과 후 프로그램의 종류
2. 아이 돌봄 프로그램의 종류
3. 우리나라에 필요한 프로그램 및 개선방안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가 가르치고 아이들이 받아들이는 수동적 교육이 아닌, 아이들이 스스로 제안한 과제를 친구들과 함께 협력해 해결하는 ‘프로젝트 기반 배움’개념을 적용한 아이 주도형 콘텐츠로 운영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현재 OECD국가 중 처음으로 출산율이 1%도 안되는 저 출산국이 되었다. 출산율 감소는 결국 생산인구 감소와 노인인구의 증가로 부양할 인구증가로 이어진다.
출산율 감소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아동을 둔 부모들의 한결같은 우려의 목소리는 양육의 어려움이다.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사회적지원이 우선시 되어야하고 치열한 경쟁속에 아이들을 키워낼 자신이 없어진 만큼 입시위주의 방과후 프로그램보다 영유기부터 자신의 적성과 특기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개선방안
(1) 특수학급 설치, 장애인식개선 교육 등 방과 후 학습의 기회 제공
특습학급이 있는 학교와 특수학교에서는 학교의 여건과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다양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겠다. 또한 일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특수교육대상자도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에 안내하고 장학 지도를 실시하여야 하겠다.
(2) 방과 후 돌봄 공백을 채워줄 센터의 확충이 필요하다.
마침 서울시에서 오는 2022년까지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우리동네 키움센터를 400개소까지 확충한다고 한다. 이는 맞벌이하는 가정에게 학교를 마친후 갈 곳이 없어 학원을 전전하는 아이에게는 친구와 놀면서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부모에게는 안심하고 자녀를 맞길 수 있는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해 돌봄 걱정 없이 일과 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보편적 돌봄을 실현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가 된다.
Ⅲ. 결론
우리나라 방과후 프로그램의 특징은 학교장과 학생, 부모가 자율적으로 협의하여 운영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은 학교별로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 실이다. 어떤 학교장이 있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수준이 다를 수 있고 또 학생이나 학부모가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을 믿을 수 없다고 학원으로 보낼 수도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천편일륜적인 방과후 프로그램의 운영이 아닌 독일과 같이 전일제 학교를 도입하여 학교에서 이미 져녁시간까지 아이들을 돌보며 교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학부모들은 훨씬 안심하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을 것이며 학교 끝난 이후 아직 학부모가 직장을 마치지 않더라고 간단히 태권도나 음악, 미술 학원1개정도만 보내면 되는 정도이다. 또한 돌봄시설은 호르트의 경우에도 모두가 다닐 수 있으며 지원받는 금액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기 때문에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우리나라의 많은 일반 가정에서도 해택을 누릴 수 있는 제도라고 생각된다.
최근 방과후 프로그램이나 돌봄 프로그램이 워킹맘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검증되지 않은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저임금이고 처우가 열악하며 급하게 뽑기 시작하면서 언젠가는 이 또한 사회적으로 큰문제로 연결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현재의 학교 운영모델을 수정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을 정규교육과정에 편성하거나 나라에서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민간 돌봄 기관을 늘려 교육과 보육의 질 모두를 높이는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는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참고문헌]
서영숙 외(2014), 방과후 아동지도, 양서원
임연기(2015) “한국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특성 분석”
이소희(2019), 아동복지, 정민사
이재오(2004) “우리나라 보육시설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서비스(www.idolbom.go.kr)
우리나라는 현재 OECD국가 중 처음으로 출산율이 1%도 안되는 저 출산국이 되었다. 출산율 감소는 결국 생산인구 감소와 노인인구의 증가로 부양할 인구증가로 이어진다.
출산율 감소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아동을 둔 부모들의 한결같은 우려의 목소리는 양육의 어려움이다. 일과 가정을 양립할 수 있는 사회적지원이 우선시 되어야하고 치열한 경쟁속에 아이들을 키워낼 자신이 없어진 만큼 입시위주의 방과후 프로그램보다 영유기부터 자신의 적성과 특기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환경이 우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2) 개선방안
(1) 특수학급 설치, 장애인식개선 교육 등 방과 후 학습의 기회 제공
특습학급이 있는 학교와 특수학교에서는 학교의 여건과 학생의 교육적 요구를 고려하여 다양한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하겠다. 또한 일반 방과 후 학교 프로그램에 특수교육대상자도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학교에 안내하고 장학 지도를 실시하여야 하겠다.
(2) 방과 후 돌봄 공백을 채워줄 센터의 확충이 필요하다.
마침 서울시에서 오는 2022년까지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는 우리동네 키움센터를 400개소까지 확충한다고 한다. 이는 맞벌이하는 가정에게 학교를 마친후 갈 곳이 없어 학원을 전전하는 아이에게는 친구와 놀면서 쉴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주고, 부모에게는 안심하고 자녀를 맞길 수 있는 공간과 서비스를 제공해 돌봄 걱정 없이 일과 생활에 전념할 수 있도록 하는 보편적 돌봄을 실현할 수 있을것으로 기대가 된다.
Ⅲ. 결론
우리나라 방과후 프로그램의 특징은 학교장과 학생, 부모가 자율적으로 협의하여 운영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기 때문에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은 학교별로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는 것이 현 실이다. 어떤 학교장이 있냐에 따라 프로그램의 수준이 다를 수 있고 또 학생이나 학부모가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을 믿을 수 없다고 학원으로 보낼 수도 있는 형편이다.
이처럼 천편일륜적인 방과후 프로그램의 운영이 아닌 독일과 같이 전일제 학교를 도입하여 학교에서 이미 져녁시간까지 아이들을 돌보며 교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면 학부모들은 훨씬 안심하고 아이들을 맡길 수 있을 것이며 학교 끝난 이후 아직 학부모가 직장을 마치지 않더라고 간단히 태권도나 음악, 미술 학원1개정도만 보내면 되는 정도이다. 또한 돌봄시설은 호르트의 경우에도 모두가 다닐 수 있으며 지원받는 금액에서 차이가 나는 것이기 때문에 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우리나라의 많은 일반 가정에서도 해택을 누릴 수 있는 제도라고 생각된다.
최근 방과후 프로그램이나 돌봄 프로그램이 워킹맘들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추진되고 있으나 그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검증되지 않은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생각된다. 저임금이고 처우가 열악하며 급하게 뽑기 시작하면서 언젠가는 이 또한 사회적으로 큰문제로 연결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 때문에 현재의 학교 운영모델을 수정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을 정규교육과정에 편성하거나 나라에서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민간 돌봄 기관을 늘려 교육과 보육의 질 모두를 높이는 프로그램이 우리나라에는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
[참고문헌]
서영숙 외(2014), 방과후 아동지도, 양서원
임연기(2015) “한국 방과후학교 정책의 추진 과정과 특성 분석”
이소희(2019), 아동복지, 정민사
이재오(2004) “우리나라 보육시설 정책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서비스(www.idolbom.go.kr)
추천자료
신문, 잡지, 인터넷, 칼럼 등에서 최근 거론되고 있는 가족관계의 문제들을 3가지 이상 골라 ...
[성, 사랑, 사회 B형] 여성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겪게 되는 폭력에 대해서 조사한 후 구체적...
방과후 프로그램과 아이 돌보미 프로그램의 종류에 대해 서술하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프로그...
사회문제론]①한국사회에서 돌봄과 육아를 둘러싼 상황 ②돌봄과 육아를 바라보는 시각은 어떻...
방과후 프로그램과 돌보미 프로그램의 종류와 한계점 및 방향성
방과후 프로그램과 아이 돌보미 프로그램의 목적, 종류, 문제점에 대해 서술하고 우리나라에 ...
방과후 프로그램과 아이 돌보미 프로그램의 종류를 서술하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프로그램에 ...
방과후 프로그램과 아이돌보미 프로그램을 서술하고, 우리나라 보육서비스 과제를 제시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