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샘암 간호 Study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립샘암 간호 Study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 질환에 대한 문헌고찰


Ⅱ 간호과정




Ⅲ 참고문헌

본문내용

방문하였다.
환자의 발이 차가운 것에 예민하게 반응하였으며 신경써달라고 부탁함
과거력과 갑작스런 수술로 인한 가족들의 감정과 적응/대처 능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10. 인지-지각
의식 상태는 stupor상태
“나는 목을 다친 적이 없어요. 나는 여기 쇄골 뼈를 다쳤어요. 나는 내가 잘 알아요.”라고 말하며 투약 거부하며 Bed out 시도하여 억제대 함
GCS 점수<초기 사정- 5/4>- E3 V4 M6<5/12>- pre OP : E4 V4 M6- post OP : E3 V4 M6
질병에 대한 병식 부족으로 치료 불이행할 수 있다.
지남력 혼란으로 치료 불이행이 발생할 수 있다.
의식수준은 초기 입원 시와 변함 없다.
(2) 간호진단 목록
번호
간호진단(문제)
1
알부민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2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3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 간호진단과 간호 계획
#1. 알부민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 목표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알부민 저하와 관련된 체액과다
- 부종이 감소한다.
- K가 정상수치가 된다.
-I/O가 +500이하를 유지한다.
- 헤모글로빈, 헤마토크릿,알부민이 정상수치를 보인다.
1. 혈압, 맥박, 심장리듬, 체온, 호흡음을 적어도 4시간마다 모니터한다.
2. 섭취와 배설을 4시간 마다 모니터한다.
3. 전해질 수치, 헤모글로빈 수치, 헤마토크릿, 알부민을 모니터한다.
4. 부종 등 체액 정체 징후를 확인한다.
5. 처방대로 수액을 공급하되 IV 속도를 주의해서 모니터 한다.
6. 2시간마다 체위 변경을 제공하고 부종이 있는 부위를 상승시켜준다.
7. 피부 탄력성을 사정한다.
활력징후, 섭취량과 배설량, 전해질수치, 헤모글로빈수치, 헤마토크릿 수치 등으로 대상자의 체액 상태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사정이 필요하다.
수액공급은 체액과다의 위험요인이 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한다.
체액과다로 인한 2차 손상을 방지한다.
13일 I/O3200/2470으로+730 나타남
“ 어지러워, 왜 이러는 걸 까? ”
객관적 자료
얼굴 부종 나타남.
사지 부종 나타남
알부민 감소(5/12 : 2.4g/dL)
5/9
5/11
5/12
2150/1630
(+520)
1550/1030
(+520)
4270/2760
(+1510)
I/O
Hemoglobin
9.9▼
8.1▼
Hematocrit
29▼
24▼
Hemoglobin, Hematocrit 감소
5/11
5/12
5/14
116/64
151/66
131/72
혈압의 상승
K 감소 : 3.0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 목표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 욕창이 생기지 않는다.
- IV 부위가 정상이다.
1. 매 근무교대 시마다 대상자의 피부를 관찰한다.
2. 정해진 시간마다 체위변경을 하고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3. 뼈 돌출부위의 압력을 최소화하고 편안한 체위를 취해준다.
4. 침구류는 건조하고 청결하게 유지하고 주름살 또는 잡티가 없게 관리한다.
5. 부종 등 체액 정체 징후를 확인한다.
6. IV 삽입 부위의 부종 등 피부 상태를 사정한다.
7. 피부의 통증이나 습함이 느껴지면 말하도록 교육한다.
8. 공기매트리스를 이용하여 피부손상을 예방한다.
- 지속적인 압력은 피부 손상을 초래하며 젖거나 구겨진 침구류 또한 피부에 압력을 주어 손상을 일으킨다. 그러므로 공기매트리스로 보조하거나 체위변경, 침구류 관리 등이 필요하다.
- 억제대 사용으로 인한 2차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정기적인 사정이 필요하다.
정상적 피부상태로, 욕창 발생하지 않음.
5/13일 왼쪽팔 IV route 확보하며 정상임.
“ 움직이고 싶어 ”
객관적 자료
75세 노인
중환자 내원 10일 째
4일 Halter traction 유지
12일 OP로 Headup 10도 유지 하며 Philadelphia 뒷판만 적용 중
의식상태 : drowsy
오른쪽 발 정맥주사 부위 있으며 멍이 퍼져있고 발목 쪽 부종 있음.
Back, coccyx로 5×10 redness
얼굴, 눈 주위, 양쪽 하지 부종 나타남
#2. 장기간 부동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3.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 목표
간호계획 및 간호수행
이론적 근거
평가
주관적 자료
배액관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백혈구 수치가 정상범위 유지한다.
배액관 부위가 깨끗하고 분홍색이며, 농성 배액물이 없다.
1. 하루에 한번 드레싱을 실시한다.
2. 간호 전, 후에 손을 씻는다.
3. 체온을 2시간 간격으로 모니터하고 이를 기록하고, 상승 시 즉시 보고한다.
4. 백혈구를 모니터하고 상승 혹은 하강 시 보고한다.
5. 배액관 부위의 감염징후나 증상을 확인한다.
6. 각 근무 번마다 드레싱이 견고하고 폐쇄적이며 깨끗하고 건조한지 관찰한다.
7. 억제대를 사용하여, 사고로 catheter가 빠지지 않도록 관리한다.
8. 처방에 따라 투약한다. (Tomiporan)
- 손씻기는 감염관리의 기본이 된다.
- 체온은 감염의 증후로 나타난다.
- WBC 수치로 감염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 수술 부위와 배액관 부위를 주기적으로 드레싱하며 상태를 확인하여 감염을 확인한다.
- 항생제 약물을 투약하여 감염을 예방한다.
14일 WBC 5.4
14일 배액관 부위 oozing 발생
“ 주사부위가 따가워”
객관적 자료
목 뒤로 Hemovac 1개
왼쪽 다리 24G 5/12일 IV 삽입 중이며 부종있음
Hemovac으로 혈액양상으로 배액됨.
드레싱부위에 oozing 나타남.
WBC 상승 양상보임
5/11
5/12
5/13
3.4
6.9
4.3
* 참고문헌
1. 박정숙 외, 성인간호학 1,2. 엘스비어코리아, 2013.
2. 신경림 외, 성인간호학1, 현문사, 2011.
3. 차영남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서울: 현문사, 2013.
5. 민선식 외, 병태생리학, 바이오사이언스, 2009
6. 조승묵 외, 인체해부학 3판, 정담미디어,2012
7. 최명애 외. 생리학, 현문사, 2011
8. 약학정보원 http://www.health.kr/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20.09.03
  • 저작시기2017.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3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