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부정맥 종류>
< 부정맥 약물요법 >
< 부정맥 약물요법 >
본문내용
희석하여 8-10분간 IV,
1 - 2시간마다 반복하며 30 - 35mg/kg이 최대 용량임
1 - 2mg/min 주입
심실세동이나 맥박이 촉지되지 않은 심실빈맥은 희석시키지 않고 5mg/kg IV bolus
투여 후 제세동
② 간호 : PVBs, 심박증가 및 기타 부정맥 관찰
혈압의 관찰, 환자를 앙와위로 8시간 까지 유지
환자가 일어나 않기 시작하면 침대위에서 서서히 움직이도록 교육
약물 복용시 구토 예상
- 심실정지의 응급시기를 제외하고 약물은 희석하고 서서히 주입할 것
③ 과학적 근거 : PVBs, 심박수의 증가가 30분내 발생가능
초기 1시간에 고혈압, 이후 심각한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음
체위성 저혈압이 약물에 대한 적응기까지 발생
환자가 어지럽거나 실신 가능/구토가 흔한 부작용임
* Amiodarone hydrochloride (Cordarone)
① 용법 : 800 - 1600mg qd PO 1 - 3주간 분할 복용, 이후 600 - 800mg qd 1달간 복용,
이후 200 - 600mg qd(평균 400mg qd) 복용
② 간호 : 약물의 용법과 부작용에 대한 환자의 지식 사정
치료의 시작시 심박동, 혈압, 심전도 관찰
근육의 허약, 진전이나 보행곤란 등의 증세를 보고하고록 교육
호흡곤란, 기침, 늑막통이나 열을 보고하도록 교육함
시각장애를 즉시 보고하고 광선공포증이 있으면 낮에 선글라스 착용
- 햇빛 방지용 피부크림을 도포하도록 함
갑상선이나 간의 독작용의 징후 보고하도록 교육
③ 과학적 근거 : 약물의 부작용으로 환자가 약물을 중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
(1.5 - 3개월 복용 후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
서맥, 저혈압, 악화된 부정맥 발생가능
근육관련 부작용이 치료 첫 주에 발생 가능
약물원인 폐독작용 발생 가능
결막의 색소침착이 나타나나 시력에 관계없음
- 시력약화시 감량, 햇빛 민감반응 발생
갑상선 문제, 간의 독작용 등이 발생하면 감량 또는 약물의 중단 요구
㉥ Class IV
* Verapamil hydrochloride (Calan, Isoptin)
① 용법 : 2.5 - 5mg IV 1 - 2분간 (narrow-complex SVT 또는 PSVT일 때)
→이후 15 - 30분 경과 후 필요시 5 - 10mg IV를 1 - 2분간 주입
: 최대 20mg까지 반복/80 - 120mg q6 - 8h PO
② 간호 : 심박동과 혈압의 관찰
약물주입시 최소 1시간 동안 양와위 유지 교육
경구투약시 체위변경을 천천히 하도록 교육
호흡곤란, 가좌호흡, 경정맥의 확장, 사지위 부종 등을 보고하도록 교육
③ 과학적 근거 : 서맥과 저혈압이 흔함
저혈압 발생시 calcium chloride(CaCl₂) 0.5 - 1g 천천히 주입
어지러움과 체위성 저혈압이 약물에 적응하기 전에 발생 가능
심부전이 나타나면 약물의 감량, 중단을 요함
* Diltiazem hydrochloride (Cardizem)
① 용법 : 0.25mg/kg IV 2분간/15분 경과 후
0.35mg/kg IV 2분간/5-15mg/hr IV 주입
② 간호 : 심박동과 혈압의 관찰
IV주입 후 최소 1시간 동안 앙와위 유지 교육
호흡곤란, 기좌호흡, 경정맥의 확장, 사지의 부종 등을 보고하도록 교육
③ 과학적 근거 : 서맥과 저혈압이 흔함
저혈압 발생 가능
심부전이 나타나면 약물의 감량, 중단을 요함
㉦ Class 기타
* Digoxin (Lanoxin, Novodigoxin)
① 용법 : 빠른 디지털화를 이해 초기에 0.5 - 1mg PO (또는 IV), 이후 0.125 - 0.5mg PO(또는 IV)
q6h으로 총 1-1.5mg까지 투여/유지량 : 0.125 - 0.25mg qd 또는 qod PO 또는 IV
(노인의 경우 감량)
② 간호 : 투여하기 전 1분간 심첨맥박의 관찰: 심박동이 분당 60회 이하면 투여안함
갑작스런 심박동의 증가 또는 불규칙, 규칙 등의 리듬변화를 사정
식욕 부진, 오심, 구토, 설사, 감각마비, 혼동, 시각장애 등의 보고 요구
혈중 K+ 관찰, 혈중 creatine크레아티닌
관찰
③ 과학적 근거 : 심박동의 저하가 예상되나 서맥은 독작용에 의한 것으로 의심됨
심박동과 리듬의 변화는 독작용을 의미함(부작용은 독작용 의미)
저칼륨혈증은 독작용과 심실성 부정맥의 위험을 높임
신기능의 장애는 독작용을 초래하며 이때 감량 요구
* Atropine sulfate
① 용법 : 0.5 - 1mg bolus(필요시 최고 0.04mg/kg까지 3 - 5분마다 반복)
심정지, PEA, EMD의 경우 1mg IV bolus(필요시 3 - 5분 간격으로 총 0.04mg/kg까지 투여)
② 간호 : 투여후 심박동과 리듬을 관찰
투여시작 후 흉통의 관찰
소변정체 및 구강 건조의 사정
폐쇄우각녹내장 환자의 경우 금기
③ 과학적 근거 : 심박동수의 증가가 예상됨
관상동맥 질환자에서 증가된 심박동수는 허혈상태를 초래
항콜린성 약물의 부작용, 안구내압의 상승효과
* Adenosine (Adenocard)
① 용법 : 6mg IV 1 - 3초간 IV 주입 후 20ml의 식염수를 주입함
필요시 1 - 2분 후 12mg IV로 1 - 3초간 주입(매번 식염수 20ml 주입) 반복 2회 가능
② 간호 : 주입후 심박수와 리듬의 관찰
안면홍조, 호흡곤란, 흉통의 사정
PSVT 또는 심실기외 수축의 발생 사정
③ 과학적 근거 : 주입후 단기간의 심정지가 흔함
- 서맥과 저혈압 발생 가능
흔히 발생하는 부작용의 징후임 : PSVT가 자주 나타나며 PVCs도 발생 가능
* Magnesium sulfate
① 용법 : 심실조동이나 심실성 빈박시 1 - 2g을 100ml의 D5W에 희석하여 1 - 2분간 주입
1 - 2g을 D5W 50 - 100ml에 섞어 5-60분 동안 주입 후 0.5 - 1g/hr를 24시간 동안 보충
② 간호 : 심전도상 동성리듬으로 전환되는지 관찰
안면홍조, 저혈압, 호흡성 및 중추신경계 억제 증상의 관찰
③ 과학적 근거 : 저마그네슘혈증은 불응적 심실조동의 발생 촉진 가능
약물이 혈관 확장초래
호흡성 및 중추신경계억제 증상의 초래
1 - 2시간마다 반복하며 30 - 35mg/kg이 최대 용량임
1 - 2mg/min 주입
심실세동이나 맥박이 촉지되지 않은 심실빈맥은 희석시키지 않고 5mg/kg IV bolus
투여 후 제세동
② 간호 : PVBs, 심박증가 및 기타 부정맥 관찰
혈압의 관찰, 환자를 앙와위로 8시간 까지 유지
환자가 일어나 않기 시작하면 침대위에서 서서히 움직이도록 교육
약물 복용시 구토 예상
- 심실정지의 응급시기를 제외하고 약물은 희석하고 서서히 주입할 것
③ 과학적 근거 : PVBs, 심박수의 증가가 30분내 발생가능
초기 1시간에 고혈압, 이후 심각한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음
체위성 저혈압이 약물에 대한 적응기까지 발생
환자가 어지럽거나 실신 가능/구토가 흔한 부작용임
* Amiodarone hydrochloride (Cordarone)
① 용법 : 800 - 1600mg qd PO 1 - 3주간 분할 복용, 이후 600 - 800mg qd 1달간 복용,
이후 200 - 600mg qd(평균 400mg qd) 복용
② 간호 : 약물의 용법과 부작용에 대한 환자의 지식 사정
치료의 시작시 심박동, 혈압, 심전도 관찰
근육의 허약, 진전이나 보행곤란 등의 증세를 보고하고록 교육
호흡곤란, 기침, 늑막통이나 열을 보고하도록 교육함
시각장애를 즉시 보고하고 광선공포증이 있으면 낮에 선글라스 착용
- 햇빛 방지용 피부크림을 도포하도록 함
갑상선이나 간의 독작용의 징후 보고하도록 교육
③ 과학적 근거 : 약물의 부작용으로 환자가 약물을 중단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
(1.5 - 3개월 복용 후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
서맥, 저혈압, 악화된 부정맥 발생가능
근육관련 부작용이 치료 첫 주에 발생 가능
약물원인 폐독작용 발생 가능
결막의 색소침착이 나타나나 시력에 관계없음
- 시력약화시 감량, 햇빛 민감반응 발생
갑상선 문제, 간의 독작용 등이 발생하면 감량 또는 약물의 중단 요구
㉥ Class IV
* Verapamil hydrochloride (Calan, Isoptin)
① 용법 : 2.5 - 5mg IV 1 - 2분간 (narrow-complex SVT 또는 PSVT일 때)
→이후 15 - 30분 경과 후 필요시 5 - 10mg IV를 1 - 2분간 주입
: 최대 20mg까지 반복/80 - 120mg q6 - 8h PO
② 간호 : 심박동과 혈압의 관찰
약물주입시 최소 1시간 동안 양와위 유지 교육
경구투약시 체위변경을 천천히 하도록 교육
호흡곤란, 가좌호흡, 경정맥의 확장, 사지위 부종 등을 보고하도록 교육
③ 과학적 근거 : 서맥과 저혈압이 흔함
저혈압 발생시 calcium chloride(CaCl₂) 0.5 - 1g 천천히 주입
어지러움과 체위성 저혈압이 약물에 적응하기 전에 발생 가능
심부전이 나타나면 약물의 감량, 중단을 요함
* Diltiazem hydrochloride (Cardizem)
① 용법 : 0.25mg/kg IV 2분간/15분 경과 후
0.35mg/kg IV 2분간/5-15mg/hr IV 주입
② 간호 : 심박동과 혈압의 관찰
IV주입 후 최소 1시간 동안 앙와위 유지 교육
호흡곤란, 기좌호흡, 경정맥의 확장, 사지의 부종 등을 보고하도록 교육
③ 과학적 근거 : 서맥과 저혈압이 흔함
저혈압 발생 가능
심부전이 나타나면 약물의 감량, 중단을 요함
㉦ Class 기타
* Digoxin (Lanoxin, Novodigoxin)
① 용법 : 빠른 디지털화를 이해 초기에 0.5 - 1mg PO (또는 IV), 이후 0.125 - 0.5mg PO(또는 IV)
q6h으로 총 1-1.5mg까지 투여/유지량 : 0.125 - 0.25mg qd 또는 qod PO 또는 IV
(노인의 경우 감량)
② 간호 : 투여하기 전 1분간 심첨맥박의 관찰: 심박동이 분당 60회 이하면 투여안함
갑작스런 심박동의 증가 또는 불규칙, 규칙 등의 리듬변화를 사정
식욕 부진, 오심, 구토, 설사, 감각마비, 혼동, 시각장애 등의 보고 요구
혈중 K+ 관찰, 혈중 creatine크레아티닌
관찰
③ 과학적 근거 : 심박동의 저하가 예상되나 서맥은 독작용에 의한 것으로 의심됨
심박동과 리듬의 변화는 독작용을 의미함(부작용은 독작용 의미)
저칼륨혈증은 독작용과 심실성 부정맥의 위험을 높임
신기능의 장애는 독작용을 초래하며 이때 감량 요구
* Atropine sulfate
① 용법 : 0.5 - 1mg bolus(필요시 최고 0.04mg/kg까지 3 - 5분마다 반복)
심정지, PEA, EMD의 경우 1mg IV bolus(필요시 3 - 5분 간격으로 총 0.04mg/kg까지 투여)
② 간호 : 투여후 심박동과 리듬을 관찰
투여시작 후 흉통의 관찰
소변정체 및 구강 건조의 사정
폐쇄우각녹내장 환자의 경우 금기
③ 과학적 근거 : 심박동수의 증가가 예상됨
관상동맥 질환자에서 증가된 심박동수는 허혈상태를 초래
항콜린성 약물의 부작용, 안구내압의 상승효과
* Adenosine (Adenocard)
① 용법 : 6mg IV 1 - 3초간 IV 주입 후 20ml의 식염수를 주입함
필요시 1 - 2분 후 12mg IV로 1 - 3초간 주입(매번 식염수 20ml 주입) 반복 2회 가능
② 간호 : 주입후 심박수와 리듬의 관찰
안면홍조, 호흡곤란, 흉통의 사정
PSVT 또는 심실기외 수축의 발생 사정
③ 과학적 근거 : 주입후 단기간의 심정지가 흔함
- 서맥과 저혈압 발생 가능
흔히 발생하는 부작용의 징후임 : PSVT가 자주 나타나며 PVCs도 발생 가능
* Magnesium sulfate
① 용법 : 심실조동이나 심실성 빈박시 1 - 2g을 100ml의 D5W에 희석하여 1 - 2분간 주입
1 - 2g을 D5W 50 - 100ml에 섞어 5-60분 동안 주입 후 0.5 - 1g/hr를 24시간 동안 보충
② 간호 : 심전도상 동성리듬으로 전환되는지 관찰
안면홍조, 저혈압, 호흡성 및 중추신경계 억제 증상의 관찰
③ 과학적 근거 : 저마그네슘혈증은 불응적 심실조동의 발생 촉진 가능
약물이 혈관 확장초래
호흡성 및 중추신경계억제 증상의 초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