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부정맥의 종류
1. 동성부정맥
2. 심방성 부정맥
3. 방실성 부정맥(Atrioventricular dysrhythmias)
Ⅱ. 진단 검사
1.EKG
2.전기생리학적 검사(EPS)
Ⅲ. 치료약물
1. 강심제
2. 부정맥용제 (항부정맥약)
.
.
1. 동성부정맥
2. 심방성 부정맥
3. 방실성 부정맥(Atrioventricular dysrhythmias)
Ⅱ. 진단 검사
1.EKG
2.전기생리학적 검사(EPS)
Ⅲ. 치료약물
1. 강심제
2. 부정맥용제 (항부정맥약)
.
.
본문내용
- 비경구적 Ca+2의 투여는 심한 심부정맥을 일으킬 수 있다.
- 이온교환수지류는 강심배당체의 흡수를 저해한다.
- barbiturate는 효소유도에 의해 digitalis 활성을 감소시킨다.
③ Ouabain(G-Strophantin)
2. 부정맥용제 (항부정맥약)
① Amiodarone HCl - Na+,K+,Ca++ 몽땅 blocking 가능
·적응증: 부정맥, 협심증
·용법·용량
- oral(200mg/정): 1일 3정씩 8∼10일간 투여, 증상에 따라 1일 4∼5정으로 증량 가능
·부작용: 피부광감작 현상, 갑상샘 기능장애, 구역, 구토, 현기, 두통, 피로감
② Diltiazem - Ca++ channen blocker
·혈관 평활근 및 심근의 근수축 기구에 관여하는 Ca++에 길항하여 심근 허혈 부위 산소 공급 balance를 개선하여 항부정맥 작용을 갖는다.
③ Lidocaine: classⅠ - B
·적응증: 심실성 부정맥과 digitalis에 의해 유발된 tarchycardia에 사용
·용법·용량
- parenteral(IV-2%/vial): 주로 IV로 사용한다. IV는 보통 50∼100mg을 투여하며 점적주사시 의 속도는 1∼4mg/min이다. IM은 300mg을 10% 용약으로 하여 투여한다.
·부작용: CMS effect를 나타낼 수 있고 고용량 투여시 어지러움, 혼몽, 지각이상 및 toxic level에서 경련이나 호흡억제를 일으킬 수 있다.
·국소마취제 중 유일하게 정맥 주사로 사용한다. (전신 순환을 해도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④ Mexiletine HCl (Mexitil): classⅠ- B
·적응증: 심실성 부정맥 (특히 심근경색 후 일어난 부정맥)
·용법·용량
- oral(100mg/정): 200∼300mg씩 8시간마다 복용
·부작용: 심계항진, 흉통, 협심증, 저혈압, 두통,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발진, 부종, 호흡곤란
⑤ Procainamide HCl (Pronestyl)
·심방성, 방실 결합 부위 및 심실성 부정맥
·용법·용량
- oral(250mg/cap): 초회량은 1g, 필요에 따라 0.5∼1g을 4∼6시간 간격으로 투여
- parenteral (IM,IV-100mg/amp)
: IM-0.5∼1g을 경구치료가 가능할 때까지 6시간마다 반복 투여
: IV-100mg을 5분 동안 직접 정맥내 투여하고 50mg/min을 초과하지 말아야 함다. 심한 저 혈압에 주의한다.
·부작용
- 저혈압, 식욕부진, 오심, 구토, 소양증, 설사, 무과립세포증
- 낭창성 홍반증, 발열, 오한, 복통, 급성 간종양, 우울, 어지러움
- 과민반응으로 혈관신경성 부종, 반점상 구진
⑥ Propranolol HCl
⑦ Quinidine sulfate - Na+ channel blocker
·적응증
- 완전방실 분리를 제외한 발작성 심실 빈박증의 예방 및 치료
- 심근 경색증에 의한 심방조동 및 세동
- 심실과 심방의 조기 수축
·용법·용량
- oral(200mg/정): 1일 200∼400mg 씩 3∼4회, 다량 또는 장기 투여는 입원 환자에 한정
·부작용
- cinchonism (증상은 이명, 두통, 오심, 시야몽롱)
- 급성 용혈성 빈형,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quinidine 실신
⑧ Verapamil HCl (Isoptin)
·적응증: 발작성 상실성 빈맥이나 심실조동, 세동의 치료
·용법·용량
- oral(40g,80mg/정): 240∼480mg을 3∼4회 분할 투여
- parenteral(IV-5mg/amp): 5∼10mg을 2분 내에 투여, 반응으로 보이지 않으면 10mg을 30분 후에 반복 투여한다.
- 이온교환수지류는 강심배당체의 흡수를 저해한다.
- barbiturate는 효소유도에 의해 digitalis 활성을 감소시킨다.
③ Ouabain(G-Strophantin)
2. 부정맥용제 (항부정맥약)
① Amiodarone HCl - Na+,K+,Ca++ 몽땅 blocking 가능
·적응증: 부정맥, 협심증
·용법·용량
- oral(200mg/정): 1일 3정씩 8∼10일간 투여, 증상에 따라 1일 4∼5정으로 증량 가능
·부작용: 피부광감작 현상, 갑상샘 기능장애, 구역, 구토, 현기, 두통, 피로감
② Diltiazem - Ca++ channen blocker
·혈관 평활근 및 심근의 근수축 기구에 관여하는 Ca++에 길항하여 심근 허혈 부위 산소 공급 balance를 개선하여 항부정맥 작용을 갖는다.
③ Lidocaine: classⅠ - B
·적응증: 심실성 부정맥과 digitalis에 의해 유발된 tarchycardia에 사용
·용법·용량
- parenteral(IV-2%/vial): 주로 IV로 사용한다. IV는 보통 50∼100mg을 투여하며 점적주사시 의 속도는 1∼4mg/min이다. IM은 300mg을 10% 용약으로 하여 투여한다.
·부작용: CMS effect를 나타낼 수 있고 고용량 투여시 어지러움, 혼몽, 지각이상 및 toxic level에서 경련이나 호흡억제를 일으킬 수 있다.
·국소마취제 중 유일하게 정맥 주사로 사용한다. (전신 순환을 해도 부작용이 적기 때문에)
④ Mexiletine HCl (Mexitil): classⅠ- B
·적응증: 심실성 부정맥 (특히 심근경색 후 일어난 부정맥)
·용법·용량
- oral(100mg/정): 200∼300mg씩 8시간마다 복용
·부작용: 심계항진, 흉통, 협심증, 저혈압, 두통, 오심, 구토, 설사, 변비, 발진, 부종, 호흡곤란
⑤ Procainamide HCl (Pronestyl)
·심방성, 방실 결합 부위 및 심실성 부정맥
·용법·용량
- oral(250mg/cap): 초회량은 1g, 필요에 따라 0.5∼1g을 4∼6시간 간격으로 투여
- parenteral (IM,IV-100mg/amp)
: IM-0.5∼1g을 경구치료가 가능할 때까지 6시간마다 반복 투여
: IV-100mg을 5분 동안 직접 정맥내 투여하고 50mg/min을 초과하지 말아야 함다. 심한 저 혈압에 주의한다.
·부작용
- 저혈압, 식욕부진, 오심, 구토, 소양증, 설사, 무과립세포증
- 낭창성 홍반증, 발열, 오한, 복통, 급성 간종양, 우울, 어지러움
- 과민반응으로 혈관신경성 부종, 반점상 구진
⑥ Propranolol HCl
⑦ Quinidine sulfate - Na+ channel blocker
·적응증
- 완전방실 분리를 제외한 발작성 심실 빈박증의 예방 및 치료
- 심근 경색증에 의한 심방조동 및 세동
- 심실과 심방의 조기 수축
·용법·용량
- oral(200mg/정): 1일 200∼400mg 씩 3∼4회, 다량 또는 장기 투여는 입원 환자에 한정
·부작용
- cinchonism (증상은 이명, 두통, 오심, 시야몽롱)
- 급성 용혈성 빈형,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quinidine 실신
⑧ Verapamil HCl (Isoptin)
·적응증: 발작성 상실성 빈맥이나 심실조동, 세동의 치료
·용법·용량
- oral(40g,80mg/정): 240∼480mg을 3∼4회 분할 투여
- parenteral(IV-5mg/amp): 5∼10mg을 2분 내에 투여, 반응으로 보이지 않으면 10mg을 30분 후에 반복 투여한다.
추천자료
북한의 영화의 특성, 종류, 문제점, 흐름,
우울증의 원인, 정의, 종류, 요인, 트라우마, 가면성 우울증, 자가진단 치료, 과정, 문제점, ...
[교수매체] 교수매체의 필요성과 종류
금융위험관리(금융자산리스크관리)의 종류, 지침, 금융위험관리(금융자산리스크관리)의 체계,...
디지털저작권의 정의, 디지털저작권의 종류, 디지털저작권의 저작권법, 디지털저작권의 트라...
명절증후군,명절증후군의 증상과영향,명절증후군종류,고부갈등,젠더분석
아동기 부적응 행동의 개념, 종류, 원인 및 해결방안에 대해 간략히 설명
방어기제에 대해서(의의, 종류, 실생활 응용)
[생활과건강- 약물남용] 약물의 종류와 특성 등 현황, 약물남용의 사례 1개를 선정하여 소개...
구조정책의 의의,구조정책의 종류, IMF이후 기업, 금융구조정책,노동시장 구조정책,노동시장 ...
MMPI-2 – 타당도 척도 종류, 유형 및 해석, 임상척도 유형 및 해석.pptx
[발달장애] 발달장애 종류와 특성, 문제점, 발달장애 치료법, 섭식장애, 정신분열증, 자폐와 ...
방어기제defense mechanism의 개념과 특성 및 종류를 서술하고, 실생활에 주로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 정의과 특징,종류및 방어기제 방어과정분석과 프로이드,안나프로이드의 방어기제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