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회복지조사론] 내용분석법
I. 내용 분석의 의의
II. 내용분석의 범주와 분석단위
1. 내용분석의 범주
2. 내용분석의 분석단위
III. 내용분석법의 절차
1. 연구문제의 선정
2. 가설설정 및 조작적 정의
3. 분석대상 자료의 범위 결정 및 표본의 추출
4. 분석내용의 범주 및 분석단위 결정
5. 신뢰도 검증
6. 자료 분석 및 해석
* 참고문헌
I. 내용 분석의 의의
II. 내용분석의 범주와 분석단위
1. 내용분석의 범주
2. 내용분석의 분석단위
III. 내용분석법의 절차
1. 연구문제의 선정
2. 가설설정 및 조작적 정의
3. 분석대상 자료의 범위 결정 및 표본의 추출
4. 분석내용의 범주 및 분석단위 결정
5. 신뢰도 검증
6. 자료 분석 및 해석
*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간도 분석단위가 된다. 또한 방송시간대는 언제였는지, 방송시간은 몇 분이 걸렸는지 등 시간단위도 분석단위가 되어 부호화할 수 있다.
III. 내용분석법의 절차
내용분석의 절차는 조사방법론의 일반적인 절차와 동일하다. 내용분석법에서 증요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문제의 선정
어떤 문제를 연구할 것인지 정한다.
2) 가설설정 및 조작적 정의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정하고 주된 용어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조작화 하는 단계이다.
3) 분석대상 자료의 범위 결정 및 표본의 추출
모집단이 될 모든 문서의 목록을 작성하고, 여기에서 표본을 추출한다. 대상이 되는 모든 문헌자료를 조사한다는 것은 시간적인 측면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표성을 지닌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한다.
4) 분석내용의 범주 및 분석단위 결정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내용의 범주를 결정하고 분석단위를 항. 문단 혹은 문장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결정하여야 한다.
5) 신뢰도 검증
분석대상이 일관되게 평가되었는지의 여부를 알기위해 신뢰도 검사를 실시한다. 신뢰도 검사란 측정을 반복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반복적으로 도출되는 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연구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초기 작업을 시작할 때부터 개인적 편견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여러 사람이 합일점을 찾아 부호화(coding)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6) 자료 분석 및 해석
범주 및 분석단위를 결정하면 실제 내용분석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내용을 부호화(coding)한 후 계량적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III. 내용분석법의 절차
내용분석의 절차는 조사방법론의 일반적인 절차와 동일하다. 내용분석법에서 증요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문제의 선정
어떤 문제를 연구할 것인지 정한다.
2) 가설설정 및 조작적 정의
검증하고자 하는 가설을 정하고 주된 용어를 계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조작화 하는 단계이다.
3) 분석대상 자료의 범위 결정 및 표본의 추출
모집단이 될 모든 문서의 목록을 작성하고, 여기에서 표본을 추출한다. 대상이 되는 모든 문헌자료를 조사한다는 것은 시간적인 측면이나 비용적인 측면에서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 따라서 대표성을 지닌 표본을 추출하여 조사한다.
4) 분석내용의 범주 및 분석단위 결정
연구목적에 부합하는 내용의 범주를 결정하고 분석단위를 항. 문단 혹은 문장으로 할 것인가에 대해서도 결정하여야 한다.
5) 신뢰도 검증
분석대상이 일관되게 평가되었는지의 여부를 알기위해 신뢰도 검사를 실시한다. 신뢰도 검사란 측정을 반복했을 때 동일한 결과가 반복적으로 도출되는 지 확인하는 작업이다. 그러므로 연구의 신뢰도 향상을 위해 초기 작업을 시작할 때부터 개인적 편견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여러 사람이 합일점을 찾아 부호화(coding) 작업을 실시하여야 한다.
6) 자료 분석 및 해석
범주 및 분석단위를 결정하면 실제 내용분석 작업을 실시하여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내용을 부호화(coding)한 후 계량적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여 연구문제를 검증한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키워드
추천자료
사회복지조사론
사회복지조사론 기말고사 예상문제 -명신 대학(사이버대학)
조사보고서 작성방법
[사회복지조사론] 관찰법과 내용분석 - 관찰의 의미와 내용 및 기록, 관찰법의 유형과 장단점...
질적연구방법의 의의와 필요성 및 질적연구과정과 질적연구방법의 종류
조사보고서 작성방법 - 조사보고서의 의의, 기능, 작성기준, 보고서의 유형, 조사보고서의 내용
사회복지조사론 - 내용분석법의 의의와 특징 및 범주, 내용분석법의 분석단위와 절차, 내용분...
[사회복지조사론] 질적 조사의 이해 - 질적 조사의 개념과 특징 및 장단점, 질적 조사의 절차...
[사회복지조사론] 프로그램평가조사 이론정리 (프로그램 평가의 목적, 중요성, 사전 고려사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