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콩팥과 신기능검사의 이해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정상 콩팥과 신기능검사의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콩팥의 구조와 기능

1. 콩팥의 구조

가. 해부학적 구조

나. 조직학적 구조 :
1) 콩팥소체(신소체, renal corpuscle)
2) 콩팥세관 :
가) 토리쪽곱슬세관(근위곡세관)
나) 헨레고리(Loop of Henle)
다) 먼쪽요세관(원위요세관)
라) 연결요세관(Connecting tubule)
마) 집합관(Collecting duct) 3) 콩팥사이질(Renal interstitium)
4) 혈관
5) 림프관
6) 신경

2. 콩팥의 기능

가. 소변의 형성
나. 콩팥혈류 및 토리여과율의 조절
다. 요세관의 재흡수 및 분비기능

3. 콩팥 요세관의 기능

가. 토리쪽요세관(근위요세관)
나. 헨레고리
다. 먼쪽요세관(원위요세관)
라. 집합관

Ⅱ. 콩팥 기능 검사


1. 소변검사와 신기능검사

가. 소변검사
1) 소변수집
2) 소변검사
가) 물리적 지표 : 색과 혼탁도, 냄새, 상대적 밀도
나) 화학적 지표 : 요 pH, 잠혈, 포도당, 단백질, 아질산
담즙색소, 케톤

다) 현미경 검사 : 검사방법, 세포 (적혈구, 백혈구, 대식세포, 콩팥요세관상피세포(renal tubular epithelial cell) , 요로상피세포(이행세포)(transitional cell), 편평 세포(squamous cell)
나. 신기능검사
1) 토리여과율
가) 측정방법
나) 추정방법 : 크레아티닌, 크레아티닌 청소율,토리여과율 추정공식 (Cockcraft and Gault 공 식, MDRD 공식, CKD-EPI 공식)혈청 cystatin C


2. 신질환의 영상의학적 검사

가. 단순촬영(KUB)
나. 경정맥 요로조영술(Intravenous urography, IVU)
다. 역행성 콩팥깔대기조영술(Retrograde pyelography, RGP)
라. 선행성 콩팥깔대기조영술(Antegrade pyelography, AGP)
마. 초음파검사(Ultrasonography) : 도플러초음파검사
바. 컴퓨터단층촬영(Computed tomography)
사.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3. 신질환의 핵의학적 검사

가. 방사성의약품나. 영상법
1) 동적콩팥스캔(Dynamic renal scan)
2) 이뇨콩팥스캔(Diuresis renal scan)
3) 앤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스캔(Captopril renal scan)
4) 콩팥겉질스캔(renal cortical scan)

4. 콩팥생검

가. 적응증
나. 콩팥생검 전 평가 및 금기
다. 콩팥생검의 합병증
1) 출혈
2) 통증
3) 동정맥루 형성
4) 고혈압 발생
5) 콩팥주위 감염
6) 주변 장기의 손상

본문내용

제 투여 여부를 결정하는 방법을 이용한다. 그러나, 이뇨제의 최대 효과가 15분 후에 나타나므로 방사성의약품 투여 15분 전에 미리 이뇨제를 투여하고 영상을 획득할 수도 있다.
▶ 최고 섭취 도달 시간, 이뇨제 주사 직전 방사능이 1/2로 감소하는 시간(반감기), 그래프의 기울기, 배설 시의 속도, 20분 섭취와 최고 섭취와의 비율 등을 평가해 볼 수 있다.
▶ 정상적으로 양측 콩팥은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아야 하며, 겉질이 균질하게 섭취되어야 한다. 콩팥의 기능이 떨어진 경우 섭취와 기능이 지연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상대적 기능이 45-55%를 벗어나는 경우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앤지오텐신전환효소억제제스캔(Captopril renal scan)
▶ 콩팥 혈관성 고혈압을 진단하기 위해서 캡토프릴과 같은 앤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ACEi)를 이용한 콩팥 스캔을 시행할 수 있다.
▶ 검사를 시행하기 전, ACEi, 칼슘 통로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CCB)의 복용을 중단하여야 하며,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고, 4시간 이상 금식을 유지하도록 한다. 검사는 기저 콩팥 스캔 후 이어서 ACEi 콩팥스캔을 시행하는 방법과, ACEi 콩팥 스캔을 먼저 시행 후 이상소견이 관찰되는 경우 기저 콩팥 스캔을 시행하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 정맥으로 ACEi가 투여되기 때문에 검사를 진행하는 동안 주사선을 확보해 두어야 하며, 주기적으로 혈압과 맥박수 등의 활력징후를 측정해야 한다.
4) 콩팥겉질스캔(renal cortical scan)
▶ 콩팥의 겉질에 결합하여 손상 부위를 찾아내는 검사법으로 99mTc-DMSA가 주로 사용된다. 방사성동위원소 투여 2-3시간 후, 대부분 누운 상태에서 후면상(posterior)/사면상(oblique)을 촬영하며, 마제신(Horseshoe Kidney)이나 이소신(Ectopoc kidney)이 의심되는 경우, 전면상 촬영을 한다.
▶ 주로 소아의 급성신우신염, 방광 요관역류 등에 의한 기능 감소 시, 치료 전후의 경과 관찰이나, 양측 콩팥의 기능을 정량화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된다. 급성신우신염에 의한 겉질 섭취 결손은 가역적이지만, 3-6개월 후에도 결손이 지속 되는 경우에는 반흔으로 진단한다.
4. 콩팥생검
콩팥질환의 확진을 위한 필수적인 검사법으로 병변의 활동성 및 만성적 변화정도를 파악할 수 있고, 치료 계획 수립의 근간이 되며, 예후 예측에도 매우 중요한 검사법이다.
가. 적응증
콩팥 생검의 적응증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으며, 임상의들은 콩팥증후군(nephrotic syndrome)처럼 확실하게 치료의 필요성을 느끼는 환자에서는 적극적으로 콩팥생검을 시행하지만 무 증상인 경우에 진단만을 목적으로 한 콩팥 생검에 대해서는 소극적이다.
<콩팥생검의 적응증>
콩팥증후군(nephrotic syndrome)
비-콩팥증후성 단백뇨(non-nephrotic proteinuria)
고립성 현미경적 혈뇨(isolated microscopic hematuria)
콩팥기능 저하를 동반한 전신질환(systemic disease with renal dysfunction)
원인 불명의 급성 콩팥손상(unexplained acute kidney injury)
원인 불명의 만성 콩팥질환(unexplained chronic kidney disease)
가족성 콩팥병(familial renal disease)
이식콩팥 기능저하(renal transplant dysfunction)
나. 콩팥생검 전 평가 및 금기
콩팥 생검으로 인해 환자가 위험에 처할 수 있거나 성공적으로 콩팥생검을 수행하는데 방해가 되는 요인들에 대한 평가가 생검 시행 전에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폐색이 없는 정상 크기의 양측 콩팥, 무균뇨, 조절되는 혈압, 출혈소인이 없을 것 등이 기본 조건이다. 이중 출혈소인 유무에 대해서는 자발적 출혈 및 수술 후 지혈곤란의 과거력, 출혈성 질환의 가족력, 항혈소판제나 항응고제와 같이 출혈 위험을 높이는 약제 복용 여부 등에 대해 자세한 병력조사가 이루어져야 한다
절대적 금기 :
조절되지 않은 고혈압
출혈성 소인
다발성 양측성 낭포
콩팥의 악성종양
수신증
비협조적 환자
상대적 금기 :
단일콩팥항혈소판제 또는 항응고제 복용
요로계의 해부학적 이상
위축콩팥
요로계 또는 피부의 활성 감염
심한 비만
다. 콩팥생검의 합병증
1) 출혈
▶출혈성 소인이 없는 경우에도 출혈이 주된 합병증이다. 환자의 생체 활력징후를 감시하고 헤모글로빈 검사를 반복 검사한다. 환자는 콩팥생검 후 최소한 6-8시간 동안 바로 누운 자세로 침상에서 절대 안정을 취하도록 하며, 24시간까지 침상안정이 권장된다.
▶ 출혈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혈압은 140/90mmHg 미만으로 유지한다. 콩팥생검 후 출혈성 합병증의 감시 기간은 최소 12시간 이상, 가능하면 24시간까지 관찰하도록 권장된다.
▶ 콩팥생검 후 출혈이 발생하면 요관 폐색이 동반될 수 있고, 콩팥피막하 출혈은 콩팥실질의 압박과 동통을 유발할 수 있으며, 콩팥주위의 출혈은 혈종을 형성하며 출혈양이 많은 경우가 많아 헤모글로빈 감소가 동반된다.
2) 통증
콩팥생검 후 12시간 이상 지속되는 통증은 출혈성 합병증과 관련이 있다.
3) 동정맥루 형성
콩팥생검 부위에 인접한 동맥 및 정맥의 혈관벽 손상에 의해 발생하며
4-18%에서 발생한다. 대개 임상적으로 증상이 없고, 1-2년 사이에 저절로 없어지나 일부에서 육안적 혈뇨, 저혈압, 고박출심부전 등을 초래하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카테터경유 동정맥색전술 등을 통해 치료할 수 있다.
4) 고혈압 발생
드문 합병증으로 큰 피막하혈종이 동반된 경우에서 나타날 수 있다.
5) 콩팥주위 감염
콩팥에 활성 감염이 있는 환자에서 발생한다.
6) 주변 장기의 손상
드물게 생검침에 의해 간, 췌장, 비장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문헌]
▶ 대한신장학회. (2015). 임상신장학. (1쇄). 군자출판사.
▶ Floege et al. (2010). Comprehensive Clinical Nephrology. (4th).
ELSEVIER

키워드

  • 가격3,5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20.09.10
  • 저작시기202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1356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