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일사례설계의 결과분석
I. 시각적 분석
II. 통계적 분석
1. 평균 비교
2. 경향선 분석
* 참고문헌
I. 시각적 분석
II. 통계적 분석
1. 평균 비교
2. 경향선 분석
*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일 때 개입의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인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는 이항분포표를 사용하여 파악할 수 있다.
이항분포표는 기초선 단계와 유의한 차이가 있으려면 개입 단계의 전체 측정값 N개중 몇 개의 값이 바람직한 구간에 있어야 하는지를 보여 준다. 이 사례의 경우, 기초선 단계에서는 전체 6개의 측정값 중 2개가 경향선 아래 있으므로 그 비율(P)은 .33이고, 개입 단계의 전체 측정값은 6개다. 따라서 개입 단계에서 바람직한 구간에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필요값은 이항분포표 왼쪽의 표본수 N의 값, 6과 맨 윗줄의 P값, .33이 만나는 지점의 값, 즉 5개다. 이 사례에서는 개입 단계의 전체 측정값 6개가 모두 경향선 아래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라고 하겠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이항분포표는 기초선 단계와 유의한 차이가 있으려면 개입 단계의 전체 측정값 N개중 몇 개의 값이 바람직한 구간에 있어야 하는지를 보여 준다. 이 사례의 경우, 기초선 단계에서는 전체 6개의 측정값 중 2개가 경향선 아래 있으므로 그 비율(P)은 .33이고, 개입 단계의 전체 측정값은 6개다. 따라서 개입 단계에서 바람직한 구간에 있어야 하는 최소한의 필요값은 이항분포표 왼쪽의 표본수 N의 값, 6과 맨 윗줄의 P값, .33이 만나는 지점의 값, 즉 5개다. 이 사례에서는 개입 단계의 전체 측정값 6개가 모두 경향선 아래 있으므로 이러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이라고 하겠다.
* 참고문헌
사회복지의 이해 : 윤찬영 저, 정민사, 2017
한국 사회복지실천과 복지경영 : 최성균/이준우 저, 파란마음, 2017
사회복지 사례관리 : 이채석 저, 어가, 2017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 최선화, 박광준 외 3명 저, 양서원, 2014
사회복지 행정실무 : 이세형 저, 양성원, 2017
사회복지행정의 이해 : 강종수 저, 학지사, 2019
사회복지서비스 : 한국산업인력공단, 진한엠앤비, 2015
사회복지정책입문 : 김태성 저, 청목출판사, 2018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지역사회복지와 사회복지시설 : 이병록 저, 청목출판사, 2007
사회복지조사방법론 : 최창현, 황민철 저, 윤성사, 2018
사회복지실천론 : 이영분/김기환 등 저, 동인, 201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