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급식소 개요
2) 메뉴
3) 위생관리
(1) 개인 위생
(2) 식재료 위생
(3) 조리시 위생
4) 조리기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급식소 개요
2) 메뉴
3) 위생관리
(1) 개인 위생
(2) 식재료 위생
(3) 조리시 위생
4) 조리기기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상호 교차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구분되어 사용될 것(어패 , 육류/야채류, 조리 전 식품/ 조리 후 식품). . 보관 장소는 1일 1회 정기적으로 청소 및 소독 될 것 . 보관고의 온도는 적절하게 유지, 관리될 것(냉동고: -18℃ 이하, 냉장고: 4℃ 이하).
. 식재료는 1일 또는 휴일 포함일 경우 2일 사용량을 구입하여 사용하며, 남은 식재료는 3일 이상 보관 하지 말 것(냉동 재료 및 통조림, 곡류,양념류 예외). . 보관된 식재료는 선입선출 방법을 적용 출고하고 입고 날짜를 명확하게 표시할 것 . 모든 식재료는 청결한 포장 및 용기에 밀봉상태로 보관한다. . 부패, 변질된 식재료 발견 시, 즉시 폐기하고 보관되었던 장소는 깨끗이 소독한다.
⑶ 조리 시 위생
. 조리 전에 반드시 손과 사용 용기를 깨끗이 씻은 다음 조리에 임하여야 한다. . 조리된 식품은 조리 이전의 원료와 접촉하여서는 안 된다. . 차가운 음식을 조리 할 때는 냉장된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하고 즉시 냉장 보관한다. . 가급적 실온에서 오랜 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소량씩 조리한다. . 조리된 음식을 보관할 때는 청결한 밀폐된 용기를 이용하여 보관, 관리한다.
. 식중독 발생 시 원인규명 및 적절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보존식을 보관한다. . 보존식은 조리한 음식 1인 분량을 보존식 냉동고에 144시간 동안 보관한다.
4) 조리기기
. 따듯한 물에 애벌세척 후 적정량의 세제를 풀고 문질러 씻은후 흐르는물에 재차 수세미질 한 후 깨끗이 헹군 다음 전기 소독에 넣는다
. 도마와 칼은 야채류, 생선, 육류용을 구분하여 사용하여 2차 감염을 방지한다.
도마와 칼은 사용후 약제소독 및 세척하여 건조시켜, 전용소독고에 보관한다.
. 조리용 소도구및 행주는 사용 후 깨끗이 삶아 건조시켜 사용한다.
. 작업대는 사용 후 매회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 냉장고 및 냉동고는 매일 3회 이상 온도를 기록하고 관리하고 세척한다.
. 일반쓰레기는 종류별로 분리수거(비닐포함) 한다. . 조리장 전역에는 내수성 재질의 뚜껑이 있는 쓰레기통을 사용한다.
Ⅲ. 결론
영유아 경우 성장기이고 면역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음식재료의 신선도에도 신경을 써야 하며 급식메뉴에 영유아가 섭취해야 할 영양소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짜야하며,어린이집 조리실은 유아의 식사와 간식 및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므로 매일 청소와 소독을 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식중독과 질병을 예방함이 가장 중요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자주 환기하는 등 쾌적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해야 하며 유아들이 감염병(: 배탈, 설사, 구내염 등)에 감염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매우 중요함을 이번 과제물을 통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Ⅳ. 참고 문헌
- 양일선, 윤지현 (2011) 단채급식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대한영양사협회 (2007) 급식관리지침서 1& 2
곽동경 외 12명 (2015) 단체급식의 이해, 신광출판사
보건복지부 (2015) 201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대한영양사회 (1996) 위생관리 지침서 I
. 식재료는 1일 또는 휴일 포함일 경우 2일 사용량을 구입하여 사용하며, 남은 식재료는 3일 이상 보관 하지 말 것(냉동 재료 및 통조림, 곡류,양념류 예외). . 보관된 식재료는 선입선출 방법을 적용 출고하고 입고 날짜를 명확하게 표시할 것 . 모든 식재료는 청결한 포장 및 용기에 밀봉상태로 보관한다. . 부패, 변질된 식재료 발견 시, 즉시 폐기하고 보관되었던 장소는 깨끗이 소독한다.
⑶ 조리 시 위생
. 조리 전에 반드시 손과 사용 용기를 깨끗이 씻은 다음 조리에 임하여야 한다. . 조리된 식품은 조리 이전의 원료와 접촉하여서는 안 된다. . 차가운 음식을 조리 할 때는 냉장된 재료를 사용하여 조리하고 즉시 냉장 보관한다. . 가급적 실온에서 오랜 시간 방치하지 않도록 소량씩 조리한다. . 조리된 음식을 보관할 때는 청결한 밀폐된 용기를 이용하여 보관, 관리한다.
. 식중독 발생 시 원인규명 및 적절한 대응책 마련을 위해 보존식을 보관한다. . 보존식은 조리한 음식 1인 분량을 보존식 냉동고에 144시간 동안 보관한다.
4) 조리기기
. 따듯한 물에 애벌세척 후 적정량의 세제를 풀고 문질러 씻은후 흐르는물에 재차 수세미질 한 후 깨끗이 헹군 다음 전기 소독에 넣는다
. 도마와 칼은 야채류, 생선, 육류용을 구분하여 사용하여 2차 감염을 방지한다.
도마와 칼은 사용후 약제소독 및 세척하여 건조시켜, 전용소독고에 보관한다.
. 조리용 소도구및 행주는 사용 후 깨끗이 삶아 건조시켜 사용한다.
. 작업대는 사용 후 매회 세제를 이용하여 세척한다. . 냉장고 및 냉동고는 매일 3회 이상 온도를 기록하고 관리하고 세척한다.
. 일반쓰레기는 종류별로 분리수거(비닐포함) 한다. . 조리장 전역에는 내수성 재질의 뚜껑이 있는 쓰레기통을 사용한다.
Ⅲ. 결론
영유아 경우 성장기이고 면역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음식재료의 신선도에도 신경을 써야 하며 급식메뉴에 영유아가 섭취해야 할 영양소가 골고루 분배될 수 있도록 짜야하며,어린이집 조리실은 유아의 식사와 간식 및 조리가 이루어지는 곳이므로 매일 청소와 소독을 하고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관리하여 식중독과 질병을 예방함이 가장 중요한 문제일 뿐만 아니라 자주 환기하는 등 쾌적하고 청결한 환경을 유지해야 하며 유아들이 감염병(: 배탈, 설사, 구내염 등)에 감염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매우 중요함을 이번 과제물을 통해서 더욱더 자세히 알게되었습니다,
Ⅳ. 참고 문헌
- 양일선, 윤지현 (2011) 단채급식관리, 한국방송통신대학출판부
대한영양사협회 (2007) 급식관리지침서 1& 2
곽동경 외 12명 (2015) 단체급식의 이해, 신광출판사
보건복지부 (2015) 2015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대한영양사회 (1996) 위생관리 지침서 I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