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별 이야기
가. 천체로서의 별
나. ‘별’과 관련된 단어
다. 그 외 ‘별’과 관련된 단어
2. ‘달’ 이야기
가. 모양에 따른 달
나. 뜨는 시기에 따른 ‘달’
Ⅲ. 결론
3. 그 외 ‘달’과 관련된 단어
Ⅱ. 본론
1. 별 이야기
가. 천체로서의 별
나. ‘별’과 관련된 단어
다. 그 외 ‘별’과 관련된 단어
2. ‘달’ 이야기
가. 모양에 따른 달
나. 뜨는 시기에 따른 ‘달’
Ⅲ. 결론
3. 그 외 ‘달’과 관련된 단어
본문내용
방(房)ㆍ심(心)ㆍ미(尾)ㆍ기(箕), 북쪽에는 두(斗)ㆍ우(牛)ㆍ여(女)ㆍ허(虛)ㆍ위(危)ㆍ실(室)ㆍ벽(壁), 서쪽에는 규(奎)ㆍ누(婁)ㆍ위(胃)ㆍ묘(昴)ㆍ필(畢)ㆍ자()ㆍ삼(參), 남쪽에는 정(井)ㆍ귀(鬼)ㆍ유(柳)ㆍ성(星)ㆍ장(張)ㆍ익(翼)ㆍ진(軫)이 있다.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인데, 그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으로 모두 한자어이다. 그리고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또한 ‘구성(九星)’이라고 하여 탐랑성, 거문성, 녹존성, 문곡성, 염정성, 무곡성, 파군성, 좌보성, 우필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도 있다. 이런 말에 해당하는 고유어가 과연 없었을까?
일상생활에서 ‘한별’, ‘꽃별’, ‘햇별’ 등은 한 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말들은 어느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별’은 ‘큰’을 뜻하는 접두사 ‘한-’, ‘햇별’의 ‘햇-’은 ‘당해에 난’, ‘얼마되지 않은’을 뜻하는 접두사 ‘햇-’이 결합한 말로 보인다. 충분히 가능한 말이다. ‘새별’, ‘여우별’, ‘은별’ 등도 마찬가지다.
[부록] 단어별 사전 등재 여부
낱말
<금성>
<민중>
<새우리말>
<표준>
<큰사전>
<조선말>
개밥바라기
○
○
○
○
○
○
개밥바라기별
×
×
×
×
→개밥바라기
○
개밥바라지
×
×
×
×
×
<조선말>(07)
거지별
×
×
×
×
×
×
겹별
×
×
×
×
○
×
겹침별
×
×
×
×
×
×
금별
×
×
○
○
○
×
길쓸별
×
×
×
○
×
×
길잡이별
×
×
×
×
×
○
까막별
×
×
→살별
○
○
○
꼬리별
○
○
×
○
○
○
꼬마별
×
×
×
×
×
○
꽁지별
→살별
→살별
→살별
○
○
○
난쟁이별
×
×
×
×
늑대별
○
○
○
○
○
×
달별
○
○
○
○
○
×
닻별
○
○
○
○
○
×
동무별
×
×
×
×
×
×
두별
×
×
×
×
○
×
따름별
×
×
×
×
×
○
떠돌이별
○
○
○
○
○
×
떼별
×
×
×
×
○
×
무저울
○
○
○
○
○
○
뭇별
×
○
○
○
○
○
바깥떠돌이별
×
×
×
×
○
×
별가까운점
×
×
×
×
×
<조선말>(07)
별가족
×
×
×
×
×
<조선말>(07)
별구름
×
×
×
×
○
○
별꽃
×
×
×
×
×
○
별나라
○
어린이 말
○
○
○
○
별따기
×
×
×
×
×
○
별떼
×
×
×
×
○
○
별똥=별똥별
유성
○
○
○
○
별찌
별먼점
×
×
×
×
×
<조선말>(07)
별무더기
×
×
×
×
×
×
별무리
×
×
×
×
×
○
별바다
×
×
○
○
×
○
별발
×
×
×
×
×
×
별밤
×
×
×
○
○
×
별밭
×
×
×
×
×
×
별보라
×
×
×
×
×
○
별빛
○
○
○
○
○
○
별살
×
×
×
×
×
○
별세계
×
×
×
×
×
○
별세기
×
×
×
×
×
○
별송이
×
×
×
×
×
×
별숲
○
○
×
○
×
○
별시계
○
○
○
○
○
<조선말>(07)
별자리
○
○
○
○
○
○
별점
×
○
×
○
○
×
별점쟁이
×
×
×
○
별점장이
×
별점치기
×
×
×
○
○
<조선말>(07)
별찌
×
×
→별똥
×
→별똥
○
별하늘
×
×
×
○
×
○
붙박이별
○
○
○
○
○
×
살별
○
○
○
○
○
○
살차다
○
○
×
○
○
○
새벽별
→샛별
→샛별
→샛별
→샛별
→샛별
○
새별
×
○
×
×
×
○
샛별
○
○
○
○
○
○
손님별
×
×
×
×
×
<조선말>(07)
신틀아비
×
×
×
○
○
×
싸락별
×
×
×
×
×
○
아기별
×
○
○
○
○
=애기별
안떠돌이별
×
×
×
×
○
×
안뜨는별
×
×
×
×
×
○
어둠별
○
○
○
○
○
○
여우별
×
×
×
×
×
×
왕별
전체
×
×
×
×
×
○
크기
×
○
×
○
×
×
비유
×
×
×
○
○
○
으뜸별
×
×
×
×
○
×
은별
×
×
×
×
○
×
작은곰별
○
○
×
○
○
×
작은떠돌이별
×
×
×
×
○
×
잔별
크기
○
○
○
○
○
○
천체
×
×
×
×
×
○
저녁샛별
○
○
○
○
○
좀생이별
좀생이
좀생이
좀생이
○
○
좀생이
짚신할아비
○
○
○
○
○
○
짝별
×
×
×
○
○
×
찬별
×
×
×
×
×
○
큰곰별
○
○
○
○
○
×
큰떠돌이별
○
○
×
○
○
×
큰새별
×
×
×
×
×
○
큰왕별
×
×
×
×
×
○
퉁별
×
×
×
×
×
○
해달별
×
×
×
×
○
×
갈고리달
○
○
○
○
○
갈구리달, 갈구렁그믐달, 갈구렁달
눈썹달
×
×
×
○
○
눈섭달
둥근달
×
×
×
○
○
○
반달
○
○
○
○
○
○
얼레달
×
×
×
×
×
○
외쪽달
×
×
×
×
×
○
조각달
○
○
○
○
○
쪼각달, 쪽달
쪽배달
×
×
×
×
×
○
가을달
○
○
○
×
○
○
그믐달
○
○
○
○
○
○
그믐반달
×
×
○
○
○
○
낮달
×
×
×
○
×
×
늦달
×
×
×
○
×
○
보름달
○
○
○
○
○
○
봄달
×
×
×
○
×
○
새벽달
○
○
○
○
○
○
온달
○
○
○
○
○
○
옹근달
×
×
×
×
×
○
으스름달
○
○
○
○
○
○
어스름달
×
×
×
×
→으스름달
○
으스름달밤
○
○
○
○
○
○
저녁달
×
×
×
○
○
○
지새는달
○
○
○
○
○
×
초승달
○
○
=초생달
○
=초생달
=초생달
초저녁달
○
○
○
○
○
=애저녁달
달고리
×
×
×
○
○
달구경
×
×
×
○
×
×
달그림자
×
×
×
○
×
○
달기둥
×
×
×
○
×
×
달길
×
×
×
×
×
○
달꼴
○
○
○
○
○
×
달나라
○
○
○
○
○
○
달나이
×
×
×
○
○
○
달낯
×
×
×
×
×
○
달넘이
×
×
○
○
○
×
달덩이
×
○
×
=달덩어리
×
=달덩어리
달돋이
×
×
=달뜨기
○
○
=달뜨기
달맞이
○
○
○
○
○
○
달무늬
○
○
○
○
○
○
달무리
○
○
○
○
○
○
달물결
×
×
×
×
×
○
달빛
○
○
○
○
○
○
달안개
×
×
×
○
×
×
달저녁
×
×
×
×
○
○
옥토끼
○
○
○
○
○
○
윤슬
×
×
×
○
○
×
은결
○
○
○
○
○
○
‘북두칠성’은 큰곰자리에서 국자 모양을 이루며 가장 뚜렷하게 보이는 일곱 개의 별인데, 그 이름은 각각 천추(天樞), 천선(天璇), 천기(天璣), 천권(天權), 옥형(玉衡), 개양(開陽), 요광(搖光)으로 모두 한자어이다. 그리고 앞의 네 별을 괴(魁), 뒤의 세 별을 표(杓)라 하고 합하여 두(斗)라 한다. 또한 ‘구성(九星)’이라고 하여 탐랑성, 거문성, 녹존성, 문곡성, 염정성, 무곡성, 파군성, 좌보성, 우필성을 통틀어 이르는 말도 있다. 이런 말에 해당하는 고유어가 과연 없었을까?
일상생활에서 ‘한별’, ‘꽃별’, ‘햇별’ 등은 한 번쯤 들어 봤을 것이다. 그런데 이 말들은 어느 사전에도 등재되어 있지 않다. ‘한별’은 ‘큰’을 뜻하는 접두사 ‘한-’, ‘햇별’의 ‘햇-’은 ‘당해에 난’, ‘얼마되지 않은’을 뜻하는 접두사 ‘햇-’이 결합한 말로 보인다. 충분히 가능한 말이다. ‘새별’, ‘여우별’, ‘은별’ 등도 마찬가지다.
[부록] 단어별 사전 등재 여부
낱말
<금성>
<민중>
<새우리말>
<표준>
<큰사전>
<조선말>
개밥바라기
○
○
○
○
○
○
개밥바라기별
×
×
×
×
→개밥바라기
○
개밥바라지
×
×
×
×
×
<조선말>(07)
거지별
×
×
×
×
×
×
겹별
×
×
×
×
○
×
겹침별
×
×
×
×
×
×
금별
×
×
○
○
○
×
길쓸별
×
×
×
○
×
×
길잡이별
×
×
×
×
×
○
까막별
×
×
→살별
○
○
○
꼬리별
○
○
×
○
○
○
꼬마별
×
×
×
×
×
○
꽁지별
→살별
→살별
→살별
○
○
○
난쟁이별
×
×
×
×
늑대별
○
○
○
○
○
×
달별
○
○
○
○
○
×
닻별
○
○
○
○
○
×
동무별
×
×
×
×
×
×
두별
×
×
×
×
○
×
따름별
×
×
×
×
×
○
떠돌이별
○
○
○
○
○
×
떼별
×
×
×
×
○
×
무저울
○
○
○
○
○
○
뭇별
×
○
○
○
○
○
바깥떠돌이별
×
×
×
×
○
×
별가까운점
×
×
×
×
×
<조선말>(07)
별가족
×
×
×
×
×
<조선말>(07)
별구름
×
×
×
×
○
○
별꽃
×
×
×
×
×
○
별나라
○
어린이 말
○
○
○
○
별따기
×
×
×
×
×
○
별떼
×
×
×
×
○
○
별똥=별똥별
유성
○
○
○
○
별찌
별먼점
×
×
×
×
×
<조선말>(07)
별무더기
×
×
×
×
×
×
별무리
×
×
×
×
×
○
별바다
×
×
○
○
×
○
별발
×
×
×
×
×
×
별밤
×
×
×
○
○
×
별밭
×
×
×
×
×
×
별보라
×
×
×
×
×
○
별빛
○
○
○
○
○
○
별살
×
×
×
×
×
○
별세계
×
×
×
×
×
○
별세기
×
×
×
×
×
○
별송이
×
×
×
×
×
×
별숲
○
○
×
○
×
○
별시계
○
○
○
○
○
<조선말>(07)
별자리
○
○
○
○
○
○
별점
×
○
×
○
○
×
별점쟁이
×
×
×
○
별점장이
×
별점치기
×
×
×
○
○
<조선말>(07)
별찌
×
×
→별똥
×
→별똥
○
별하늘
×
×
×
○
×
○
붙박이별
○
○
○
○
○
×
살별
○
○
○
○
○
○
살차다
○
○
×
○
○
○
새벽별
→샛별
→샛별
→샛별
→샛별
→샛별
○
새별
×
○
×
×
×
○
샛별
○
○
○
○
○
○
손님별
×
×
×
×
×
<조선말>(07)
신틀아비
×
×
×
○
○
×
싸락별
×
×
×
×
×
○
아기별
×
○
○
○
○
=애기별
안떠돌이별
×
×
×
×
○
×
안뜨는별
×
×
×
×
×
○
어둠별
○
○
○
○
○
○
여우별
×
×
×
×
×
×
왕별
전체
×
×
×
×
×
○
크기
×
○
×
○
×
×
비유
×
×
×
○
○
○
으뜸별
×
×
×
×
○
×
은별
×
×
×
×
○
×
작은곰별
○
○
×
○
○
×
작은떠돌이별
×
×
×
×
○
×
잔별
크기
○
○
○
○
○
○
천체
×
×
×
×
×
○
저녁샛별
○
○
○
○
○
좀생이별
좀생이
좀생이
좀생이
○
○
좀생이
짚신할아비
○
○
○
○
○
○
짝별
×
×
×
○
○
×
찬별
×
×
×
×
×
○
큰곰별
○
○
○
○
○
×
큰떠돌이별
○
○
×
○
○
×
큰새별
×
×
×
×
×
○
큰왕별
×
×
×
×
×
○
퉁별
×
×
×
×
×
○
해달별
×
×
×
×
○
×
갈고리달
○
○
○
○
○
갈구리달, 갈구렁그믐달, 갈구렁달
눈썹달
×
×
×
○
○
눈섭달
둥근달
×
×
×
○
○
○
반달
○
○
○
○
○
○
얼레달
×
×
×
×
×
○
외쪽달
×
×
×
×
×
○
조각달
○
○
○
○
○
쪼각달, 쪽달
쪽배달
×
×
×
×
×
○
가을달
○
○
○
×
○
○
그믐달
○
○
○
○
○
○
그믐반달
×
×
○
○
○
○
낮달
×
×
×
○
×
×
늦달
×
×
×
○
×
○
보름달
○
○
○
○
○
○
봄달
×
×
×
○
×
○
새벽달
○
○
○
○
○
○
온달
○
○
○
○
○
○
옹근달
×
×
×
×
×
○
으스름달
○
○
○
○
○
○
어스름달
×
×
×
×
→으스름달
○
으스름달밤
○
○
○
○
○
○
저녁달
×
×
×
○
○
○
지새는달
○
○
○
○
○
×
초승달
○
○
=초생달
○
=초생달
=초생달
초저녁달
○
○
○
○
○
=애저녁달
달고리
×
×
×
○
○
달구경
×
×
×
○
×
×
달그림자
×
×
×
○
×
○
달기둥
×
×
×
○
×
×
달길
×
×
×
×
×
○
달꼴
○
○
○
○
○
×
달나라
○
○
○
○
○
○
달나이
×
×
×
○
○
○
달낯
×
×
×
×
×
○
달넘이
×
×
○
○
○
×
달덩이
×
○
×
=달덩어리
×
=달덩어리
달돋이
×
×
=달뜨기
○
○
=달뜨기
달맞이
○
○
○
○
○
○
달무늬
○
○
○
○
○
○
달무리
○
○
○
○
○
○
달물결
×
×
×
×
×
○
달빛
○
○
○
○
○
○
달안개
×
×
×
○
×
×
달저녁
×
×
×
×
○
○
옥토끼
○
○
○
○
○
○
윤슬
×
×
×
○
○
×
은결
○
○
○
○
○
○
추천자료
한글이름의 유용성
예술에 있어 만다라의 상징과 치유적 의미에 관한 연구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특징, 고사성어(사자성어, 한자성어)사례(ㄱ~ㄷ), 고사성어(사...
속담(격언, 명언) 정의, 속담(격언, 명언) 기능, 속담(격언, 명언) 관용표현 사례, 과학적 속...
우리말순화(국어순화)의 정의와 역사, 우리말순화(국어순화) 중요성, 우리말순화(국어순화) ...
[히브리][헤브라이]히브리 법사상(헤브라이 법사상), 히브리 미술(헤브라이즘, 헤브라이 미술...
한글(우리글, 우리말, 한국어)의 역사와 지위, 한글(우리글, 우리말, 한국어)의 맞춤법, 한글...
[수업지도안] 바른 말 좋은 글
2020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글쓰기 기말시험] 그러고 나서/그리고 나서, 초생달/초승달, 떡볶...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