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한글이름의 유용성
1. 서론
2. 한글 이름의 역사
3. 한글 이름의 대표적인 보기
4. 한글 이름의 장점
5. 한글 이름의 짓는 방법
6. 한글 이름의 짓는 방향
7. 우리나라의 성(姓)
8. 결론
1. 서론
2. 한글 이름의 역사
3. 한글 이름의 대표적인 보기
4. 한글 이름의 장점
5. 한글 이름의 짓는 방법
6. 한글 이름의 짓는 방향
7. 우리나라의 성(姓)
8. 결론
본문내용
)
한글이름을 지을 때 주의할 점은 '성'과의 어울림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이름만 좋은 것을 찾으면 곤란하다. 또 소리만 아름답고 뜻은 없는 이름을 짓는 경우도 있다. 우리말글이 소리글자이기는 하지만 이름에는 어느정도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름
뜻
단비 - 찬비
'비'의 돌림으로 때마침 내리는 시원한 비
마루 - 마리
마루는 으뜸이라는 뜻이고, 마리는 머리라는 뜻의 옛말
맑음 - 밝음
맑고 밝게 자람
맘껏 - 한껏
비슷한 의미의 두 단어에 '껏'의 돌림말을 씀
머루 - 다래
청산별곡의 '머루랑 다래랑 먹고'에서 따옴
민들레-진달래
들레와 달래의 발음이 비슷함
바름 - 고듬
바르다와 곧다의 명사형
버들 - 한들
버들잎이 한들한들거리는 모양, '들'이 돌림으로 쓰임
별나 - 신나
유별나다와 산나다에서 따옴. '나'는 돌림
별아기-달아기
별과 같은 아기, 달과 같은 아기
보람 -우람
각각 좋은 뜻을 가지고 있고, '람'의 돌림말
새롬 - 아롬
'롬'의 돌림으로 새롬은 새로움, 아롬은 아름다움의 줄인 꼴
새별 - 한별
새로운 별과 큰 별이라는 뜻
새봄 - 늘봄
봄의 새로운이 언제나 계속되기를 바람
소리 - 모아
말을 이으면 소리를 모은다는 뜻
아롱 - 다롱
아롱다롱하다에서 따옴
아름 - 예름
아름답다와 예쁘다의 뜻을 지님
여울 - 너울
'울'의 돌림
7.우리나라의 성(姓)
우리의 이름을 이야기 하는데 있어서 성을 빼놓고 이야기 할 수는 없다. 한글 이름의 유용성에 대해 논하는 마당에서 성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은 주제에서 벗어나는 감이 있으나 한글이름이 진정 아름다운 이름이 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성과의 조화도 상당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뿌리, 족보, 가문 등의 이름으로 예전부터 중요시 해온 성(姓)에 잠깐 알아보고자 한다.
(1) 우리나라의 성(姓)씨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성씨가 250성으로 나오고 1960년 국세조사에서는 258개 성으로 나왔다. 1985년 인구 및 주택센서스에서는 274게의 성씨로 보고 되었다. 일제 식민 통치하에서 일본식 이름으로 고치라며 1939년에 시행한 창씨개명은 1945년 해방과 1946년 10월23일 미군정이 공포한 조선성명 복구령에 따라 이름을 다시 찾을 때까지 우리나라 성씨 역사의 큰 수난기였다. 국제화 시대를 맞아 외국인의 귀화등으로 새로운 성씨와 본관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100명이상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성씨는 275개성, 본관은 3349개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250여성, 15세기 동국여지승람에는 277성으로 늘었다. 중국등 외국에서 귀화해 사성한 이들이 있었던 까닭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조까지 존재한 성씨는 모두 496성으로 많은 씨족이 성을 바꿨거나 소멸한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성씨는 11969개, 일본은 27만여개로 추정한다. 중국은 약 44배, 일본은 약 100배의 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땅덩이와 인구는 성씨와 큰 관련이 없고 비례하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우리나라 성씨의 역사
우리나라 성은 중국의 한자 문화가 유입된뒤에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등을 성으로 삼았다
조선 초기 성은 양민에게 까지도 보편화 되었으나 노비와 천민 계급등은 조선 후기까지도 성을 쓸 수가 없었다. 그러나 1909년 새로운 민적법이 시행되면서 어느 누구라도 성과 본을 가지도록 법제화가 되면서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성을 취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때응 기회로 성이 없던 사람에게 본인의 희망에 따라 호적을 담당한 동서기나 경찰이 마음데로 성을 지어 주기도 하고 머슴의 경우 자기 주인의 성과 본관을 따르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명문 집안의 성씨를 모방하여 성을 정하였다. 그러므로 성씨의 종류수가 더욱 늘어났다. 따라서 1930년 국세조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성씨가 많아졌다. 우리나라 성의 수를 살펴보면
. 1486년에 (성종) 편찬한 국여지승람에는 277성
. 영조 (21대)때 이의현이 편찬한 도곡총설에는 298성
. 1908년(고종)에 발간된 증보문헌비고에는 496성으로 되어있으나
. 1960년국세조사에서는 258성으로 기록되었다.
. 그리고 최근의 조사인 1985년 인구 및 주택센서스에서는 274개의 성씨로 보고 되었다.
(3)우리나라 성씨별 인구순위
) http://www.bohwan.co.kr/main/main_02_02.asp#24
8. 결론
지금까지 한글이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글이름의 장점을 요약하자면 첫째, 한글이름은 적기 쉽고 알기 쉽다. 적기 어려운 한자 대신 쓰기 좋고 모양 좋은 한글이름으로 누리를 밝힌다.
둘째, 한글이름은 외우기 쉽다. 힘찬아, 봄메야 하고 부를 때 부르는 사람은 자연하 그 이름의 뜻까지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뜻을 담을 한글이름이 뜻을 담지 않은 이름보다 외우기 좋을 것을 당연하다.
셋째, 한글이름은 뜻이 잘 살아 있다.
넷째, 한글이름은 소리가 밝고 부드러운 것이 많아. 누리를 밝힌다. 이름에 담긴 좋은 뜻의 탓일 수도 있겠지만, 소리의 아름다움을 살린 이름들이라 더욱 그렇다.
다섯째, 오누이의 정도 깊게 한다. 어떤 규칙으로 지으면 어떤 다정함이 한층 더 오갈 것이 다. 듣는 사람에게 다정함과 정겨움과 친밀함을 주는 이 한 마디 말의 값어치를 어디에 비길 것인가.
이처럼 한글이름은 우리의 누리를 밝혀나가는 등불이 된다. 그러므로 일본의 소산물인 중국어 즉 한자를 우리나라 말처럼 많이 애용하는 것은 마땅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긍지인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것이 나의 조그마한 바램이다.
참고 자료
한글물결 http://chunma.yeungnam.ac.kr/~hangeul/
한글이름 만들기 http://commir.wo.to/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http://www.hanmalgeul.org/
보완작명철학연구원http://www.bohwan.co.kr
인터넷 강의실-한국인의 성씨와 족보 http://www.kangnam.ac.kr/~sshong/me/me4.htm
한글이름을 지을 때 주의할 점은 '성'과의 어울림을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성은 전혀 생각하지 않고 이름만 좋은 것을 찾으면 곤란하다. 또 소리만 아름답고 뜻은 없는 이름을 짓는 경우도 있다. 우리말글이 소리글자이기는 하지만 이름에는 어느정도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름
뜻
단비 - 찬비
'비'의 돌림으로 때마침 내리는 시원한 비
마루 - 마리
마루는 으뜸이라는 뜻이고, 마리는 머리라는 뜻의 옛말
맑음 - 밝음
맑고 밝게 자람
맘껏 - 한껏
비슷한 의미의 두 단어에 '껏'의 돌림말을 씀
머루 - 다래
청산별곡의 '머루랑 다래랑 먹고'에서 따옴
민들레-진달래
들레와 달래의 발음이 비슷함
바름 - 고듬
바르다와 곧다의 명사형
버들 - 한들
버들잎이 한들한들거리는 모양, '들'이 돌림으로 쓰임
별나 - 신나
유별나다와 산나다에서 따옴. '나'는 돌림
별아기-달아기
별과 같은 아기, 달과 같은 아기
보람 -우람
각각 좋은 뜻을 가지고 있고, '람'의 돌림말
새롬 - 아롬
'롬'의 돌림으로 새롬은 새로움, 아롬은 아름다움의 줄인 꼴
새별 - 한별
새로운 별과 큰 별이라는 뜻
새봄 - 늘봄
봄의 새로운이 언제나 계속되기를 바람
소리 - 모아
말을 이으면 소리를 모은다는 뜻
아롱 - 다롱
아롱다롱하다에서 따옴
아름 - 예름
아름답다와 예쁘다의 뜻을 지님
여울 - 너울
'울'의 돌림
7.우리나라의 성(姓)
우리의 이름을 이야기 하는데 있어서 성을 빼놓고 이야기 할 수는 없다. 한글 이름의 유용성에 대해 논하는 마당에서 성에 대한 언급을 하는 것은 주제에서 벗어나는 감이 있으나 한글이름이 진정 아름다운 이름이 되기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성과의 조화도 상당한 문제이기 때문이다. 또한 뿌리, 족보, 가문 등의 이름으로 예전부터 중요시 해온 성(姓)에 잠깐 알아보고자 한다.
(1) 우리나라의 성(姓)씨
조사에서는 한국인의 성씨가 250성으로 나오고 1960년 국세조사에서는 258개 성으로 나왔다. 1985년 인구 및 주택센서스에서는 274게의 성씨로 보고 되었다. 일제 식민 통치하에서 일본식 이름으로 고치라며 1939년에 시행한 창씨개명은 1945년 해방과 1946년 10월23일 미군정이 공포한 조선성명 복구령에 따라 이름을 다시 찾을 때까지 우리나라 성씨 역사의 큰 수난기였다. 국제화 시대를 맞아 외국인의 귀화등으로 새로운 성씨와 본관이 많이 생겨나게 되었다
100명이상 사용하고 있는 우리나라 성씨는 275개성, 본관은 3349개이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250여성, 15세기 동국여지승람에는 277성으로 늘었다. 중국등 외국에서 귀화해 사성한 이들이 있었던 까닭이다. 삼국시대부터 조선조까지 존재한 성씨는 모두 496성으로 많은 씨족이 성을 바꿨거나 소멸한 것을 알 수 있다.
중국의 성씨는 11969개, 일본은 27만여개로 추정한다. 중국은 약 44배, 일본은 약 100배의 성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땅덩이와 인구는 성씨와 큰 관련이 없고 비례하지도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우리나라 성씨의 역사
우리나라 성은 중국의 한자 문화가 유입된뒤에 삼국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사용한 것은 한자를 발명한 중국이며 처음에는 그들이 거주하는 지역, 산, 강등을 성으로 삼았다
조선 초기 성은 양민에게 까지도 보편화 되었으나 노비와 천민 계급등은 조선 후기까지도 성을 쓸 수가 없었다. 그러나 1909년 새로운 민적법이 시행되면서 어느 누구라도 성과 본을 가지도록 법제화가 되면서 우리나라 국민 모두가 성을 취득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때응 기회로 성이 없던 사람에게 본인의 희망에 따라 호적을 담당한 동서기나 경찰이 마음데로 성을 지어 주기도 하고 머슴의 경우 자기 주인의 성과 본관을 따르기도 하였을 뿐만 아니라 명문 집안의 성씨를 모방하여 성을 정하였다. 그러므로 성씨의 종류수가 더욱 늘어났다. 따라서 1930년 국세조사에서 처음으로 나타난 성씨가 많아졌다. 우리나라 성의 수를 살펴보면
. 1486년에 (성종) 편찬한 국여지승람에는 277성
. 영조 (21대)때 이의현이 편찬한 도곡총설에는 298성
. 1908년(고종)에 발간된 증보문헌비고에는 496성으로 되어있으나
. 1960년국세조사에서는 258성으로 기록되었다.
. 그리고 최근의 조사인 1985년 인구 및 주택센서스에서는 274개의 성씨로 보고 되었다.
(3)우리나라 성씨별 인구순위
) http://www.bohwan.co.kr/main/main_02_02.asp#24
8. 결론
지금까지 한글이름에 대해 알아보았다. 한글이름의 장점을 요약하자면 첫째, 한글이름은 적기 쉽고 알기 쉽다. 적기 어려운 한자 대신 쓰기 좋고 모양 좋은 한글이름으로 누리를 밝힌다.
둘째, 한글이름은 외우기 쉽다. 힘찬아, 봄메야 하고 부를 때 부르는 사람은 자연하 그 이름의 뜻까지 생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뜻을 담을 한글이름이 뜻을 담지 않은 이름보다 외우기 좋을 것을 당연하다.
셋째, 한글이름은 뜻이 잘 살아 있다.
넷째, 한글이름은 소리가 밝고 부드러운 것이 많아. 누리를 밝힌다. 이름에 담긴 좋은 뜻의 탓일 수도 있겠지만, 소리의 아름다움을 살린 이름들이라 더욱 그렇다.
다섯째, 오누이의 정도 깊게 한다. 어떤 규칙으로 지으면 어떤 다정함이 한층 더 오갈 것이 다. 듣는 사람에게 다정함과 정겨움과 친밀함을 주는 이 한 마디 말의 값어치를 어디에 비길 것인가.
이처럼 한글이름은 우리의 누리를 밝혀나가는 등불이 된다. 그러므로 일본의 소산물인 중국어 즉 한자를 우리나라 말처럼 많이 애용하는 것은 마땅하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긍지인 한글을 아끼고 사랑하자는 것이 나의 조그마한 바램이다.
참고 자료
한글물결 http://chunma.yeungnam.ac.kr/~hangeul/
한글이름 만들기 http://commir.wo.to/
누리그물 한말글 모임 http://www.hanmalgeul.org/
보완작명철학연구원http://www.bohwan.co.kr
인터넷 강의실-한국인의 성씨와 족보 http://www.kangnam.ac.kr/~sshong/me/me4.htm
키워드
추천자료
대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국어학자 주시경 인물 탐구 분석
법원의 새로운 소송절차에 관한 자료
문법화론의 원리 및 담화표지되기와 문법화의 언어변화 기제
스타벅스 현지화 마케팅 전략 .
메모장으로 만든 홈페이지(소스)
우리 안에 반 공동체적 의식에 대하여
우리말 잘못쓰임 용례 조사
시편 23편의 양식 및 구조 연구 - 신뢰시로서의 양식과 통일적인 구조
비교광고의 개요와 비교광고의 사례 분석
스위스 언어분쟁이 일어나지 않는 이유
이혼가족 (이혼가족,이혼의 정의,침묵과 냉전의 일상화,국내 이혼의 현주소,황혼이혼의 증가,...
이혼가족,조선시대 이혼합의서,이혼의 정의,국내 이혼의 현주소,황혼이혼